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무위키에 등재된 대한민국의 성공회 성당)] ---- ||<-5>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시도유형문화재|{{{#ffffff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50호 ||<|2> ← || '''51호''' ||<|2> → || 52호 || || 구 인천일본제18은행지점 || '''[[대한성공회 내동성당|인천 내동 성공회 성당]]''' || [[온수리성당|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 ---- ||||<-3>
{{{#white 한국 최초의 교회 {{{+1 '''성 미카엘 성당'''}}}[br]{{{-1 內洞聖堂 | 내동성당[br]St. Michael's Church, Nae-dong, Incheon}}}}}} || |||| || '''{{{#white 위치}}}''' ||<-2>[[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개항로45번길 21-32(내동) || || '''{{{#white 종교}}}''' ||<-2>[[성공회]] || || '''{{{#white 소속}}}''' ||<-2>[[서울교구]] 서부교무구 || || '''{{{#white 지위}}}''' ||<-2>본당 (Church) || || '''{{{#white 주보성인}}}''' ||<-2>[[미카엘|성 미카엘]] || || '''[[서울교구장|{{{#white 교구장}}}]]''' ||<-2>[[이경호(주교)|이경호 베드로 주교]] || ||<|2> '''{{{#white 사목단}}}''' ||<(> 관할 ||장기용 요한 신부 || ||<(> 보좌 ||김학윤 다니엘 신부 || ||<|4> '''{{{#white 건축정보}}}''' ||<(> 축성||1891년 9월 29일 축성[*구성당], 1956년 6월 23일 축성[*현성당] || ||착공||1891년 착공[*구성당], 1955년 8월 28일 착공[*현성당] || ||완공||1891년 9월 29일 완공[*구성당], 1956년 6월 23일[*현성당] || ||양식||바실리카 양식, 일부 한옥양식[* 맞배지붕을 본뜬 지붕], H-빔 공법 || ||<-3> [include(틀:지도, 장소=대한성공회 내동성당, 너비=100%, 높이=224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_정면.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 [[한국어]]: 성공회 내동성당 * [[영어]]: St. Michael's Church, Nae-dong, Incheon * [[한문]]: 聖公會 內洞聖堂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개항로 45번길 21-32 (내동 3)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성공회 교회. [[찰스 존 코프]] 주교와 그 일행들이 세운 교회로, 한국 최초의 서양식병원인 '성 누가[* 성 루가의 옛 번역명이다.] 병원'[* 당시 조선인들은 '영국병원'이라고 불렀다.]과 같이 운영하였다. 최초의 성당이라고 하지 않는 것은, 최초의 성당은 소실되고, 남은 신자들이 새로운 성당에서 그 명맥을 잇고 있기 때문에 '교회'라고 하는 것이다. 성당은 소실되었어도 교회공동체[* 사실 좀 어색한 단어이다. 원래 '교회'라는 단어가 '믿는이들의 모임'이라는 뜻이나, 한국의 개신교회당이 대중적으로 '교회'라고 인식되다 보니(원래는 개신교회의 예배 건물은 '예배당'이다.), 그와 구별하기 위해 뒤에 '공동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것이다.]는 송학동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역사 == === 성당과 병원이 시작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_송학동시절.jpg|width=100%]] }}}|| || {{{#000000 {{{-1 송학동 성 미카엘과 모든 천신 성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 누가 병원.jpg|width=100%]] }}}|| || {{{#000000 {{{-1 내동 성 누가 병원}}}}}} || 1891년 초대 조선교구장 이였던 [[찰스 존 코프]] 주교는 본격적인 선교를 위해 중구 송학동 3가 3 부지를 매입하고, 성당 건설에 착수한다. 또한, 성당 공사 도중 [[찰스 존 코프]]주교는 지금의 성당 자리인 내동 3 부지를 매입하고, 의료선교를 위한 병원건립을 시작한다. 같은해 9월 31일 옛 성당이 완공되어 '성 미카엘과 모든 천신'의 성당으로 축성하고, 10월 18일 '성 누가 첨례일'[* '성 루가 축일'의 옛 번역명]에 병원이 완공되어 그 이름을 '성 누가 병원'이라 하였다. === 성 누가 병원의 업적 === 성 누가 병원은 인천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진료개시 3개월만에 입원 34명, 외래 76명, 왕진 25건 등 이후로도 엄청나게 많은 조선인들을 돌보았다. 병원을 맡던 랜디스 박사의 실력이 매우 뛰어나 소문을 듣고 전라도에서 오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성 누가 병원은 진료비를 일체 받지 않게 하여 아프고 가난한 조선인들이 아무런 부담 없이 올 수 있게 하였고, 온돌 입원실, 가마 엠뷸런스 ~~한국형 엠뷸런스의 시초~~ 등은 제물포에서 매우 화제가 되었다. === 병원이 문을 닫다 === 1898년 4월 16일 성 누가 병원을 맡고 있던 랜디스 박사가 [[장티푸스|장질부사]]로 별세했다. 그로 인해 잠시 문을 닫았다가 카덴 박사나 와이어 박사 등을 중심으로 다시 재건되었으나, 1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영국 선교부의 지원이 끊기게 되면서 1917년 6월 성 누가 병원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말았다. === 성당이 무너지다 ===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한국 최초의 성당인 '송학동 성 미카엘과 모든 천신 성당'도 폭격을 받아 무너졌다. 그 뿐만아니라 당시 관할사제였던 조용호 신부가 납북되는 등 여러 곡절이 계속됐다. 53년 전쟁이 끝나고 교우들은 '성 루가 병원'이 있었던 내동 3번지에서 미사를 봉헌하기 시작한다. === 지금의 모습으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정초.jpg|width=100%]] }}}|| || {{{#000000 {{{-1 내동 성 미카엘 성당 정초석}}}}}} || 1955년 8월 28일 지금의 성당 자리에 정초식을 거행하고, 1956년 6월 23일 당시 [[한국교구]] 보좌주교였던 [[아서 차드웰]] 주교가 지금의 모습의 성당을 축성하였다. === 현 성당의 모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_탁상제대&벽제대.jpg|width=100%]] }}}|| || {{{#000000 {{{-1 탁상제대 및 벽제대[* 앞은 탁상제대이고, 뒤쪽은 벽제대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동성당_2층.jpg|width=100%]] }}}|| || {{{#000000 {{{-1 2층에서 제대쪽을 바라본 모습}}}}}} || === 현 성당 완공 이후 === * 1965년 '성 미카엘 유치원'을 설립한다.[* 다만 유치원은 동인천 일대 학령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폐원됐다.] * 1989년 6월 25일 '나눔의 집'을 개원한다. * 1993년 '성 미카엘 종합사회복지관'을 개관한다. * 1998년 '아동복지관'을 개관한다. * 200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51호로 등재된다. == 대중매체에서 == === 드라마 === * [[미스터 션샤인]][* 22화] * [[타임즈(드라마)|타임즈]] *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 * [[수리남(드라마)|수리남]] - 작중에서 [[파라마리보]]에 있는 외국 한인교회로 나온다. === 영화 === * [[http://naver.me/FGooDq2V|거인]] === 뮤직비디오 === * [[ATEEZ]] - [[https://youtu.be/VBZA_15mGGU|검은고양이 네로]] [[분류:성공회 서울교구]][[분류:성공회 성당]][[분류: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템플릿/성공회]][[분류:근대건축물]][[분류:인천 중구 원도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