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암석족]][[분류:유희왕/OCG/화염족]][[분류:유희왕/OCG/물족]][[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E7ECF7;font-size:15pt;" '''네메시스'''}}}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mesesAdrastea-MADU-EN-VG-artwork.png|width=100%]][br] ,,[[네메시스(유희왕)#네메시스 아드라스테아|{{{#AE32B2 네메시스 아드라스테아}}}]],,}}}||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네메시스'''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ネメシス'''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Nemeses''' || ||<-2> '''{{{#!html 속성}}}''' ||<-2> '''{{{#!html종족}}}'''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다양]]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스터 팩 [[이터니티 코드]]에서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카드명의 모티브는 [[네메시스]][* 영어명에서는 Nemesis의 복수형 Nemes'''e'''s가 사용되었는데, [[서브테러]] 카드들의 영어명에 이미 nemesis가 들어간 적이 있기 때문.]와 보존생태학[* 키스톤은 핵심종, 플래그는 깃대종, 코리도는 녹지축, 엄브렐러는 우산종. 아크네메시스는 말 그대로 '''방주'''에 대응하게 된다.]적 요소. 아크네메시스 시리즈는 정작 메타 내지 파괴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네메시스 하급 4종류는 제외된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소환한다는 점에서 '보존'을 연상시키는 공통 효과를 지녔다. == 성능 == 소속 몬스터는 통상 소환 가능한 하급 몬스터인 네메시스와 레벨 11의 [[특수 소환]] 몬스터인 아크네메시스로 구분된다. 하급 몬스터는 이하의 공통 텍스트와 효과를 가진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br]②: (고유 효과)|| ②의 효과는 어느 쪽이든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네메시스" 몬스터를 특정 장소에서 패에 넣는 효과이며, 레벨이 1 높을 때마다 공격력은 400, 수비력은 200씩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특수 소환 몬스터는 이하의 공통 텍스트를 가진다.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묘지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종족 또는 속성)이 다른 몬스터 3장을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필드의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br]②: 필드의 몬스터의 (종족 또는 속성)을 1개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선언한 (종족 또는 속성)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다음 턴 종료시까지, 서로 선언한 (종족 또는 속성)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10기 당시엔 사용하는 덱이 얼마 없는 제외를 코스트로 패에서 특수 소환해야 한다는 문제 때문에 발매 직후에 소환수나 썬더 드래곤과 조합되거나, 네메시스 코리도만 써서 초뇌룡-썬더 드래곤을 뽑는 식으로 용병으로만 간간히 활용되어서 큰 주목은 받지 못했다. 그러다 11기 환경권에서 상검이 아크네메시스 프로토스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단 점이 발견 되면서 히든 카드 겸 동분기 강세였던 데스피아의 메타 카드로 주목받게 되었다. 순수 네메시스는 카드 수가 적어 구축이 힘들고, 상술한 대로 용병으로써 굴리게 된다. 파괴와 락을 동시에 거는 강력한 카드들인 [[아크네메시스 프로토스]]와 [[아크네메시스 에스카토스]], 초뇌룡으로 곧바로 이을 수 있는 코리도가 주 용병.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네메시스 키스톤 ==== [[파일:ネメシス・キースト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네메시스 키스톤, 일어판명칭=ネメシス・キーストーン, 영어판명칭=Nemeses Keystone, 레벨=1,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7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네메시스 키스톤"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추가된 땅 속성 네메시스. 제외된 턴 자신을 패로 되돌린다는 점과 네메시스의 공통 효과 덕분에 [[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와 조합하면 엔드 페이즈마다 패 1장과 제외된 몬스터를 회수할 수 있다. 즉시 아드를 벌기 힘들단 점 때문에 가치가 낮은 편이지만, 횟수 제약 없이 패 / 묘지에서 땅 속성 3장을 제외하고 특수 소환하는 [[블록드래곤]]을 사용 가능한 [[아다마시아]]와 [[메가리스]]에서 간간히 투입되기도 한다. 모티브는 적은 수로 생태계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 ||수록 시리즈 || ||<(> 2020-04-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OTD-JP029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7-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OTD-KR029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8-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OTD-EN031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2 === ==== 네메시스 플래그 ==== [[파일:ネメシス・フラッ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네메시스 플래그, 일어판명칭=ネメシス・フラッグ, 영어판명칭=Nemeses Flag, 레벨=2,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11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네메시스 플래그"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네메시스 플래그" 이외의 "네메시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자신을 특수 소환하고 제외되어 있는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자신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기동 효과]]. 