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pronator quadratus'' '''}}}[br]{{{#ffffff ''' ''(네모엎침근, 방형회내근)'' '''}}} || |||| [[파일:네모엎침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자뼈몸통 앞면 먼쪽[br](anterior surface of distal ulna) || || 닿는 곳[br](insertion) || 노뼈몸통 앞면 먼쪽[br](anterior surface of distal radius) || || 동맥[br](artery) || 앞뼈사이동맥[br](anterior interosseous artery) || || 신경[br](nerve) || 정중신경의 앞뼈사이신경[br](anterior interosseous n. of median nerve) || || 기능[br](action) || 아래팔 엎침[br](pronation of forearm)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muscle)은 [[자뼈]]에서 일어나 [[노뼈]]에 닿는 아래팔 앞칸 가장 깊은층의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방형회내근([[方]][[形]][[回]][[內]][[筋]])[* [[모 방]], [[모양 형]], [[돌 회]], [[안 내]], [[힘줄 근]].]. == 구조 == 네모엎침근은 아래팔 앞칸 깊은층 근육들 3개를 다시 3층과 4층으로 나눴을 때, 혼자서 가장 깊은 층인 4층에 위치한다. 가장 깊은 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근육들과 다르게 표면에서 관찰할 수는 없다. 자뼈의 먼쪽 1/4 지점쯤의 몸통 앞면의 안쪽에서 일어난다. 그 후 노뼈의 먼쪽 1/4 지점쯤 몸통 앞면의 가쪽에 닿는다. 이런 구조가 이 근육이 엎침근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노뼈와 자뼈 중간의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 먼쪽을 덮으면서 지나가지만 일어나거나 닿지는 않는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정중신경]](median n.)의 가지인 [[앞뼈사이신경]](anterior interosseous n.)이 다른 아래팔 앞칸의 깊은층 근육들과 함께[* 둘째, 셋째 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만은 깊은층 근육들 중 예외적으로 [[자신경]](ulnar n.)이 지배한다.] 지배한다. 혈액을 주로 공급하는 동맥은 [[자동맥]](ulnar a.)에서 갈라져 나온 [[온뼈사이동맥]](common interosseous a.)가 다시 갈라진 [[앞뼈사이동맥]](anterior interosseous a.)이다. == 기능 == || [[파일:아래팔엎침뒤침.jpg|width=100%]] || || 아래팔의 엎침과 뒤침 || 자뼈몸통 안쪽에서 일어나 노뼈몸통 가쪽에 닿으므로 수축하였을 때 엎침근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같은 아래팔의 엎침근인 [[원엎침근]](pronator teres m.)과는 [[협동근]]이며, 아래팔의 뒤침근인 [[손뒤침근]](supinator m.)과는 [[대항근]]이다. 다만 이 근육은 사람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는데, 원엎침근의 엎침 작용이 강력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 사진 == || [[파일:아래팔단면들.jpg|width=100%]] || || '''아래팔의 단면들''' || (단면 사진의 글자가 안 보이면 클릭해 파일 문서에서 확대하여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