##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5> {{{+2 '''남태령역'''}}} || ||<-5>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 ||<-2> [[진접역|{{{#!html
진접 방면}}}]][[사당역|사 당]][br]← 1.6 ㎞ ||<-2>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434)
}}}]] ||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선바위역|선바위]][br][[꽈배기굴/과천선|{{{#!html
꽈배기굴 통과 →}}}]]2.0 ㎞ → || ||<-5>{{{#!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남태령역, 너비=100%, 높이=100%)]}}}|| ||<-5> '''다국어 표기''' || ||<-2> [[영어]] ||<-3> Namtaeryeong || ||<-2> [[한자]] ||<-3> 南泰嶺 || ||<-2> [[중국어]] ||<-3> 南泰岭 || ||<-2> [[일본어]] ||<-3> [ruby(南泰嶺, ruby=ナムテリョン)] || ||<-5> '''주소''' || ||<-5> [[서울특별시]] [[서초구]] [[과천대로]] 지하 816 ([[방배동]] 2909번지) || ||<-5> '''운영 기관''' || ||<-2>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3>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20]]]] || ||<-5> '''개업일''' || ||<-2>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3><|2> [[1985년]] [[10월 18일]] || || [[과천선]] || ||<-5> '''역사 구조''' || ||<-5> 지하 3층[* 지하 2층과 지하 3층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체감으로는 지하 5층에 해당된다.] || ||<-5> '''승강장 구조''' || ||<-5> [[복선]] [[섬식 승강장]] || ||<-5> '''철도거리표''' || ||<-2> [[금정역|{{{#!html
금정 방면}}}]][[선바위역|선바위]][br]← 2.0 ㎞ || '''[[과천선]]'''[br]남태령 ||<-2> {{{#!html
종점}}}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4호선]] 434번[* 개정 전 34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과천대로]] 지하 816 ([[방배동]] 2909번지) 소재. == 역 정보 == ||[[파일:남태령역 안내도.jpg|width=100%]]|| ||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태령역폴사인.jpg|width=100%]]}}}|| || 남태령역의 옛 폴사인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과 [[관악구]] 남현동에 걸쳐 있다. 이름은 역 상부에 위치한 고개인 [[남태령]]에서 유래했다. [[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4호선|운영 구간]]의 종점이자 [[과천선]]의 종점이다. 옛 [[서울메트로]]에서 관리했던 역 중 제일 남쪽에 있는 역이었다. 여기서부터는 당고개 - 사당 구간보다 열차 수가 절반으로 줄어서 배차 간격이 10~12분으로 벌어진다. 사당역에서 남태령을 거쳐 과천으로 향한 길은 계속해서 오르막인데 반해 지하철은 경사가 완만하다보니 남태령역은 주변 역에 비해 매우 깊어졌다. 서울 1~4호선 역 중에서 가장 깊은 역이고, 5호선 전구간 개통 전까진 이 역이 국내에서 가장 깊은 역이었다.[* 깊이가 37.21m로 [[여의나루역]](37.08m)보다 조금 더 깊다.] 이에 따라 승강장을 위에서 파고 내려간 개착식으로 공사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으므로, 승강장 부분은 짧은 두 개의 터널을 짓는 방식인 2-arch 공법이 사용되었고[* [[https://civileng7.tistory.com/1351|2-arch 공법 설명]]] 이 때문에 승강장에 있는 벽이 지면과 수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곡선으로 되어 있다. 맞이방은 승강장과는 별도로 지어졌으며, 지하 2층 높이에 개착식 공법으로 만들었다. 이 때문에 지하 2층 맞이방에서 게이트를 찍고 승강장으로 내려가려 하면 엄청난 높이의 [[계단]] 및 [[에스컬레이터]]가 나온다. [[이대역]]보단 더 높고, [[산성역]]과 [[버티고개역]]보단 낮은 수준이다. 승강장과 맞이방을 연결하는 계단이 2개 있는데, 한 쪽은 아예 막아놨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승강장으로 통하는 엘리베이터도 일반적인 수직이동 엘리베이터가 아니라 계단을 따라 건설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이다. 이 엘리베이터는 에스컬레이터와 동일한 분속 30m이며, 내려가는 깊이를 감안하면 매우 느린 속도이다. 승강장에 도착하기까지 1분이 넘게 걸릴 정도다. 느리기도 한데다가 타고 있으면 상당히 떨림이 있기 때문에 불안하다. [[2016년]]까지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를 했는데 위에 써있지만 엘리베이터가 느리기 때문에 불편하다. 게다가 일주일에 2, 3일 정도는 고장으로 서 있는 경우가 다반사라 근처의 [[서울전자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등하교길마다 헬게이트가 열렸다. 이 역과 [[선바위역]] 사이에는 [[꽈배기굴]] [[절연구간]]이 존재한다(자세한 것은 '''[[꽈배기굴/과천선]]''' 참조). 일부 열차는 타고 내린 사람이 별로 없으면 이 역에서 아예 10초만 문 열어놓고 바로 닫고 출발하기도 한다. 다만 상행선의 경우는 [[사당역]] 종착 열차가 차량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신호대기로 인해 이 역에서 최대 3분까지도 꼼짝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 남태령역에서 출발하여 사당역으로 가는 도중에 열차가 신호 대기를 위해서 잠시 정차하는 해프닝이 벌어진다. 