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card1000197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네크로 가드너, 일어판 명칭=ネクロ・ガードナー, 영어판 명칭=Necro Gardna, 레벨=3,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300, 효과1=①: 상대 턴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만 무효로 한다.)]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하고 상대의 공격을 1번 무효로 하는 [[유발즉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크리보]]와는 달리 공격 자체를 무효로 해주니 몬스터를 전투 파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묘지에서 발동하므로 패 어드밴티지를 잃을 일도 없다. 효과 발동을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든 묘지로만 가면 상관 없으므로 각종 소재나 코스트로 써도 좋고, 여차하면 세트해두었다가 두 번의 공격을 막는 역할로 쓸 수도 있다. 다만 묘지는 양쪽 플레이어에게 공개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크리보]]처럼 상대의 허를 찌르기는 힘들다. 어둠 속성인 덕분에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 등의 효과로 덱에서 덤핑할 수 있으며, 종족 / 속성도 같아 서포트 카드도 공유할 수 있다. 묘지의 매수 조종이 용이하므로 [[다크 암드 드래곤]]하고도 상성이 좋다. 어둠 속성 / 전사족이라는 점을 살려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천지개벽|천지개벽]]이나 [[이터널 카오스]]로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묘지로 보내줄 수도 있다.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로 서치해서 그대로 패 코스트로 써버려도 좋겠다. 고속으로 묘지 덤핑이 가능한 [[라이트로드]] 덱에서도 무리없이 채용할 수 있다. 발동 타이밍은 '상대 턴 중'이라면 상관없기 때문에 1번 묘지로 떨궈지면 대응이 어렵다. 이 카드를 직접 묘지에서 제외하려 들어도 자신 턴 중에는 체인 발동되어버리니 제외 카드로도 발동을 막지 못한다는 점은 자신에게는 유리하고 상대 입장에선 성가신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재활용할 수도 있어 [[원 턴 킬]] 전략을 사용하는 입장이라면 성가신 존재가 된다. 효과 사용은 제외가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왕궁의 철벽]]이나 [[카오스 헌터]], [[영멸술사 카이쿠]] 등은 천적이나 다름없다. 2008년 12월 11일 재정에 따르면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는 상대 턴의 드로우 페이즈부터 배틀 페이즈의 배틀 스텝까지 발동할 수 있으며, 그 무효 효과는 발동 턴에만 유효하다. 그 턴에 상대가 공격하지 않았을 경우 아무 일도 생기지 않으며, 공격 선언시에 발동하면 그 공격이 무효가 된다. 공격 선언 종료 후 배틀 스텝 중에 발동한 경우라도 마찬가지. 본래 재정상으로는 상대 턴 배틀 페이즈시에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던 것이 이후 '''재정이 바뀌면서''' 상대 턴 드로우 페이즈부터 배틀 페이즈 종료전까지로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타이밍이 자유로웠던 탓에 강력해져서 제한까지 갔으나, 환경의 변화로 가드너가 예전만큼 맹활약을 펼칠 시기가 지난지라 2012년 9월부로 무제한이 되었다. 또한 이 효과는 '상대 공격 선언시'''에만''' 발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아니므로 사용할 경우 오해하지 말자. 상대 턴이라면 프리 체인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카드 효과로 제외 대상이 된다면 거기에 체인해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다만 메인 페이즈 2에 다른 효과로 제외된다면 대응조차 못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공격 선언 전에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반드시''' 처음 공격을 무효로 하게 된다. 즉 약소 몬스터의 자폭이나 다름없는 공격이라 해도 쓸데없이 틀어막아 버리는 셈. 특히 소생 계열의 카드에 체인했을 경우 이런 일이 벌어지기 십상이므로 반드시 알아둘 것.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의 [[프로페서 코브라]]와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카드 트루퍼]]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 [[독사왕 베노미논]]의 직접 공격에 발동하여 패배 위기를 막아주었다. 그 이후에도 쥬다이의 위기에선 숱하게 공격을 막아주었으며 대표적으로 [[유희왕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의 vs [[크로노스 데 메디치]] 전에서도 결정적인 순간에 발동되었다. 만약 테이크 오버 5의 효과로 묘지에 없었더라면 이때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에게 박살났을 터. 마지막 듀얼인 유우기 전에서까지 등장하며 덱과의 유대를 보여주었다. 이렇듯 [[카드 트루퍼]]나 [[암즈 홀]] 등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면서 바로 효과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정작 필드로 나온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새틀라이트샵 배 3vs3 팀 대회에서 [[다크 쿠로다]]가 [[스트롱 쥬큐]]와의 결승 듀얼 중 사용.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의 ①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후 쥬큐의 공격을 심리적으로 견제했으나, 정작 마찬가지로 묘지로 보내진 [[초전자 터틀]]의 효과를 더 먼저 사용한데다 나중에는 결국 쥬큐의 피니셔인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의 효과로 무효화되면서 결국 효과를 발동하지 못하고 패배했다. 네크로 가드너가 어디까지 퇴물인지를 적나라하게 채감할 수 있는 부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전술의 발전]] || TAEV-KR01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주다이 편 3—]] || DP06-KR005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 || DS14-KRL22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트라이브 포스|부스터-SP 트라이브 포스]] || SPTR-KR046 || [[노멀]][br][[패러렐 레어]] || 한국 || || || [[전술의 발전|TACTICAL EVOLUTION]] || TAEV-JP01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十代編3—]] || DP06-JP005 || [[노멀]] || 일본 || || || デュエリストエディション Volume 2 || DE02-JP005 || [[슈퍼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デュエリストセット Ver. ライトロード・ジャッジメント- デッキ構築用パック ]] || DS14-JPL35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트라이브 포스|ブースターSP トライブ・フォース]] || SPTR-JP046 || [[노멀]][br][[패러렐 레어]] || 일본 || || || [[전술의 발전|Tactical Evolution]] || TAEV-EN012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Champion Pack: Game Eight || CP08-EN011 || [[레어]] || 미국 ||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09]] || GLD2-EN027 || [[골드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Mega-Pack || LCGX-EN027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Ra Yellow Mega-Pack || RYMP-EN009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052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Premium Gold || PGLD-EN063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세트|Realm of Light Structure Deck]] || SDLI-EN023 || [[노멀]] || 미국 || || || [[트라이브 포스|The Secret Forces]] || THSF-EN034 || [[슈퍼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실드 워리어]] === === [[네크로 디펜더]] === === [[타스켈톤]] === === [[초전자 터틀]] === 듀얼 중에 1번만 발동 가능한 대신, 효과 자체는 상위 호환으로 볼 수도 있다.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