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동혁 감독 장편 연출 작품)]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영화부문 작품상'''}}} || || '''[[제53회 백상예술대상|제53회]][br]([[2017년]])''' || {{{+1 →}}} || '''[[제54회 백상예술대상|제54회]][br]([[2018년]])''' || {{{+1 →}}} || '''[[제55회 백상예술대상|제55회]][br]([[2019년]])''' || || [[곡성(영화)|곡성]] || {{{+1 → }}} || {{{#fff '''남한산성'''}}} || {{{+1 → }}} || [[공작(영화)|공작]] || ||<-5> || ---- ||<-2>
{{{#fff {{{+2 '''남한산성'''}}} (2017)[br]''The Fortress | Namhansanseong | 南漢山城 | 天命の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5442545.jpg|width=100%]]}}} || ||<-2> {{{#!folding [ 절찬 상영중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남한산성.jpg|width=100%]]}}} }}} || || '''장르''' ||[[드라마]], [[사극]], [[정치물|정치]], [[전쟁 영화|전쟁]] || || '''감독''' ||<|2>[[황동혁]] || || '''각본''' || || '''원작''' ||[[김훈(소설가)|김훈]] 《[[남한산성(소설)|남한산성]]》 || || '''기획''' ||[[김지연(제작자)|김지연]] || || '''제작''' ||[[김지연(제작자)|김지연]], 한흥석 || || '''촬영''' ||김지용 || || '''조명''' ||조규영 || || '''동시녹음''' ||박현수 || || '''편집''' ||남나영 || || '''음향''' ||최태영 || || '''미술''' ||[[채경선]] || || '''의상''' ||[[조상경]] || || '''분장''' ||조태희 || || '''음악''' ||[[사카모토 류이치]] || || '''출연''' ||[[김윤석]] [br] [[이병헌]] 외 || || '''제작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김지연(제작자) |㈜싸이런픽쳐스]]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인벤트스톤 || || '''배급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CJ ENM MOVIE]] [br]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TWIN || ||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80]]]][* 2022년 3월 21일 종료했으나 12월 26일 스트리밍 재개.]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80]]]]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80]]]]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80]]]] || || '''촬영 기간''' ||[[2016년]] [[11월 21일]] ~ [[2017년]] [[4월 25일]] || || '''개봉일'''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17년]] [[10월 3일]] [br]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17년]] [[10월 6일]][* [[로스앤젤레스]] 지역권 한정. 나머지 지역은 [[2017년]] [[10월 20일]] 개봉.] [br]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2017년]] [[12월 7일]] [br]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2018년]] [[6월 22일]] || || '''상영 시간''' ||139분 (2시간 19분) || || '''제작비''' ||'''155억 원''' || || '''국내 박스오피스''' ||'''$28,386,617''' (최종) || || '''월드 박스오피스''' ||'''$28,645,448''' (최종) || ||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3,849,129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국내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 '''{{{#fff 해외등급}}}'''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오스트레일리아 등급 위원회#s-2|[[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width=40]] '''{{{#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br][[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뉴질랜드|'''{{{#red R13}}} {{{#000,#fff 13세 미만 관람불가}}}''']] [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일본#s-2|[[파일:영륜 PG12 로고.svg|width=40]] '''{{{#000,#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훈(소설가)|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소설)|남한산성]]》을 원작으로 한 [[황동혁]] 감독의 블록버스터 사극.