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낸시 케리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은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동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챔피언)] ---- }}} || ---- ||<-2>
'''{{{+1 낸시 케리건}}}[br]Nancy Kerrig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낸시 케리건.jpg|width=100%]]}}} || ||<-2> '''{{{#000000,#ffffff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은메달 획득 당시}}}''' || || '''본명''' ||낸시 앤 케리건 (Nancy Ann Kerrigan)||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69년]] [[10월 13일]] ([age(1969-10-13)]세)|| ||[[매사추세츠|매사추세츠 주]] 스톤햄|| || '''신체''' ||162cm||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은퇴''' ||[[1994년]]|| || '''링크''' ||[[http://instagram.com/nancyakerriga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2004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로 유명하다. == 선수 경력 == 케리건은 강한 점프 선수로서의 초기 인상을 남겼지만, 컴펄서리에서는 비교적 약했다. 1989-90 시즌 이후 컴펄서리가 폐지될 때까지 그녀는 계속해서 컴펄서리에 의해 제지되었다. === 1986-87 시즌 === 1986 NHK 트로피에서 5위를 했다. 1987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4위에 오르면서 자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 1987-88 시즌 === 시니어 내셔널에 데뷔했으며 1988 전미선수권에서 12위를 기록했다. === 1988-89 시즌 === 198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 1989 전미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1989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을 땄다. === 1989-90 시즌 === 1989 친선경기에서 5위, 1989 트로피 랄리크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90 전미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 1990-91 시즌 === 1990 트로피 랄리크에서 3위, 1990 나치온스 컵에서 1위를 기록했다. ||
[[파일:1991 전미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300]]||[[파일:1991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15]]|| || 1991 전미선수권 || [[199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1 세계선수권]] || 1991 전미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내셔널에서의 상승세가 계속되었다. 따라서 [[199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1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으며,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 대회에서 동료인 [[크리스티 야마구치]]와 [[토냐 하딩]]이 각각 금, 은메달을 따내면서 세계선수권에서 단일 국가로는 처음으로 여자 싱글 시상대를 스윕했다. === 1991-92 시즌 === 199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2위를 기록했다. ||
[[파일:1992 전미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파일: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305]]|| || 1992 전미선수권 ||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 1992 전미선수권에서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땄고 [[199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2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 1992-93 시즌 === ||
[[파일:1993 전미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100%]]|| || 1993 전미선수권 || [[크리스티 야마구치]]가 은퇴한 상황에서, 케리건은 1993 전미선수권에서 비록 실수가 있었지만 우승을 차지했다. [[199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3 세계선수권]]에선 쇼트에서 1위에 올랐으나, 프리에서는 거의 모든 점프에서 손을 짚거나 넘어지는 실수가 나왔고 결국 최종 5위로 추락했다. === 1993-94 시즌 === 올림픽 선발전을 겸한 전미선수권을 앞둔 [[1994년]] [[1월 6일]], 케리건은 피겨계를 넘어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한 범죄의 희생양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토냐 하딩 사건]] 문서 참조. 결국 케리건이 전미선수권을 기권한 가운데, [[토냐 하딩]]이 우승을 차지했고 [[미셸 콴]]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케리건은 올림픽 대표 2자리 중 한 자리에 들어가게 되었고, [[미셸 콴]]은 대체 선수로 대표팀과 동행하게 되었다. 케리건은 부상에서 빨리 회복하여 집중 훈련을 재개했다. ||
