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 [include(틀:근육)] ||||
{{{#ffffff ''' ''femoral triangle[br](넙다리삼각, 대퇴삼각)'' '''}}} || || [[파일:넙다리삼각.jpg|width=100%]] || [[파일:넙다리삼각실제모습.png|width=100%]] || || 오른쪽 넙다리삼각의 모식도[* 그림의 long saphenous vein은 두 번째 그림의 gsv(great saphenous vein, 큰두렁정맥)의 다른 이름이다. 즉, 같은 정맥이다.] || 왼쪽 넙다리삼각의 실제 해부 사진[*단어 al=adductor longus ([[긴모음근]]), gsv=great saphenous vein ([[큰두렁정맥]]), pect=pectineus ([[두덩근]]), v=femoral vein ([[넙다리정맥]]), a=femoral artery ([[넙다리동맥]]), pf=profunda femoris artery; deep femoral artery ([[깊은넙다리동맥]]), n=femoral nerve ([[넙다리신경]]), ip=iliopsoas ([[엉덩허리근]]), 그 외 약어 아닌 단어는 sartorius ([[넙다리빗근]]), inguinal ligament ([[고샅인대]]). 긴모음근보다 안쪽에 존재하는 긴 근육은 [[두덩정강근]].] || [목차] [clearfix] == 개요 == 넙다리삼각(femoral triangle)은 넓적다리 앞칸에 위치하는 가장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 넙다리삼각의 꼭대기 지점은 넓적다리 위쪽 1/3 지점에 존재하며, 이 안을 넙다리신경/동맥/정맥 등이 모두 지나는 역삼각형 모양 구조이다. 개정 전 용어는 대퇴삼각([[大]][[腿]][[三]][[角]][* [[큰 대]], [[넓적다리 퇴]], [[석 삼]], [[뿔 각]]]). == 구조 == === 경계 === 넙다리삼각의 가쪽/안쪽/위쪽 경계(boundary)는 다음과 같다: * 가쪽 경계 -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의 안쪽 경계. * 안쪽 경계 - [[긴모음근]]('a'dductor longus muscle)의 안쪽 경계. 단,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가쪽 경계로 보기도 한다.[* 대한해부학회가 펴낸 국소해부학 셋째판의 경우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가쪽 경계라고 설명한다.][* 이 경우 넙다리삼각의 영역은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봤을 때보다 좁아지게 되고, 넙다리삼각의 바닥을 이루는 근육들에서 긴모음근은 빼고 설명하게 된다.] 이 문서의 해부 사진에서는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설정하였다. * 위쪽 경계 - [[고샅인대]]('i'nguinal 'l'igament). 이들 경계를 외우는 방법으로는 가쪽-안쪽-위쪽 경계를 이루는 구조들의 첫자를 따와 'sail'이라고 외우는 방법이 있다. [[https://images.app.goo.gl/3jBuNmvLxe6psfY99|예시.]] 마침 역삼각형 모양인 넙다리삼각이 [[돛]]처럼 생기기도 했다. 한편, 위쪽 경계인 고샅인대를 넙다리삼각의 바닥(base), 안쪽 경계인 긴모음근 안쪽 경계와 가쪽 경계인 넙다리빗근 안쪽 경계가 만나는 지점을 넙다리삼각의 꼭대기(apex)라고 정의한다. 한편, 넙다리삼각의 바닥면(floor)[* 앞의 base와는 다르다. Floor는 넙다리삼각보다 깊은쪽의 구조들이고, base는 사실 바닥이라기보다는 위쪽 벽에 더 가깝다.]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은 가쪽에서 안쪽 순서로 [[엉덩허리근]]과 [[두덩근]], [[긴모음근]][* 단, 위에서 설명했듯 넙다리삼각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봤을 때.]이다. 넙다리삼각의 천장(roof)은 깊은쪽에서 얕은쪽 순서로 넙다리근막(fascia lata; deep fascia), 얕은근막(superficial fascia), 체근막(cribriform fascia, Hesselbach's fascia), [[피부]](skin)가 차례로 존재한다. === 지나는 구조물 === 가쪽에서 안쪽 순서로 나열한다. 