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을 맞이하기까지 47일간 [[남한산성]]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치욕을 참고 항복해야 한다는 주화파 [[최명길(조선)|최명길]]과 치욕을 견디고 사느니 끝까지 항전하여 죽음을 택하자는 척화파인 [[김상헌(조선)|김상헌]]의 대립, 그 사이에서 번민하는 [[인조]]의 갈등을 다룬다. 원작처럼 [[허무주의]]적 색채가 깊으며, [[명량|흥행 공식을 따르는 사극]]과는 다르게 고증을 최대한 살리고 치욕의 역사를 담담하게 풀어낸다는 것이 특징이다. == 포스터 == ||
[[파일:movie_imageJ47EDZF8.jpg|width=100%]] || || {{{#fff '''▲ 티저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6ieM7Ysu1w)]}}} || || {{{#fff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3TxFvGwWe0)]}}} || || {{{#fff '''▲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7IDF2r7Oec)]}}} || || {{{#fff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청의 대군이 공격해오자 임금과 조정은 적을 피해 남한산성으로 숨어든다. 추위와 굶주림, 절대적인 군사적 열세 속 청군에 완전히 포위된 상황, 대신들의 의견 또한 첨예하게 맞선다. >순간의 치욕을 견디고 나라와 백성을 지켜야 한다는 이조판서 ‘최명길’(이병헌)과 청의 치욕스런 공격에 끝까지 맞서 싸워 대의를 지켜야 한다는 예조판서 ‘김상헌’(김윤석). 그 사이에서 ‘인조’(박해일)의 번민은 깊어지고, 청의 무리한 요구와 압박은 더욱 거세지는데... >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나라의 운명이 그곳에 갇혔다!'''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한산성(영화)/등장인물)] == [[/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한산성(영화)/줄거리)] == [[남한산성(영화)/탐구|탐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한산성(영화)/탐구)] == OST == ||
[youtube(lGwfkx72amI, height=270)] || || {{{#ffffff '''▲ 사카모토 류이치 인터뷰 메이킹 영상'''}}} || 본작의 OST는 [[사카모토 류이치]]가 담당하였다.[* 공교롭게도 [[청나라]]의 마지막을 다룬 [[마지막 황제]]의 ost를 담당한 적이 있다.] 그 정도의 네임벨류가 따르는 인물이라면 이에 관련하여 적극적인 홍보를 했어도 될 텐데 개봉시기 즈음에 이르러서야 공개한 것이 약간 의외라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 사물놀이의 대표라 불리는 국악인 김덕수 또한 본작 OST에 감수역으로 참여했음이 크레딧을 통하여 드러났다. 본작이 호평받는 요소이기도 한데 사카모토 류이치가 마찬가지로 담당하였던, 같은 혹독한 겨울을 배경으로 한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레버넌트]]의 OST가 연상이 되면서 해당 작품과 마찬가지로 음악이 상당히 장면과 매치가 잘되어 어우러졌다는 의견이 있다. 다만 OST가 없는 장면이 상당수 있다 보니 음악에 대해서 미지근한 평을 내놓는 측도 일부 있기도 하다. 더불어 사카모토 류이치가 참여한 처음이자 마지막 한국 단독제작 영화이다. 본작 참여 이후로 piknic에서의 전시, [[부산국제영화제]] 참여 등의 행보가 더욱 두드러진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fortress,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fortress_2017, tomato=63, popcorn=79)] [include(틀:평가/IMDb, code=tt7160176, user=6.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fortress-2017,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07974, user=6.600)]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3561, user=3.7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4135, user=7.