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49번 지방도의 다리, rd1=남한강대교, other2=평택제천고속도로의 다리, rd2=남한강대교(평택제천고속도로))] [include(틀: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하류 방면}}}}}}[br]← [[이호대교]] ||<-2><#006fb9> '''[[남한강|{{{#fff 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남한강대교]] → || ||<-4><#004a8b> {{{#fff {{{+2 '''남한강교'''}}}[br]南漢江橋 | Namhanganggyo(Way Bridge)}}} || ||<-4><#004a8b> {{{#fff ▲ [[영동고속도로|{{{#fff '''영동선 (강릉방면)'''}}}]] [[파일:Expressway_kor_50.svg|width=25]] }}} || ||<-4><#004a8b> {{{#fff ▼ [[영동고속도로|{{{#fff '''영동선 (여주방면)'''}}}]] [[파일:Expressway_kor_50.svg|width=25]]}}}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한강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다국어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중국어(간체) || 南汉江桥 || || 가타카나 || ヤンピョン大橋 ||}}}}}}}}} || ||<-4><#c0c0c0,#3f3f3f> '''위치''' || ||<-4> [[경기도]] [[여주시]] [[우만동]] (서단) || ||<-4>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적금리 (동단) || ||<-4><#c0c0c0,#3f3f3f> '''개통''' || ||<-4> [[1971년]] [[12월 1일]] (구 남한강교)[br][[1994년]] [[12월 12일]] (확포장) || ||<-2> '''시공''' ||<-2> '''관리''' || ||<-2> ||<-2> [[한국도로공사|[[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width=120]]]]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540m, 폭 24.3m(왕복 4차선) || ||<-4> '''구조형식''' || ||<-4> PSC상자형 (상부)[br](main span bridge)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여주시]] [[여주시/행정#s-1.1|여흥동(우만동)]]에서 [[여주시]] [[강천면]]을 연결하는 길이 약 540m, 왕복 4차선의 [[영동고속도로]] 상의 교량이다. 다리의 이름은 ~~당연히~~ [[남한강]]에서 따왔다. 본래 남한강교를 포함한 영동고속도로 서부구간(신갈 - 원주)은 [[1971년]] 3월에 착공해, [[1971년]] 12월에 준공한 왕복 2차선의 구간이었으나 통행량이 증가하고 왕복 2차선으로 좁아서 [[1991년]] 12월에 착공해서 [[1994년]] 12월에 4차선으로 확장공사를 마쳤다. 확장후에도 남한강교의 남쪽에 있는 구(舊) 영동고속도로의 남한강교는 여전히 보강을 거쳐 일반도로로 사용중으로 주변 지역 주민들은 [[여주IC]]를 통해 이 다리와 영동고속도로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지금과 달리, 구 남한강교는 시점이 지금 남한강교와 달랐다. 구 남한강교의 시점은 [[여주시]] [[여주시/행정#s-1.1|여흥동(멱곡동)]]이다. [[분류:남한강의 교량]][[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분류:영동고속도로]][[분류:1994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