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네이버)] ||<-2><:> '''{{{+2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br]NAVER Financial Corporation || ||<-2> [[파일:NAVER_FL.png|width=70%]] || || '''설립일''' ||[[2019년]] [[11월 1일]] || ||<|2> '''업종명''' ||금융 지원 서비스업 || ||[[네이버페이]] || || '''대표자''' ||박상진 || || '''주요 주주''' ||'''[[네이버(기업)|네이버]]: 89.21%'''[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 분류''' ||[[대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426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71억 4,285만 5,000원^^(2021년 기준)^^ || || '''매출액''' ||1조 453억 799만 6,825원^^(2021년 기준)^^ || || '''영업이익''' ||-458억 6,360만 5,433원^^(2021년 기준)^^ || || '''순이익''' ||542억 7,796만 2,306원^^(2021년 기준)^^ || || '''자산총액''' ||2조 7,475억 6,448만 4,478원^^(2021년 기준)^^ || || '''부채총액''' ||1조 8,157억 8,579만 5,226원^^(2021년 기준)^^ || || '''부채비율''' ||'''194.87%'''^^(2021년 기준)^^ || ||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6, 10층 ([[정자동(성남)|정자동]], 그린팩토리) || || '''홈페이지''' ||[[http://naverfincorp.com]]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11월 1일]] 금융 서비스 강화를 위해 태어난 [[네이버페이]] 분할 법인 기업이다. == 배경 == [[2019년]] 상반기에 언론보도를 통해 분할 [[법인]] 기업을 세우겠다고 하면서 제 2의 [[카카오뱅크]]가 나오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많았었는데 [[한성숙]] 대표이사 사장이 나서면서 [[금융]] 서비스를 위해 법인을 분할하는 것은 맞지만, [[카카오뱅크]]처럼 은행업에 진출하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 했었고 결국 기존 [[네이버페이]] 서비스를 키우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게 법인 설립 신청을 하게 되면서 [[미래에셋대우]] 에서 약 8000억원 규모의 자본금을 받았고, 개발직을 중심으로 채용을 하면서 열심히 준비를 한 끝에 11월 1일, 운영을 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디자인, 경영 지원 등에서도 채용을 하고 있다. 라이선스 취득이 아닌 제휴를 통한 ‘우회로’로 금융업 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 대표이사 == || '''{{{#white 이름 }}}''' || '''{{{#white 기간 }}}''' || || 최인혁[* [[1971]]년에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를 학사, 석사 학위로 졸업하고 [[이해진]]의장 처럼 [[삼성SDS]]에 입사하였다. [[네이버]] 하고 같이 일하기 시작한 것은 정확하게 2000년부터 였고 본부장, 이사, 센터장 직위를 거쳐 초대 대표이사가 되었고 현재는 [[해피빈]]재단 대표도 같이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9년]] [[11월 1일]] ~ [[2022년]] [[3월 14일]] || || 박상진 || [[2022년]] [[3월 15일]] ~ 현재 || == 성과 ==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 설립 이후 대표적인 성과라면 멤버십 제도가 있다. 월 4900원만 지불하면 [[네이버페이]]에서 결제할 때 받는 포인트 적립금을 더 받을 수 있고 여러가지 서비스[* 현재는 음악, 클라우드 서비스, 웹툰 등에만 지원하고 있고 추후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중 4가지를 선택해 동일한 금액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멤버십을 출시하면서 [[미래에셋대우]] 하고 파트너십을 맺어서 통장을 출시했고, [[우리카드]]하고 협업해서 우리카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를 출시하면서[* 보통 신용카드로 많이 내놓는 반면 체크카드로 내놓았다.] 금융 서비스도 포함하였다. == 의혹 == 2020년 9월 1일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이 금융감독원 자료를 통해 "수수료가 2018년 2조 970억원, 2019년 2조 4830억원, 2020년 상반기 1조 5450억원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고 [[코로나 19]]로 인해 소상공인 등 자영업 하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PG사는 막대한 수수료를 가져간다" 라고 의혹을 제기하였다. === 의혹 해명 === 네이버 파이낸셜 입장만 정리해놓았다. ==== 막대한 이익 ==== 기술 발달하고 함께 온라인 결제 시장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고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결제 건수가 더 늘어나서 그만큼 이익도 늘어났다. 하지만 PG사에서 명시하지 않은 부가서비스 항목도 있어서 수치만으로 막대한 이익을 냈다고 볼 수는 없다고 하였다. ==== 수수료 책정 ==== 상위 10개사의 PG 수수료는 0.2%에서 최고 2.8%이고 평균 2.2%로 잡혀있다는 의견에는 PG사는 가맹점을 대신해 카드사에 결제를 해주는 사업자이기 때문에 카드사에 기본 수수료를 부과하게 되다보니 수수료 하향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얘기하였다. 하지만 체크카드와 비슷한 기능의 계좌이체형 네이버페이 수수료율은 매출 전 구간에서 1.65%다. 매출 3억원 이하 체크카드 수수료율이 0.5%인 것을 감안하면 소상공인에게 3배 이상 높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569731|기사]] ==== [[배달의민족]] 수수료 ==== 네이버파이낸셜 X [[배달의민족]] 수수료가 다른 PG사에 비해 높다는 의견에는 단순히 결제대행만 하는 결제형페이하고 다르다면서 다른 PG사하고 달리 주문서를 접수 및 관리, 발송, 교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동일 비교가 어렵다고 얘기했다. == 여담 ==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통해 검색을 해보면 [[컵케이크]]하고 함께 첫 입사자한테는 본사에서 제공하는 굿즈를 받을 수 있다. * 2019년 11월 11일, 회사 설립 후 첫 [[빼빼로데이]]라서 그런지 수제 [[빼빼로]]를 제공한 사진도 [[인스타그램]]에서 찾을 수 있다. * [[카카오뱅크]]하고 비슷한 금융 서비스를 내놓을 생각이 없다고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가능성도 그만큼 커지게 될 수도 있다. * 네이버 파이낸셜의 특징을 좀 더 알고 싶으면 [[네이버페이]] 항목으로 들어가면 된다. * 망분리 안 하다 금감원에서 제재받았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28319|기사]] * 유일하게 당기순이익 흑자를 내는 빅테크·핀테크로 매출증가도 두드러진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569731|기사]] * 네이버파이낸셜이 2020년 상반기에 거둬들인 수수료가 1조 5450억원으로 집계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587973|기사]] * 기존은행은 규제 차별에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217294|기사]] * [[금융소비자보호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14243|기사]] * 계열사 '돈줄' 쥔 구원투수 역할 '톡톡'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471089|기사]] [[분류:네이버(기업)]][[분류:핀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