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800978, user=7.8)]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o0DqZ,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45, light=89.83, star=3.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0637, expert=7.50, audience=8.17, user=8.0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6472, expert=7.6, user=7.3)] [include(틀:평가/CGV, code=79902, egg=90)] >'''태산 같은 말의 무게를 묵묵히 지고 간다.''' >---- >-[[이동진]]([[왓챠]]) | ★★★★[* ★★★☆에서 상향] >'''수많은 선택과 그 이상의 고민이 모여 완성된 결과. 그게 역사''' >---- >허남웅([[씨네21]]) | ★★★★ >'''어둠의 역사가 남긴 것들, 역사의 어둠에서 거둘 것들''' >---- > 한동원([[씨네21]]) | ★★★☆ >'''말과 말이 부딪혀 만들어내는, 대사의 스펙터클''' >---- >이화정([[씨네21]]) | ★★★★ >'''전시작전권을 환수해야 할 이유''' >---- >[[박평식]]([[씨네21]]) | ★★★ >'''눈 한번 마주치지 않는 ‘썰전’''' >---- >김성훈([[씨네21]]) | ★★★★ 원작자인 [[김훈]]은 시사회에서 “내가 소설로 표현하고자 했던 의도를 영상으로 잘 표현했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작가인 내가 작품 뒤에 감추어 둔 메시지를 감독이 끄집어 내 언어화하는 것을 보고 ‘들켰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마냥 립서비스로 던진 말은 아닌 듯하다. 이후 특별출연했던 [[썰전]] 242회차에서도 영화의 화면 연출을 칭찬했다. 대화만 해서 지루하다는 평도 일부 있다. 전투신이나 포격신 와중에도 졸았다는 사람이 있었을 정도. 영화가 주로 성 안에 갇혀 굴욕적인 화친이지만 삶의 길을 가느냐, 굴욕적인 삶을 살 바에는 죽는 것이 낫느냐는 2가지 의견이 충돌하는 모습을 그려내는데, 2시간 20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동안 흘러가고 원작의 건조한 상황 묘사가 오히려 상황의 비극성을 묵직하게 전달하는 것에 비해 영화 상에서는 효율적으로 묘사하지 못해 밋밋하다는 의견이다. 전쟁신이 적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 밑에도 나와있지만 원작 소설 자체가 남한산성을 소재로 담담하게 얘기를 풀어내는 편이고 영화 역시 반전이나 자극적인 이야기, 액션신 등이 거의 없는 편이고, 당시 조정의 갈등과 최명길과 김상헌의 언쟁 위주이기에 오락 요소가 없기 때문인 듯 하다.[* 한국 관객들이 대체적으로 차갑고 냉정한 영화를 상대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경향도 한 몫한다.] 음악과 연기, 연출 등에 있어서 평이 전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무기력함과 동시에 책임회피에 급급하고 민중에게 불합리를 강요하는 조정의 모습을 그려내어, 그간 전쟁 또는 역사를 소재로 한 대규모 예산의 한국영화에서 필수품 같았던 [[국뽕]]을 배제한 것은 신선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소설 원작에서 드러나는 조선의 암울한 상황을 계절이나 색감과 더불어 상당히 잘 표현해냈다.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성에 갇힌 채 죽어가는 조선군의 모습들, 그리고 가끔 희망이 보이다가도 금방 여지없이 짓밟히는 장면들이 더해지면서 어둡고 추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마침내 청군이 대포를 쏘기 시작할 때는 작중 최명길이 경고한 "세상이 무너질 것입니다." 가 그대로 실현된다. 적병이라곤 성벽 쪽 빼면 하나 보이지 않는데 성내의 민가는 물론이고 [[남한산성 행궁|임금 계시는 지엄하신 행궁]]까지 무너지면서 박살이 나버리는 장면을 보면 세상이 무너지는게 무엇인지 관객 입장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전투가 종료된 후의 장면들도 의도적으로 인물의 모습과 무너진 건물들을 같은 화면 안에 잡는 연출로 처절함과 암울함을 묘사하였다. 당시의 처절함과 암울함을 제대로 묘사하기 위해 감독이 디졸브, 플래시 백 같은 영화 전환 효과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화의 시점 역시도 조선측과 청측을 모두 비추기보다는, 철저하게 남한산성에 갇혀있는 조선인들 위주로 극을 진행하여, 마치 관객들 역시도 함께 남한산성에 갇혀서 압박 받고 고민하도록 만드는 솜씨가 일품이다. 국내 평론가들의 평은 좋은 편이다. 네이버 평론가 평점은 6점을 준 [[박평식]]을 빼면 모두 7점을 넘고, 8점을 준 평론가들이 많아서 7.5점을 기록하고 있다.[* 박평식의 경우, 영화 내용과 별 상관도 없는 전작권 문제를 들먹여서 논란이 되었다. 