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네오 스페이시언)] [include(틀:네오 스페이시언)]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25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네오 스페이시언 에어 허밍버드, 일어판명칭=N(ネオスペーシアン)・エア・ハミングバード, 영어판명칭=Neo-Spacian Air Hummingbird,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6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상대의 패의 수 × 5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네오 스페이시언]]의 일원. 상대의 패 수에 따라 라이프를 회복하는 기동 효과를 지니고 있다. 첫 턴에 소환하면 2500이나 되는 대량의 라이프를 회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균적인 라이프 회복 수치만 따지자면 꽤 높은 축에 속한다. 그러나 라이프 회복은 카드 어드밴티지에 직결되지 않기에 크게 성능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네오스페이스 커넥터로 이 몬스터를 소환 후, 회복하여 이후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로 링크를 이어간다면, 라이프 지불 코스트를 상쇄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장점은 자신의 효과보다는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소환 가능한 네오스들의 성능에 있다.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 네오스]]는 [[히어로 얼라이브]] 등과의 연계로 파격적인 타점을 가질 수 있어 2체 콘택트 융합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폭발력이 높다.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이 추가로 융합된 [[엘리멘틀 히어로 스톰 네오스]] 역시 강력한 효과로 무장했다. 정작 이 카드로 융합 소환되는 에어 네오스와의 궁합은 라이프가 적을 수록 강해지는 효과와 전혀 맞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라이프 회복 효과 덕분에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하던 네오 스페이시언 중에서는 자주 활약한 축에 속한다. 애니메이션은 라이프가 4000으로 시작하기에 고타점 몬스터에게 한 번만 공격당해도 빈사 상태가 되기 쉬운데, 초반에 이 카드로 라이프를 회복해두는 것으로 게임을 길게 끌며 역전을 노릴 수 있었다. OCG에서도 네오 스페이시언 중에 '''아무 코스트 없이 항상 이득만 보는''' 유일한 능력이라서, 네오 스페이시언 덱을 짠다면 주구장창 쓰게 될 것이다. 공격명은 '''호버링 피크(Hovering Peak)''', 효과명은 '''허니 서크(Honey Suck)'''. 누가 [[벌새]] 아니랄까봐 효과 발동 모션은 상대 패에서 튀어나온 커다란 꽃을 향해 날아가 열심히 꿀을 빠는 것인데, 새 머리 근육질 몬스터가 날아가서 꿀을 빤다는 기묘한 광경이 컬트적인 인기를 끌어 일본에서는 에어 허밍버드라는 이름 대신 츄츄, 키모츄츄(キモチュッチュ)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 작중 3번째로 등장한 네오 스페이시언이지만 OCG화는 가장 느리다.[* OCG 상으로 이보다 먼저 등장한 네오 스페이시언 3종류 중 블랙 팬서가 애니판에서 가장 늦게 등장했다.] 최근 들어 부각된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 네오스|콘택트 융합체]]의 현실에서의 처지와는 달리 소재인 이 카드는 재록도 되는 등 사정이 나은 편. == 관련 카드 == ===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 네오스]] === === [[엘리멘틀 히어로 스톰 네오스]] === [[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