[[파일: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 습격이 있은 지 7주 후,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이 열렸고 케리건은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훌륭한 연기를 선보였다. 그녀는 쇼트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프리에서 [[옥사나 바이울]]에게 역전당하였고 결국 금메달을 [[옥사나 바이울]]에게 아슬아슬하게 내주었다.[* 프로토콜 결과, 기술점수에서는 낸시는 5.7점을 3개, 5.8점은 6개를 받았다. 반면 바이울은 5.5점 1개, 5.6점 1개, 5.7점 1개, 5.8점 5개, 5.9점을 1개 받았다. 예술점수에서는 낸시는 5.9점을 6개 받아 미국 관중들은 거의 낸시의 금메달을 예상하고 있었다.[* 당시 프리 스케이팅에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했다. 첫번째 트리플 토룹은 회전수가 부족했지만, 당시에는 개별 요소에 점수를 주지 않았던 구채점제였고 무엇보다 3회전+3회전 컴비네이션은 일부 '''최상위권 선수들도 시도조차 못하는 최고난도 점프였다.'''] 그런데 당시 동독 출신 독일 심판이었던 [[얀 호프만]]이 바이울에게 '''예술점수 0.1점을 더 주어서 바이울 역시 낸시처럼 5.9점을 6개를 받게 되었을 뿐더러, 그로 인해 낸시와 바이울의 점수를 1위로 채점한 심판의 수가 동점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당시에는 예술점수로 순위에 우위를 두었던 채점제였기 때문에 예술점수를 조금 더 높게 받은 바이울이 금, 낸시가 은메달이 되었다. CBS TV는 이 논란을 냉전시대 동서 분단으로 묘사함으로써 격앙된 평가를 했으며, 그로 인해 [[얀 호프만]]은 북미에서 까일대로 까였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옥사나 바이울|같은 유럽, 그것도 같은 공산권 출신 선수]]에게 점수를 더 주었다고 [[:파일:5F488F4B-FB6A-4ABB-BDDA-A368A9DD35D6.jpg|까였다.]]] 케리건은 2위를 차지한 것에 대해 불만과 실망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였다.[* 올림픽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 국가와 국기를 20분 넘게 찾느라 시상식이 지연됐었는데 옥사나 바이울이 울어서 화장이 지워져 다시 고치느라 시상식이 지연됐다고 누군가 케리건에게 잘못 알렸다. 실망한 기색이 역력한 케리건은 함께 대기하던 [[천루]]에게 “Oh, Come on. So She's going to get out here and cry again. What's the difference?” 라고 불만을 터뜨리는 것이 카메라에 잡혔다.] CBS에서 이것에 대해 방송하였는데, 이게 습격 사건 피해자라는 이미지를 보호해온 케리건에 대한 동정심과 여론을 악화시켰다. 후에 올림픽 폐막식에 불참했고, 미국으로 떠났다.[* 당시 그녀의 소속사는 이것이 노르웨이 보안 팀이 그녀에게 살해 위협 때문에 떠나라고 충고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것은 나중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그녀는 2백만 달러의 스폰서인 월트 디즈니 월드에서 예정된 홍보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노르웨이를 일찍 떠났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는데, 월트 디즈니 월드 퍼레이드에서 케리건이 미키 마우스와 함께 관람객들에게 웃는 얼굴로 손을 흔들며 케리건이 미키 마우스에게 중얼거리는 말이 그대로 녹음되었는데, "It’s so corny.", "so dumb… I hate it.", "This is the most corny thing I’ve ever done."[* "진짜 진부해.", "완전 바보같아… 진짜 싫다.", "내가 했던 것 중 가장 진부한 일이야." 라는 의미인데, 당시 언론에서 "Icy Nancy" 라고 대놓고 부를 정도로 평판이 추락했다.]세계선수권도 불참하였으며 이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 커리어 == ||<-3>
{{{#white 올림픽}}} || || 은메달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여자 싱글]]|| || 동메달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92 알베르빌]]||[[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여자 싱글]]|| ||<-3> {{{#white 세계선수권}}} || || 은메달 ||[[199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2 오클랜드]]||여자 싱글|| || 동메달 ||[[199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991 뮌헨]]||여자 싱글|| ||<-3> {{{#white 유니버시아드}}} || || 동메달 ||1989 소피아||여자 싱글|| ---- ||<-11>
'''{{{#white 국제대회}}}''' || || '''대회''' || '''84–85''' || '''85–86''' || '''86–87''' || '''87–88''' || '''88–89''' || '''89–90''' || '''90–91''' || '''91–92''' || '''92–93''' || '''93–94''' || ||올림픽|| || || || || || || || 3rd || || 2nd || ||세계선수권|| || || || || || || 3rd || 2nd || 5th || WD || ||피뤠텡|| || || || || || || || || 1st || || ||나치온스 컵|| || || || || || || 1st || || || || ||트로피 랄리크|| || || || || || 3rd || 3rd || || || || ||친선경기|| || || || || || 5th || || || || || ||유니버시아드|| || || || || 3rd || || || || || ||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 5th || || || 2nd || || || ||노버랫 트로피|| || || || 1st || || || || || || || ||NHK 트로피|| || || 5th || || || || || || || || ||<-11> '''{{{#white 국내대회}}}''' || ||전미선수권|| 9th N || 11th J || 4th J || 12th || 5th || 4th || 3rd || 2nd || 1st || WD || ||미국 올림픽 페스티벌|| || || || || 3rd || 1st || || || || || ||<-11> J=주니어, N=노비스, WD=기권 || == 기타 ==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사라 케리건]]은 이 사람의 이름에 유래되었다. 