다만 박평식의 기준에서 6점은 낮은 점수가 아니다. 예를 들면, 원더우먼, 닥터 스트레인지, 설국열차에도 같은 점수를 주었다.] [[이동진]]도 별 4개 주면서 좋은 평가를 하였다. 특히 [[침착맨]]의 게스트 초대석에서 '한국에서 없는 종류의 냉철한 영화' 라고 언급하며 훌륭한 영화라고 호평했다.[* 침착맨이 남한산성에 대해 굉장한 호평을 했다가 주변 사람들이 무시했다고 토로했는데 이 때 이동진이 남한산성은 뜨거운 영화들이 많이 나오는 한국 영화계에서 굉장히 보기 드문 훌륭한 차가운 영화라고 말하였다.] 해외 평가에서는 대체로 영화가 너무 길고 지루하다는 평이 많다. 유독 [[밀덕]], [[역덕]]들의 반응이 좋다. 돌아다니는 평을 보면 'CJ가 역덕, 밀덕에게 통크게 기부해줬다'는 말이 나올 정도. 사학 교수, 저술가 등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많다. 기존의 사극 영화들에 비교해서 남한산성에 나오는 무기와 군제 등 세부적인 고증 수준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다만 서울대 동양사학과 구범진 교수는 2019년작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머리말에서 여러 병자호란 관련 사극들을 까면서 남한산성 또한 예외가 아니라는듯 가열차게 깠다. 아무래도 고증이 준수하다지만 어디까지나 조선의 입장에서 그렇다는 것이지 청사 전공의 중국사학자의 입장에서는 청나라 캐릭터들과 관련하여 여전히 못마땅한게 많은 듯.] 특히 많은 밀덕들은 남한산성의 '''조선군 조총병''' 묘사에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한국 사극 영화에서 조총병을 수준 높게 묘사한 작품은 2020년 기준으로 이 영화가 유일하다. 다만 밀덕 측면에서도 홍이포의 위력은 너무 과장되어 마치 현대의 야포처럼 가시거리밖에서 포격해서 공격나온 조선군을 도륙하는데 200년후 나폴레옹 전쟁 시기까지도 포병은 사거리 문제로인해 가시거리에서 포격을 해야했다. 그리고 청나라 병졸들의 복장이 청초기 팔기군의 복장이기보다는 청말 한족 녹영병들의 복장에 가깝다는 고증오류가 있다. == 흥행 == === [[대한민국]]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7년 39주차 ||<|2> → || '''2017년 40주차''' ||<|2> → || 2017년 41주차 || || [[킹스맨: 골든 서클]] || {{{#ffffff '''남한산성'''}}} || [[범죄도시]] || ||<-7>
'''{{{#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28,918명 || 28,918명 || 미집계 || 235,401,800원 || 235,401,800원 || ||<|7> 1주차 ||2017-10-03. 1일차(화) || 444,585명 ||<|7> 3,226,956명 || '''1위''' || 3,591,479,900원 ||<|7> 26,523,869,792원 || ||2017-10-04. 2일차(수) || 552,722명 || '''1위''' || 4,655,991,000원 || ||2017-10-05. 3일차(목) || 599,797명 || '''1위''' || 4,940,801,300원 || ||2017-10-06. 4일차(금) || 582,294명 || '''1위''' || 4,731,723,954원 || ||2017-10-07. 5일차(토) || 424,767명 || '''1위''' || 3,471,456,338원 || ||2017-10-08. 6일차(일) || 365,976명 || 2위 || 3,004,716,900원 || ||2017-10-09. 7일차(월) || 256,815명 || 2위 || 2,050,060,400원 || ||<|7> 2주차 ||2017-10-10. 8일차(화) || 56,673명 ||<|7> 388,457명 || 2위 || 400,933,000원 ||<|7> 2,953,755,000원 || ||2017-10-11. 9일차(수) || 57,962명 || 2위 || 407,708,900원 || ||2017-10-12. 10일차(목) || 41,895명 || 3위 || 293,178,900원 || ||2017-10-13. 11일차(금) || 47,562명 || 3위 || 369,514,200원 || ||2017-10-14. 12일차(토) || 80,501명 || 2위 || 660,539,400원 || ||2017-10-15. 13일차(일) || 77,188명 || 2위 || 632,397,900원 || ||2017-10-16. 14일차(월) || 26,676명 || 2위 || 189,482,700원 || ||<|7> 3주차 ||2017-10-17. 15일차(화) || 26,446명 ||<|7> 139,594명 || 2위 || 183,531,000원 ||<|7> 1,045,442,100원 || ||2017-10-18. 16일차(수) || 26,315명 || 2위 || 185,601,200원 || ||2017-10-19. 17일차(목) || 13,110명 || 4위 || 90,976,400원 || ||2017-10-20. 18일차(금) || 15,706명 || 4위 || 120,194,000원 || ||2017-10-21. 19일차(토) || 24,432명 || 4위 || 199,143,600원 || ||2017-10-22. 