그리고 이럴 때의 90%가 열차가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일 때다. 사당역 종착 일부 열차가 여기까지 와서 [[회차]]한다. 꽈배기굴 쪽에 회차선이 있으며,[* 진접 방향쪽에 유치선이 하나 있으며, 오이도 방향쪽은 유치선이 벽에 막혀 안 보이지만 진입은 가능하다.] 선바위 방면에서는 볼 수 없다. 이전에는 막차 시간에 남태령행 열차가 하나 있으며 아침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첫차가 있으나 [[2011년]] 말부터 남태령행이 없어졌고, 남태령발 열차는 토요일과 공휴일 아침에만 있었으나 이것도 이제는 요일에 상관없이 다니게 되었다. [[2016년 5월]] 시간표부터 남태령행은 폐지되었고 사당 종착 후 남태령으로 회송하는 다이어로 전환되었다. 첫차는 직류전용 차량으로 매일 이 역에서 진접행으로 출발한다. 이 열차는 남태령역에서 유일하게 당고개역보다 북동쪽으로 운행하는 열차이다. 막차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는 모두 당고개행이지만 첫차 05:30분차는 진접행이다. 과천선 개통 초기에는 남태령행 열차가 지금보다 많이 있었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4/1926088_19434.html|이 영상 27초~35초에 등장하는 열차가 남태령역에 종착한 후 회차를 위해 들어가는 남태령행 열차이다.]] 4호선 직류전용 열차는 이 역까지도 운행이 가능하지만 역의 하루평균 승하차수가 4호선은 물론 서울시에서 최하위권을 달리는지라 직류전용 열차들은 사당역에서 종착한다. 그래서 이 역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직류전용 전동차가 99% [[사당역]]에서 시종착하여 직.교류전용 전동차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보다 더 많이 정차한다. 원래 [[과천선]]은 사당역~[[금정역]] 구간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이 역도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이 설계하고 시공했으나 남태령역-사당역 구간은 개통 전에 서울특별시에 양도하여 서울 지하철 4호선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전체적인 건축 디자인이 [[선바위역]]~[[범계역]]과 유사한데, 4호선 색상인 파란색 띠를 자세히 보면 진한 파란색 계통임을 알 수 있고 개통 당시 서울지하철공사 관할 역중에서 유일하게 열차 도착 안내 방식이 '''전광판'''이었다.[* 철도청이 과천선을 건설하면서 지은 역이기 때문에 다른 과천선 역에 설치된 전광판이 이 역에도 설치되어 있던 것이다. 당시에는 4호선을 비롯한 모든 노선에서 플랩식 행선판으로 열차를 안내했으며, 서울지하철공사가 전광판을 도입한건 [[1997년]]이었다.] 물론 코레일 구간과는 달리 우측통행에 직류 1500V 방식이긴 하지만 한때 철도청의 역 분류 방식에 따라 역 등급(3급)이 부여되었다가 [[2000년]]에 폐지됐다. == 역 주변 정보 == 주변에 있는 시설은 [[남태령]] 전원마을, 군부대, [[우신운수]] 차고지, [[CJ오쇼핑]] 건물, [[서울전자고등학교]]뿐이다. 그나마 없는 승객을 이 시설 이용객들 덕분에 조금이라도 유지하고는 있는 듯하다. 참고로 이 역은 4호선 이용객수 꼴찌를 몇 년째 양보(?)하지 않는 중이었다가 2017년과 [[2018년]]에 이용객이 갑자기 치솟으며 꼴찌에서 벗어났다. 바로 밑 [[선바위역]]도 주변에는 특별한 게 없지만 그쪽은 환승 수요가 많다. 그나마 가장 유명한 것은 [[수도방위사령부]] 사령부가 [[관악산]] 방면에 있다. 워낙 크고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부대라 숨기는 것이 무의미해 [[http://www.cdc.mil.kr/4-2.htm|홈페이지에 대놓고 적어 놨으니]] 안심해도 된다. 때문에 수도방위사령부 본부[* [[본부근무대|본근대]], [[군사경찰단(수도방위사령부)|군사경찰단]] 등 본부와 함께 주둔하는 직할부대 한정이다. 여타 수방사 직할부대는 서울 여기저기 흩어져 있기 때문에 전역날까지 남태령 근처에도 가볼 일 없는 병사들도 많다.]에 근무했던 현역, 예비역 남자들은 다른건 몰라도 남태령역은 평생 잊지 못한다고 한다. 그 외에도 [[국군수송사령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가 인근에 위치해있으며 [[대통령 비서실]], [[대통령경호처]] 등의 이전으로 인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가 [[2026년]]까지 수도방위사령부 근처 국방부 보유 부지를 이용하여 이전할 계획이 수립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5년|1985]]~[[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5년 || 3,299명 || || || 1986년 || 2,989명 || || || 1987년 || || 1988년 || || 1989년 || || 1990년 || || 1991년 || || 1992년 || || 1993년 || || 1994년 || 3,572명 || || || 1995년 || {{{#00a4e3 4,862명}}} || || || 1996년 || 4,054명 || || || 1997년 || 3,639명 || || || 1998년 || 3,380명 || || || 1999년 ||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료없음}}} || || || 2000년 || 2,969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3,048명 || || || 2002년 || 2,949명 || || || 2003년 || 2,856명 || || || 2004년 || 2,627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2,352명 || || || 2006년 || 2,237명 || || || 2007년 || 2,250명 || || || 2008년 || 2,121명 || || || 2009년 || 2,123명 || ||}}}}}}}}} || || 2010년 || 2,316명 || || || 2011년 || 2,376명 || || || 2012년 || 2,502명 || || || 2013년 || 2,484명 || || || 2014년 || 2,396명 || || || 2015년 || 2,158명 || || || 2016년 || 2,762명 || || || 2017년 || 3,881명 || || || 2018년 || 4,713명 || || || 2019년 || 2,872명 || || || 2020년 || 1,827명 || || || 2021년 || 1,973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이전 출처: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C%88%98%EC%86%A1%EA%B3%84%ED%9A%8D|지하철 수송계획]],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A%B2%BD%EC%98%81|서울지하철경영]]] || }}} * 4호선 전체 구간에서 가장 한산한 역이다. [[2019년]] 전까지 4호선 최하위는 [[신길온천역]]이었으나 [[2019년]]에 역전당했다. * 한산한 역과는 다르게 윗 도로인 [[과천대로]]는 교통량이 매우 많은 대로다. 출퇴근시간엔 주차장을 방불케하는 곳이나 아래로 내려가면 텅텅 비어있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남태령이 많이 막힐 때 사당역까지 가는 버스를 타던 승객들이 교통체증을 견디지 못하고 이곳에서 내려서 지하철을 타고 가기도 했다. 그러나 [[2018년]] 말 남태령역 중앙차선이 개통한 이후 이럴 일이 줄었고, 사람들도 점차 남태령역을 다시 외면하기 시작해 '''이용객 수가 급감'''해버렸다. * 바로 양 옆에 위치한 [[사당역]]과 [[선바위역]]이 2호선, 강남 방면 환승거점 기능을 하지만 이 역은 딱히 내려도 환승이 편한 교통 요충지가 아니므로 역세권 인근 주민을 제외하고는 찾아올 일이 거의 없다. 더욱이 이 역 주변은 인적이 드물어 주변 분위기는 과천대로의 많은 교통량을 제외하고 매우 한산하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namtaeryeong.png|width=100%]]}}}|| || '''{{{#fff 4호선 승강장 }}}''' || [[섬식 승강장]]인데 이용객 수에 비해 너비가 매우 넓다. 섬식 승강장이지만 서로 벽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가운데와 끝 부분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꽈배기굴]] 초입 부분이라 여기서부터 한 터널에 복선이 들어가있던 것이 단선 2개의 터널로 바뀌기 때문이다. ||<-4> [[사당역|사당]]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선바위역|선바위]]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촌역|이촌]]·[[명동역|명동]]·[[동대문역|동대문]]·[[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ffffff 하}}} ||[[인덕원역|인덕원]]·[[금정역|금정]]·[[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 이 역을 지나고 선바위역부터는 행선판에 진접표시가 없다. == 연계 교통 == [[수원시|수원]], [[화성시|화성]], [[성남시|성남]] 등지로 가는 수많은 [[직행좌석버스]]가 지나가지만 대부분 정차하지 않는다([[수원 버스 7000|7000번]], [[수원 버스 7001|7001번]], [[용인 버스 7007-1|7007-1번]]만 정차). 이미 기점인 [[사당역]]에서 [[가축수송(교통)|입석까지 꽉 찬 채로 출발]]하기 때문에 사실상 승차가 어렵기도 하고, 주위에 마땅한 수요처가 없어서이기도 하다. 그러나 남태령고개의 미칠듯한 [[교통체증]] 때문에 상행은 버스기사의 재량에 따라 급한 사람의 하차를 허용하여 4호선으로 환승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고, 2018년 9월 7일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이후에는 모든 [[직행좌석버스]]가 정차하고 있다. 교통체증으로 직행좌석버스에서 사람들이 내릴때면 평소에는 한적한 남태령역에 사람들이 있는 편이다.[* 일부 시흥시 노선들은 사당역 3번출구 앞에 서는데 중앙차로를 벗어나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 노선에서 온 사람들이 내리기도 한다.] 겨울 퇴근시간대 [[폭설]]이 와서 차량들이 남태령고개에서 옴싹달싹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사람들이 버스에서 대거 하차하여 남태령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곤 한다. 이 때는 여러 버스에서 하차한 사람들이 [[승강장]]에 몰려들면서 승강장이 [[사당역]] 뺨칠 정도로 혼잡해진다. 하지만 [[과천선]] 구간이라 배차간격이 7분이기 때문에 들어오는 차는 이미 꽉 차 있다는 게 [[함정]]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이전 평일에는 [[가로변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어 그나마 좀 나았지만, 주말은 남태령고개를 넘는데 1시간이 걸릴 때도 종종 있는 편이었다. 게다가 [[강남순환로]]가 개통되고 [[사당IC]] 진출입로가 가로변버스전용차로를 침범하는 형태로 건설된 이후로는 평일 소요시간마저 크게 증가하였고, 결국 2017년부터 상행 한정으로 모든 [[직행좌석버스]]가 남태령역에 공식적으로 정차하기 시작했다. 