제외 존에 적당한 몬스터가 존재하면 되니 발동하기는 쉽다. 묘지나 덱에서 몬스터를 제외하는 덱이라면 알아서 발동 조건을 채울 수 있을 것이다. 네메시스 카드 중에서는 레벨 11짜리 특수 소환 몬스터의 소환 조건이 해당된다. 뒷면 표시 제외는 카드 종류를 참조하지 않으니 조건을 채울 수 없는 점에 주의. ②의 효과는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네메시스 몬스터를 서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제외 존에 몬스터가 있다면 다른 하급 네메시스를 추가하는 것으로 이들의 특수 소환으로 연계할 수 있다. 묘지에 몬스터가 쌓여있다면 특수 소환 몬스터를 서치하고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연계하는 것이 좋다. ①의 효과 덱에 되돌린 네메시스 몬스터를 즉석에서 서치하는 것도 가능. [[화톳불]], [[헬프레임밴시]]로 손쉽게 서치가 가능한 덕분에, 밴시 - 플래그 - 아크네메시스 or 코리도로 잇는 연계가 가능해 락을 걸기 아주 좋아졌다.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와 상성이 아주 좋은데, 묘지에서 리크루트 효과를 발동하여 제외한 디아볼릭 가이를 ①의 효과로 덱에 되돌리고, 리크루트한 디아볼릭 가이를 링크 소재 등으로 써먹으면 덱으로 되돌린 디아볼릭 가이를 다시 리크루트할 수 있다. 이 카드는 ②의 효과로 다른 하급 네메시스를 서치할 수 있어, 그 몬스터의 ①의 효과로 다시 한번 디아볼릭 가이를 덱으로 되돌리고 리크루트할 수 있다. 이로서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를 최대 4번 리크루트하고, 이 카드를 포함한 2장의 리크루트를 전개할 수 있다. 이 카드 고유의 장점이라면 [[진염의 폭발|수비력 200의 화염 속성]]이라는 점일 것이다. ①의 효과는 범용성이 높아 해당하는 몬스터 중에서도 채용률이 높은 몬스터라 할 수 있다. 가령 [[라바르]] 덱에서는 [[라바르 염호반의 숙녀]] 등의 존재로 인해 제외될 일이 많으니 ①의 효과하고도 상성이 좋다. 모티브는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거나 사람들이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깃대종('''Flag'''ship Species). ||수록 시리즈 || ||<(> 2020-0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TCO-JP010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0-04-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TCO-KR010 | '''[[이터니티 코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0-05-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TCO-EN010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3 === ==== 네메시스 엄브렐러 ==== [[파일:ネメシス・アンブレ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네메시스 엄브렐러, 일어판명칭=ネメシス・アンブレラ, 영어판명칭=Nemeses Umbrella, 레벨=3,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1500, 수비력=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네메시스 엄브렐라"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네메시스 엄브렐라" 이외의 자신 묘지의 "네메시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②의 효과는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네메시스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다른 코스트도 없이 몬스터를 샐비지해서 재활용에 유용하고 아크네메시스들이 묘지로 갔을때를 대비할 수 있지만 제외 관련 효과가 많은 네메시스랑은 살짝 궁합이 좋지 않다. 모티브는 자신의 보전이 곧 속한 생태계의 다른 생물종의 보전에 기여하는 우산종('''Umbrella''' Species). ||수록 시리즈 || ||<(> 2020-0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TCO-JP011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4-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TCO-KR011 | '''[[이터니티 코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5-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TCO-EN011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4 === ==== 네메시스 코리도 ==== [[파일:ネメシス・コリド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네메시스 코리도, 일어판명칭=ネメシス・コリドー, 영어판명칭=Nemeses Corridor, 레벨=4, 속성=바람, 종족=번개족, 공격력=1900, 수비력=6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네메시스 코리도"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네메시스 코리도"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네메시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②의 효과는 제외 존의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네메시스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 번개족이라는 종족 덕분에 제외 효과를 많이 쓰거나 치명적인 덱에 [[초뇌룡-썬더 드래곤]]과 함께 용병으로 투입되기도 한다. 덱 스페이스가 남는다면 무난하게 좋은 선택. 