20일차(일) || 24,339명 || 4위 || 200,085,700원 || ||2017-10-23. 21일차(월) || 9,246명 || 4위 || 65,910,200원 || ||<|7> 4주차 ||2017-10-24. 22일차(화) || 10,521명 ||<|7> 46,181명 || 4위 || 73,959,500원 ||<|7> 337,226,400원 || ||2017-10-25. 23일차(수) || 5,196명 || 8위 || 32,010,500원 || ||2017-10-26. 24일차(목) || 5,335명 || 7위 || 35,902,000원 || ||2017-10-27. 25일차(금) || 6,635명 || 6위 || 50,160,700원 || ||2017-10-28. 26일차(토) || 6,754명 || 8위 || 54,646,500원 || ||2017-10-29. 27일차(일) || 7,857명 || 6위 || 63,582,500원 || ||2017-10-30. 28일차(월) || 3,883명 || 6위 || 26,964,700원 || ||<|7> 5주차 ||2017-10-31. 29일차(화) || 4,765명 ||<|7> 10,992명 || 6위 || 31,493,400원 ||<|7> 76,685,100원 || ||2017-11-01. 30일차(수) || 3,296명 || 7위 || 23,035,400원 || ||2017-11-02. 31일차(목) || 656명 || 18위 || 4,403,500원 || ||2017-11-03. 32일차(금) || 823명 || 17위 || 6,169,500원 || ||2017-11-04. 33일차(토) || 571명 || 24위 || 4,661,500원 || ||2017-11-05. 34일차(일) || 545명 || 23위 || 4,607,300원 || ||2017-11-06. 35일차(월) || 336명 || 24위 || 2,314,500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3,849,129명, 누적매출액 31,225,419,792원'''[* ~ 2018/04/22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손익분기점]]은 대략 500만 명이다. 여기에 광고비 등을 합친 가장 가혹한 손익분기점 예상치가 560만명. 전체적으로 영화의 평가는 좋은 편이지만 대중성은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흥행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말이 많다. CJ의 배급 영화이면서도 한국 영화의 흥행 공식을 안 따라간 것에 대해서 놀란 사람들이 많다. 우선 첫 날 성적은 저렇게 호불호가 몹시 갈림에도 어쨌거나 선전한 편. 예매율 1위에서부터 시작하여 개봉 첫 날 444,478명(누적 관객수 473,396명)을 달성하며 박스 오피스 1위에 안착하며 지금껏 추석 오프닝 스코어 1위였던 《[[관상(영화)|관상]]》(개봉 첫날 373,552명)을 가볍게 밀어냈다. 그러고도 아직도 예매율 40%대를 유지하고 있으니 추석 연휴 때 잘만 입소문 타서 사람들을 끌어들인다면 흥행에는 큰 무리가 없을 듯 보인다. [[CJ그룹]]에서 《[[군함도(영화)|군함도]]》의 처절한 실패에서 뭔가 교훈을 받았는지, [[CGV]]에 남한산성 스크린 싹쓸이는 벌어지지 않았다. 《[[킹스맨: 골든 서클]]》이 2주차임에도 [[IMAX]], [[4DX]] 등 특별관 전부를 석권하고(물론 남한산성은 IMAX, 4DX 버전이 없다) 일반관도 1-2개를 차지하면서 《남한산성》과 스크린을 나눠먹고 있으며 《[[범죄도시]]》 및 각종 애니메이션 작품들도 스크린을 당당히 갈라먹고 있다. 개봉 전에는 100% 남한산성 스크린 싹쓸이 할 거라던 영화팬들은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우리 CJ가 달라졌어요]]'''라면서 다들 [[충격과 공포]]의 반응. 남한산성 스크린 수는 개봉 첫 날 1,124개 스크린으로 군함도 스크린 개수의 절반 수준이다. 2017년 10/4 기준 현재 예매율은 남한산성 41.2%, 킹스맨 22.4%, 아이 캔 스피크 15.7%, 범죄도시 9.5%, 딥 1.9%, 넛잡2 1.5% 등이다. 개봉 둘째 날까지는 총 1,024,121명이 보면서 이틀만에 100만 명을 갱신했다. 이 기록은 역대 추석 최고 흥행작인 《[[광해, 왕이 된 남자]]》, 《[[사도(영화)|사도]]》의 개봉 4일째 돌파보다 이틀 앞선 것으로 역대 추석 영화 최단 기간 100만 돌파 신기록이다. 10월 7일까지 260만명이 관람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범죄도시]]》의 추격이 무섭다. 《남한산성》(-27%)를 비롯한 다른 영화들은 모두 전일 대비 관람객수가 감소했지만 《범죄도시》만 홀로 10% 증가한 관객을 동원하며 《킹스맨》을 제치고 2위에 안착, 1위 자리를 노리고 있다. 10월 8일에는 결국 《범죄도시》의 추격에 쫓겨 1위 수성에 실패했다. 확실시되던 300만 돌파도 아슬아슬하게 달성하지 못했다. 