역 남쪽에 [[우신운수]] [[자가차고지|차고지]]가 있어 우신운수의 [[서울 버스 N15|N15번]], [[서울 버스 4212|4212번]], [[서울 버스 4318|4318번]], [[서울 버스 4319|4319번]]이 남태령역에서 회차한다. [[우면동]]으로 향하는 [[서울 버스 4435|4435번]]을 제외하면 [[과천시|과천]]을 지나 [[인덕원역]]까지 모든 [[간선버스]], [[시내버스|시내일반버스]]의 노선이 동일하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강남순환로]] [[사당IC]]에서 [[사당역]] 방면으로 진입하는 노선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혜택을 보기 어려웠기 때문에 2018년 10월 25일부터 [[시흥 버스 3200|3200번]], [[시흥 버스 3300|3300번]], [[시흥 버스 3400|3400번]]이 상행 한정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봉담과천로]], [[과천대로]]를 거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게 되면서 이 정류소에 정차한다. === 상행 정류소 - 남태령역(22026) === 2018년 9월 7일부터 남태령역부터 사당역 지나 방배경찰서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중앙으로 이설되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ffffff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 8842|{{{#ffffff 8842(김포공항·인천공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화성 버스 1002|{{{#ffffff 1002(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화성 버스 1008|{{{#ffffff 1008(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시흥 버스 3200|{{{#ffffff 3200(강남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시흥 버스 3300|{{{#ffffff 3300(강남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시흥 버스 3400|{{{#ffffff 3400(강남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000|{{{#ffffff 7000(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001|{{{#ffffff 7001(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용인 버스 7007-1|{{{#ffffff 7007-1(여의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770|{{{#ffffff 7770(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780|{{{#ffffff 7780(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화성 버스 7790|{{{#ffffff 7790(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800|{{{#ffffff 7800(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화성 버스 8155|{{{#ffffff 8155(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화성 버스 8156|{{{#ffffff 8156(사당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심야버스|{{{#ffc600 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N15|{{{#ffc600 N15(우이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ffffff 1-1(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성남 버스 103|{{{#ffffff 103(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2|{{{#ffffff 11-2(갯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5|{{{#ffffff 11-5(갯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수원 버스 777|{{{#ffffff 777(사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9, 9-3|{{{#ffffff 9(충훈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간선버스|{{{#ffffff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502|{{{#ffffff 502(서울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540|{{{#ffffff 540(서울성모병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지선버스|{{{#ffffff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212|{{{#ffffff 4212(중곡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318|{{{#ffffff 4318(풍납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319|{{{#ffffff 4319(잠실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435|{{{#ffffff 4435(방배동)}}}]]}}} === 하행 정류소 - 남태령역(21163) === 4번 출구쪽 가로변에 위치해 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ffffff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 8842|{{{#ffffff 8842(광주TR)}}}]]}}}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000|{{{#ffffff 7000(경희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수원 버스 7001|{{{#ffffff 7001(수원T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용인 버스 7007-1|{{{#ffffff 7007-1(단국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심야버스|{{{#ffc600 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N15|{{{#ffc600 N15(남태령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ffffff 1-1(월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성남 