자체적인 제외 수단이 있는 오르페골, 위치크래프트 등의 덱에서 활약할 여지가 높다.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제트 싱크론]]을 채용한 덱이면 토큰(3)+제트(1)=[[루이 큐피트]](4)에 루이 큐피트의 ①효과로 레벨을 1 올리고 루이 큐피트(5)+토큰(3)으로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을 소환한 뒤, 루이 큐피트의 ③효과로 코리도를 서치하면 코리도로 제외된 제트 싱크론[* 또는 제외존에 있는 다른 몬스터][* 루이 큐피트의 소재로 쓰인 제트 싱크론의 경우 자신의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여야 제외존으로 가니 참조.]을 덱으로 되돌리면서 특소가 가능해져 바렐로드 새비지+초뇌룡이라는 필드를 세울 수 있다. 해당 콤보는 하리파이버의 금지 이후 사용하기 어려워져 코리도를 쓰기 위해선 다른 제외 수단을 마련해야한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사이킥 텐도]]가 [[스트롱 쥬큐]]와의 듀얼 중 사용.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 후 [[초뇌룡-썬더 드래곤]]의 특수 소환을 위해 제외되었다. 모티브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녹지인 녹지축(Green '''Corridor'''). ||수록 시리즈 || ||<(> 2020-0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TCO-JP012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4-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TCO-KR012 | '''[[이터니티 코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5-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TCO-EN012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11 === ==== [[아크네메시스 프로토스]] ==== ==== [[아크네메시스 에스카토스]] ==== == 마법 카드 == === 네메시스 아드라스테아 === [[파일:星義の執行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네메시스 아드라스테아, 일어판명칭=星義の執行者(ネメシス・アドラステア), 영어판명칭=Nemeses Adrastea,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중에서\, "네메시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원래의 레벨이 11 이상의 몬스터는\, 이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묘지 또는 제외 존에서 네메시스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프리 체인으로 네메시스를 소생시켜 준다. 하지만 묘지의 몬스터가 줄어들면 네메시스 특수 소환 몬스터의 소환 조건에, 제외 존이 줄어들면 네메시스 하급 몬스터의 ①의 효과 발동 조건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어느 쪽을 고를지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판단하도록 하자. 또한 레벨 11 이상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엔 그 턴 중에 효과를 발동할 수 없지만, 상대 턴에 발동하면 바로 다음 턴에 효과를 쓸 수 있게 된다. 카드명은 '''성의의 집행자'''라고 쓰고 '''네메시스 아드라스테아'''라고 읽으며, 아드라스테아는 [[네메시스]] 여신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0-0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TCO-JP060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4-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TCO-KR060 | '''[[이터니티 코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5-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TCO-EN060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환상수기 아우로라돈]]+[[루이 큐피트]]--+[[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루이 큐피트로 코리도를 서치 후 초뇌룡으로 이어 갈 수 있다. * [[상검]] 적소나 용상검현을 통해 간접적으로 프로토스를 서치할 수 있다. 카드군끼리 조합된다기보단 프로토스만 불려 가는 형태에 가깝다. *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능동적으로 제외 소제를 확보할 수 있는 카드군. 네메시스 자체가 다양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속성을 조합하기도 편리하다. *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썬더 드래곤]] 썬더 드래곤은 자체적으로 덤핑과 제외 기믹을 이용하기 위한 조합. 코리도를 통해 초뇌룡-썬더 드래곤을 간단하게 소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썬더 드래곤 축이 아니어도 초뇌룡-썬더 드래곤 한 장 정도는 반드시 투입하게 된다. 썬더 드래곤 축의 경우 종족이 번개족으로 통일돼 있는 대신 빛 속성과 어둠 속성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아크네메시스-프로토스를 주로 이용하게 된다. * [[히어로(유희왕)|히어로]] 히어로 자체가 원 핸드로 회전율이 좋고 자신의 카드를 제외해서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가 많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형태. 특히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가 턴 제약이 없는 덕분에, 하급 네메시스를 특수 소환 하기 만해도 통해 아드가 쭉쭉 늘어난다. 이 때문에 하급 네메시스만 이어가도 고점이 충분히 나오기 때문에 아크네메시스를 아예 빼버리는 경우도 있다. * [[천위]] 천위룡들이 자체적인 제외 수단을 가지고 있고 아크네메시스 프로토스와 같은 환룡족이란 걸 이용하는 형태. 천환의 용륜을 통해 서치도 가능하단 점도 장점. 다만 직접적인 전개에 도움을 주는 아슈나가 종족 제약을 먹이기 때문에 충돌에는 주의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