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주시의 읍면동)] ||<-2> '''[[파일:경주시 CI.svg|height=15]] [[경주시|{{{#000000,#dddddd 경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내남면}}}'''[br]內南面 | Naenam-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주시 내남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50062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34행정리 114반 || || '''면적''' || 122.06㎢ || || '''인구''' || 4,591명[* 2022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7.6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경주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석기]] ,,(재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승직(정치인)|박승직]] ,,(재선),, || ||<-2> '''경주시의원 | 사 선거구'''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김동해(정치인)|김동해]]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소현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광호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이조중앙길 31 (이조리 156-2) || || [[https://www.gyeongju.go.kr/village/naenam/index.do|내남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경주시 서남쪽으로 면소재지는 이조리이며,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과 접해 있다. 1973년 6월까지는 탑동, 율동, 배동이 내남면 소속이었고 면사무소도 [[경애왕릉]] 아래 도로가에 있었는데 여기들이 시내동지역으로 편입되면서 남은 동네가 현재의 내남면이다. 계곡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형산강]] 방향으로는 지형이 평탄하고 이동도 용이하지만, 동서로는 큰 산에 막혀 이동이 어렵다.[* 특히 내남면과 산내면을 잇는 도로는 그야말로 '''오프로드다.''' 따라서 보통은 [[경주역]] 방면으로 가서 [[7번 국도]]-[[4번 국도]]-[[20번 국도]]로 간다.] 2006년 10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장 주변에서 [[삼한#s-2.1|삼한]] 시대 [[사로국#s-1|사로국]]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유적과 2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경주의 "땅파면 문화재가 나온다" 라는 명성을 재확인 시켜 주었다. [[2016년 경주 지진]]을 포함한 [[100년 경주 지진|경주에서]] [[779년 경주 지진|일어난]] [[1036년 경주 지진|지진들]]의 진앙지가 거의 모두 내남면의 동네들이다. [[울산광역시]]와 가깝지만 울산광역시 방면은 울산시내 방면은 고사하고 언양읍 방면도 없으며 경계지점인 두동면 봉계까지만 들어온다. 울산시내로 가려면 봉계에서 [[울산 버스 802|울산 802번]], 언양읍내나 [[울산역]]으로 가려면 [[울산 버스 308|308번]]을 이용해야 한다. 아니면 외동 방면 버스를 타고 600 - 모화 - 울산행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주요 시설 == * 내남면행정복지센터 * [[경덕왕릉]] * 전(傳) [[민애왕릉]] * 희강왕릉 * 충의당 * 용산서원 * 용장계곡 == 교육 == === 초등학교 === * 내남초등학교 === 고등학교 === *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 교통 == === 철도 === [[동해선]]과 [[경부고속선]] 철도가 지나지만 역은 없다. 내남면소재지에 [[이조신호장]]이 건설되려다 무산되었는데, [[동해선 광역전철]] 신경주역 연장과 함께 내남면에도 이조역 신설을 추진 중이다. === 도로 === 원래 국도는 [[35번 국도]] 하나뿐이었고 내남에서 건천 및 외동으로 가려면 꼬불꼬불한 [[904번 지방도]]를 지나야해 악명이 높고 화물차도 많이 다니는 도로였는데, [[경주역]]-내남면-[[외동읍]]을 잇는 국도대체우회도로가 완공되어 [[7번 국도]]가 이쪽으로 이전되어 [[7번 국도]]도 지나다니게 되었으며, [[외동읍]] 방면과 [[건천읍]] 방면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경주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을 잇는 [[반구대로]]가 확장 개통되면서 양쪽으로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의외로 [[북울산역]] 일대와 호계동, 중산동, 매곡동 일대 주민도 많이 이용하는데, 이는 [[울산IC]]보다 [[경주IC]]가 더 가까워 [[7번 국도]]-[[35번 국도]]로 가기 때문이다. [[경부고속도로]]도 내남을 지나가나 나들목은 없고 부산 방면은 [[활천IC]], 서울 방면은 [[경주IC]]를 이용해야 한다. === 시내버스 === * [[경주 버스 332]][* 면소재지로 안들어오고 서쪽 끝인 비지리 반탕골로만 들어오니 주의해야 한다.] * [[경주 버스 500]] * [[경주 버스 502]] * [[경주 버스 505]] * 경주 버스 506 * [[경주 버스 507]] * [[경주 버스 508]]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주시/행정, version=440, paragraph=2.6)] [[분류:경주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