예매율은 비등비등한 상황이지만 흥행에는 빨간 불이 켜지고 말았다. 10월 9일에 300만을 넘기는 데 성공했지만 현재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손익분기점은 달성할 것으로 보이나, 그 이상은 어렵다는 게 중론. '통닭인 줄 알았는데 백숙'이었다는 네이버 평으로도 대충 알 수 있듯이 추석에 보기에는 예상보다 무겁고 난해한 내용인지라 이에 대해 당혹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아 입소문이 부정적으로 흐른 듯. 10월 10일에는 《범죄도시》와의 격차가 많이 벌어지며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어려울 것 같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결국 [[손익분기점]]을 돌파하는 것에는 실패했으나, 작품의 완성도가 높은 만큼 [[황해(영화)|황해]]의 경우처럼 TV방영과 VOD 판매 등으로 어느 정도 손실을 회복할 것이라는 희망은 보인다. 혹자들이 말하길, 흥행의 실패 중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이 영화가 [[병자호란|치욕적인 '패배']]를 그대로 영화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 존재하는 유적인 [[삼전도비]]가 당한 수모만 보더라도 예측 가능한 상황이었다.] 비록 [[의도는 좋았다|한국 영화의 흥행 공식을 따라가지 않은 참신함 등 작품성은 좋았으나]] 결국 앞서 말했듯이 패배를 그대로 스크린에 담아냈고 시종일관 암울하고 무거운 영화의 톤이 대중적인 흥행을 이끌기에는 부족했다는 평. 이와 정확히 반대되는 사례가 2014년의 명량이다. 명량은 '승리'를 영화화해 '''국뽕성 흥행'''에 크게 성공한 사례이며, 하필 시기가 '''국뽕이 잘 먹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품 내용 자체는 신파와 고증 오류, 질 낮은 대사와 억지 전개로 떡칠된 졸작이었으며 유일하게 해전만이 평가가 좋았다. 하지만 명량과 반대로 어둡고 비참한 주제를 다룬 무거운 영화들이 재미라는 요소까지 잡아 성공한 적이 꽤 있음을 감안하면, 이 점만 보완된다면 역사물뿐만 아니라 상업 영화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수작이 나올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 [[북미]] === 2017년 10월 6일 [[로스앤젤레스]] 지역권에선 개봉을 했다. 나머지 도시에선 2017년 10월 20일에 개봉. 2017년 10월 22일 기준으로 $138,486의 총수입을 기록했다.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page=main&id=thefortress.htm|링크]] 예상대로 무난히 폭망 달성. === [[일본]] === 일본인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은 만큼 일본에서도 개봉했다. 일본 타이틀은 [[https://youtu.be/WYHgKFJREow|'천명의 성'.]] 수입 및 배급사는 [[부산행]]을 수입한 TWIN사로, 2018년 6월 22일(금) 개봉했으며 12세 이상 관람가(PG12) 등급을 받았다.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10> [[2017년]] || 제1회 한중국제영화제 || 감독상 || [[황동혁]] || ||<|5> 제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최우수작품상 || 남한산성 || || 감독상 || [[황동혁]] || || 촬영상 || [[김지용(촬영감독)|김지용]] || || 음악상 || [[사카모토 류이치]] || || 영평10선 || 남한산성 || || '''[[제38회 청룡영화상]]''' || '''각본상''' || '''[[황동혁]]''' || ||<|3> 제4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 작품상 || 남한산성 || || 편집상 || 남나영 || || 음향상 || 최태영 || ||<|9> [[2018년]] || 제12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 촬영상 || [[김지용(촬영감독)|김지용]] ||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작품상''' || '''남한산성''' || ||<|2> 제23회 춘사영화제 || 감독상 || [[황동혁]] || || 기술상 || [[김지용(촬영감독)|김지용]] || ||<|3> '''제55회 [[대종상 영화제]]''' || '''촬영상''' || '''[[김지용(촬영감독)|김지용]]''' || || '''조명상''' || '''조규영''' || || '''음악상''' || '''[[사카모토 류이치]]''' || || 제19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심사위원특별상 || [[황동혁]] || || 제18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특별언급 || [[황동혁]] || == 기타 == * [[최종병기 활]]과 캐스팅이 많이 겹쳤다. [[인조]] 역을 맡은 [[박해일]]은 6년 전 동시대인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영화인 《[[최종병기 활]]》에서 엄청난 활잡이 주인공인 남이 역을 맡았었다.[* 거기다 참 아이러니한 게 나중에 거기서 박해일의 나레이션으로 인조를 더러 '나라도 백성도 버린 그 임금은 이미 큰 죄인이오.'