이는 디자인 구상 당시 전반적인 캐릭터의 모델인 [[레드얼럿]] 시리즈의 [[타냐(레드얼럿)|타냐]]가 [[토냐 하딩]]과 이름이 비슷한 타냐를 빗대서 낸시 케리건의 이름을 따왔다.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토냐 하딩은 기술성, 이 선수는 예술성이 뛰어난 것으로 소개하였는데, 낸시 케리건 선수도 예술성보다는 기술성이 뛰어난 선수였다. 트리플-트리플 콤비네이션 점프를 했었고, 점프의 안정적인 성공률[* 전문 용어로는 Consistency(컨시)라고 한다.]이 좋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딩보다 우위를 점하기 쉬웠다. 반면 토냐 하딩은 트리플 악셀, 트리플 콤비의 기술 난이도는 높았지만, 점프의 안정성이 낮았다. *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인 것과 별개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땐 다소 프로답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다. 메달 시상식이 우크라이나 국기와 국가를 준비하던 당시, [[천루]]에게 [[옥사나 바이울]]에 대한 불만을 쏟는 모습이, 미국 방송 카메라에 잡혔다. 경기가 끝나고 폐막식 대신 디즈니 퍼레이드에 참가하여 언급한 불만에 대한 변명을 했지만, 이 때부터 자국 여론은 좋지 못했고 이미지가 추락했다. 반대로 [[옥사나 바이울]]은 미국 아이스 쇼에 초청을 받으며 미국 언론에서 "은반의 요정"으로 각광받았다. 다만 낸시 캐리건이 해당 발언으로 인해 지나치게 비난을 받는다는 의견 역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당시 현장에 있던 관계자로부터 "옥사나 바이울이 우느라 메이크업이 지워져서 다시 손 봐야 하기 때문에 시상식이 지연되고 있다"고 잘못 전달받은 상황이라, 보통의 선수 입장에서는 충분히 짜증스러운 상황인 것은 분명했다. 왜냐하면 포디움에 오른 선수들은 스케이트화를 계속 신은 채로 대기해야 하는데, 연기가 끝난 후에도 스케이트를 계속 신고 있다보면 딱딱한 스케이트화로 인해 발목과 다리가 상당히 아프기 때문이다.즉 낸시의 언행이 잘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하여 그녀가 이렇게 큰 비난을 받는 것도 다소 가혹하다는 의견이다. 특히나 아주 사소한 차이로 평생의 꿈인 금메달을 놓친 캐리건의 입장에서 기분이 좋았을리가 없었을 것이다. * 하지만, 낸시 케리건의 여론을 정말 악화시킨 것은 옥사나 바이울에 대해 불만을 토로한 것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케리건은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라는 인식과, 사실상 그녀의 마지막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는 여론이 강했기 때문이다.[* 당시 낸시 케리건의 나이가 24살이었는데,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자 피겨 스케이터로서는 많은 나이다.]하지만, 케리건이 폐막식에 불참하고, 미국으로 떠난 뒤, 케리건이 디즈니 퍼레이드에서 웃는 얼굴로 그녀 옆에 있던 '''미키 마우스'''에게 짜증과 불평을 한 것이 그대로 녹음되어 방송되며 여론이 극도로 나빠졌다.[[https://youtu.be/9oozUaizleQ?si=r7Z-GIsU-sjoX3mm|#]] 바이울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것은 실망감에 이해할 수 있다는 반응이 많았으나, 무려 200만 달러 스폰서인 디즈니의 행사에서 미키 마우스에게[* 당연하지만, 인형탈을 쓴 직원이었다.] 짜증을 낸 것은 변명할 수 없었다. 게다가, 그 직후 디즈니가 NBC의 아침 토크쇼에 케리건이 출연하도록 주선했는데[* 여론을 악화시키는 논란에 대해 해명을 하라는 의미일 가능성이 높았다.] 어떤 이유에선지 낸시 캐리건이 제시간에 오지 않아, NBC의 아침 토크쇼에서는 텅 빈 의자가 생방송으로 그대로 송출되었고, 방송이 끝나기 직전에야 케리건이 나타났다. * 은퇴 이후 아이스 쇼 무대에 오르고 주니어 시절의 [[김연아]]의 경기를 해설하는 등 선수 및 해설가로서는 성공적이고 모범적인 삶을 살았으나, 아픈 가정사를 가졌다. 용접공인 아버지가 집을 저당잡힐 정도로 딸의 스케이팅에 지원을 해줬으나 2010년, 여러 면에서 문제가 많았던 오빠와의 큰 다툼으로 인한 충격으로 심장 마비로 사망하였다. 낸시의 어머니도 당시 그 자리에 있었으나 시력이 실명에 가까운 상태[* 이 때문에 케리건은 시각 장애인 단체의 대변인을 맡기도 했다.]라 무슨 일이 일어나는 중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음에도 법정에 서서 증언을 하는 등 가혹한 일을 겪어야 했다. == 관련 문서 == * [[아이, 토냐]] * [[토냐 하딩 사건]] [각주] [[분류:미국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스토넘(매사추세츠)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1994년 은퇴]][[분류:미국의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미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1989 소피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영국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