넓적다리 밑쪽의 혈류나 신경 신호 전체를 전달하는 생명에 직결된 중요한 구조물들이 다수 넙다리삼각을 지나간다. * [[가쪽넙다리피부신경]](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 [[넙다리신경]](femoral nerve) * [[음부넙다리신경]] 넙다리가지(femoral branch of genitofemoral nerve) - 음부넙다리신경은 두 개의 가지를 내는데, 이 중 음부가지(genital branch)는 넙다리삼각을 지나지 않는다.[* [[:파일:넙다리혈관집.gif|해당 사진]] 참조. 음부가지가 고샅인대 위쪽에서 샅굴(inguinal canal)을 통해 빠져나와 밑으로 주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음부가지는 external spermatic nerve라고 불리기도 하며, 넙다리가지보다 가쪽으로 내려가서 고환올림근(cremaster muscle) 등을 지배한다. * [[넙다리동맥]](femoral artery) * [[넙다리정맥]](femoral vein), [[큰두렁정맥]](great saphenous vein)[* 두렁정맥구멍(saphenous opening)을 나오면서 넙다리정맥에서 분지한다.] * 깊은고샅림프절(deep inguinal lymph nodes) - 고샅림프절은 크게 얕은고샅림프절(superficial inguinal lymph nodes)과 깊은고샅림프절(deep inguinal lymph nodes) 두 그룹으로 먼저 나눌 수 있는데, 얕은 쪽은 대부분 두렁정맥구멍(saphenous opening) 근처에 분포하고, 깊은쪽은 넙다리정맥 안쪽에 분포한다. 이때 [[넙다리혈관집]](femoral sheath)은 넙다리동맥과 넙다리정맥이 고샅인대 뒤쪽으로 지나올 때, 넙다리혈관을 둘러싼다. 중요한 것은 넙다리혈관집이 넙다리신경은 싸지 않는다는 것이다. 혈관과 림프절들은 이 혈관집 안을 지나간다. 이 가쪽에서부터 넙다리삼각을 지나는 구조물의 순서가 신경('n'erve), 동맥('a'rtery), 정맥('v'ein)이기 때문에 [[https://images.app.goo.gl/TcLeg2f37B4MYkN8A|Navy]]라고 줄여서 외우기도 한다. 앞에서 넙다리삼각 경계를 이루는 구조물 암기법이 sail이었던 걸 생각하면 나름대로 억지로 연관지어 암기에 사용할 수 있을 법도 하다. == 관련 구조물 ==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혈관집은 넙다리삼각 구역 안에서 넙다리동맥/정맥을 둘러싸는 근막집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넙다리관구멍 === 넙다리관은 넙다리혈관집의 안쪽 구멍이며, 넙다리관구멍은 넙다리혈관집의 위끝으로 입구 역할을 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넙다리관)] === [[모음근굴]] === 모음근굴은 넙다리삼각 꼭대기부터 시작되는, 넙다리동맥/정맥의 주행경로를 둘러싸는 굴 모양 구조물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음근굴)] == 왜 중요한가? == 상술했듯 넙다리삼각에서는 다수의 주요 구조물들이 지나간다. 따라서 이 부위를 다치면 다리와 넓적다리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이 넙다리삼각 구조는 넙다리빗근이 지나가지 않아 보호가 덜 되는 곳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안쪽에 위치하는 넙다리정맥이 [[사이클(스포츠)|사이클]] 등의 운동을 하다가 손상되기 쉽다. 한편, 넙다리동맥은 이 삼각에서도 피부 표면 가까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샅인대 중앙 바로 밑부분에서는 넙다리동맥의 박동을 느끼기 쉬우며--살쪘으면 박동이 안 느껴진다--, 혈관 [[카테터]] 등을 시행할 때 이 넙다리삼각을 지나가는 중인 넙다리동맥 부분을 표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임상적인 이득도 있지만, 역시 표면 가까이에 있다 보니 동맥 파열이 일어나기도 쉽다는 게 [[아이러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