라고 디스한다.] 칠복이 역의 [[이다윗]]은 남이 아역으로 출연했다. 청의 역관 정명수 역을 맡은 [[조우진(배우)|조우진]]은 최종병기 활에서는 만주족 병졸로 나와 남이에게 죽는다. * 최명길 역을 맡은 [[이병헌]]은 인조 이전의 시대를 다룬 《[[광해, 왕이 된 남자]]》에서 광해군으로 출연했다. 두 영화에서 모두 청과의 화친을 주장하는 역으로 출연한 셈. * [[http://news.joins.com/article/21980560#none|남한산성의 제작자인 이든픽쳐스 김지연 대표는 원작자인 김훈 작가의 딸이다.]] 영화계에서는 명절을 겨냥한 대작으로 기획된 《남한산성》이 통상적인 흥행 공식을 따르기 보다는 원작의 깊이를 살리는 데 초점을 맞춘 데에는 작가의 딸인 제작자의 영향도 컸으리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주연 배우 4명 중 김윤석을 제외한 3명과 황동혁 감독이 직접 송파구에 위치한 삼전도비를 방문했었다. * 2017년 [[청룡영화상]]에서 [[택시운전사]], [[박열(영화)|박열]],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더 킹(영화)|더 킹]]과 함께 최우수작품상 후보에 올랐으나 작품상은 택시운전사에게 돌아갔다. 대신 각본에서는 201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들 중에서 적수가 없는 수준이었기에 각본상을 수상했다. 충분히 좋은 성과다. * 2018년 [[백상예술대상]]에서는 [[택시운전사]], [[박열(영화)|박열]], [[1987(영화)|1987]], [[신과함께-죄와 벌]]을 누르고 영화부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 [[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021&aid=0002372657|김지용 촬영감독이 카메리마주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인 최초로 수상을 했다.]] * 중국 관객들은 반응이 엇갈렸다.[[http://todayhumor.com/?bestofbest_428874|#]], [[https://m.fmkorea.com/best/3448863823|#]][* 내몽골 자치주 출신들의 반응이다.] 한족의 통일 왕조인 명나라의 우방이었던 조선이 오랑캐에게 굴복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는 반응도 있었고, 한국이 중국에게 무릎을 꿇어 꼴좋다는 반응도 있었다. 왜 중국이던 청나라가 한어 대신 만주어를 쓰냐는 반응도 있었다.[* 중국의 청나라 배경 사극은 중국어를 쓰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옛날에는 그냥 대륙 주변 세력이 아닌 외세들까지 전부 중국어를 쓰는 것으로 연출하곤 했다. [[중일전쟁]] 드라마에서 일본군들이 중국어로 대화하는 연출이 나오기도 했을 정도. 이는 옛날 한국 사극에서 중국이나 일본이나 몽골이나 다 똑같이 한국어를 쓰는 것처럼 연출했던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전반적으로 중장년층인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이 영화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청나라 역시 중국의 역사라는 식으로 배운 최근의 젊은 층들은 이 영화를 비웃거나 왜 같은 중국끼리 싸우고 있냐는 식으로 납득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 무비썸 송경원 평론가 [[https://youtu.be/nEhzYvoSfys|#]][[https://youtu.be/otGkaHxzCFY|2]][[https://youtu.be/WUrfVpRSZRE|3]] * [[황동혁]] 감독이 밝히길, [[오징어 게임]]을 포함하여 자신이 감독한 모든 작품들 중 가장 애정하는 작품이라 밝혔다. 스스로 영화감독이 되기 전부터 만들기를 꿈꿔온 작품이기도 하고, 자신의 모든 역량을 담아 만든 영화라고도 덧붙여 말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흥행에 실패한 점에서 아픈 손가락으로도 생각하고 있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CTuxCfTy8U|#]] * 작곡가 [[사카모토 류이치]]가 23년 3월 28일 향년 71세의 일기로 타계하였기에 이 작품이 그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음악을 담당한 한국영화가 되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4c170a5cc79afd9f79eb542edd5f8b51b3b33fe7|#]] 참고로 그는 과거 [[마지막 황제]]에도 참여했는데 덕분에 청의 멸망을 다룬 영화와 청의 비상을 다룬 영화 양 쪽 모두의 음악을 담당했다는 이색적인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남한산성(소설)]] * [[병자호란]] * [[삼전도의 굴욕]] * [[황동혁]] [[분류:남한산성(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