버스 103|{{{#ffffff 103(도촌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2|{{{#ffffff 11-2(군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11-5|{{{#ffffff 11-5(군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수원 버스 777|{{{#ffffff 777(수원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안양 버스 9, 9-3|{{{#ffffff 9-3(충훈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간선버스|{{{#ffffff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502|{{{#ffffff 502(월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서울 버스 540|{{{#ffffff 540(군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지선버스|{{{#ffffff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212|{{{#ffffff 4212(남태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318|{{{#ffffff 4318(남태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319|{{{#ffffff 4319(남태령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울 버스 4435|{{{#ffffff 4435(구룡산)}}}]]}}}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젊은이의양지(남태령역).jpg|width=100%]]}}}|| || 남태령역에서 촬영된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드라마)|젊은이의 양지]]의 한 장면 || 1985년[* 당시에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VVVF 전동차]]가 막 도입하던 시기이다.]에 [[KBS 2TV]]에서 방송된 주말연속극 [[젊은이의 양지(드라마)|젊은이의 양지]]에서 껌팔이 소년 대풍이와 남장여자 소매치기범 현지가 만나는 장면을 이 역에서 촬영했다. 다만 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88년[* 더군다나 [[1988년]]에 4호선 차량은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4000호대 광폭형]]이 다녔다.]엔 이 역이 없었으므로 고증은 맞지 않는데, 아마도 서울에서도 손꼽히는 한산한 역이기에 촬영하기 수월해서 선택된 듯 하다. 1997년에 개봉한 [[접속(영화)|영화 접속]]의 한 장면도 이 곳에서 촬영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초역세권.png|width=100%]]}}}|| || [[2017년 8월]]에 촬영된 [[카카오뷰]] || 순위권 [[역세권]] [[짤방]]으로 유명하다. 3초 [[역세권]]이라 불린다. [[신이문역#s-6|1초 역세권]]에 잠깐 밀린 적도 있지만, 여기는 재개발에 들어갔고, [[신이문역]]은 구조가 변경되었다. [[2015년]] [[10월 18일]] 방송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여군특집에서 여군멤버들이 테러범 진압 훈련을 이 역에서 하였으며, 운행시간이 아닌 새벽 2시에 하였다. 역 이름이 '○○령'으로 끝나는 것[* 원래 뜻은 '[[嶺]](고개 령)'이지만 발음상 유령할 때의 '[[靈]](신령 령)'을 연상하기 쉽다.]하고 4호선 전 구간에서 가장 깊은 역에다 승객이 하도 없고 [[https://blog.naver.com/zksqkfk2005/60131614195|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조명도 어두침침했기 때문에]] 이 역이 무섭다고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다. 특히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 남태령역에서 [[선바위역]] 방향 꽈배기굴 입구에 '''빨간색 귀신체로 "[[절연구간|{{{#ff0000 사구간}}}]]"'''이라고 적혀있던 안내판의 모습은 공포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2009~2010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면서 그 안내판도 스크린도어 안쪽으로 들어가버리면서 4호선 기관사를 제외하고는 못 보게 되었고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면서 조명을 밝게 바꾼 탓에 옛날의 그 어두침침한 분위기에서는 벗어났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역은 타 4호선 서울교통공사 역들에 비해서 '''광고소리가 2배 이상 크다.'''[* LCD 열차 안내 표시기, 광고판은 스크린도어가 존재하지 않았던 [[2008년]]에 설치된 것이다. 1.3.4호선 전용과 2호선 전용 각각이며 1.3.4호선은 [[2017년]] 서울교통공사 출범 얼마 안되어 광고 계약이 종료되어 현재까지 미 송출이다.] 사실 예전에 유행했던 괴담 시리즈중에 지하철 괴담이라고해서 안내방송에 "이번역은 남태령역입니다. 내리실문은... '''없습니다'''"와 같은 괴담이 있었는데 이것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남태령역만이 아닌 바리에이션으로 연신내역이나 사당역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현재는 사구간대신 검정색글씨로 절연구간으로 명칭을 바꿀예정이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서초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과천선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include(틀:포크됨2, title=남태령역, d=2022-07-04 21:3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