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넥센 히어로즈)]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역대 시즌)] ||<-5> '''[[넥센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시즌별 성적}}}]]''' || || [[넥센 히어로즈/2010년|2010 시즌]] || {{{+1 ←}}} || '''{{{#ffffff 2011 시즌}}}''' || {{{+1 →}}} || [[넥센 히어로즈/2012년|2012 시즌]] || ||<-6> '''{{{#ffffff 넥센 히어로즈 2011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 || '''[[넥센 히어로즈/2011년/4월|4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5월|5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6월|6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7월|7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8월|8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9~10월|9~10월]]''' || ||
<|3>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width=100]] ||<-9> ''' {{{+1 [[한국프로야구/2011년|{{{#ffffff KBO 리그 2011 시즌}}}]] {{{#ffffff '''│''' }}} [[넥센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 || || {{{#FFFFFF '''순위'''}}}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승패 마진'''}}} || {{{#FFFFFF '''1위와의 승차'''}}} || {{{#FFFFFF '''남은 경기수'''}}} || {{{#FFFFFF '''승률'''}}} || || {{{+3 {{{#000000,#ffffff '''8'''}}} }}} / 8 || '''133''' || {{{#blue '''51'''}}} || {{{#green '''2'''}}} || {{{#red '''80'''}}} || -29 || 29.0 || '''경기마감''' || {{{#blue '''0.389'''}}} || [목차] [clearfix] == 개요 == [[넥센 히어로즈]]의 2011 시즌을 정리한 문서. == [[넥센 히어로즈/2011년/4월|4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4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5월|5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5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6월|6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6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7월|7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7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8월|8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8월)] == [[넥센 히어로즈/2011년/9~10월|9~10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넥센 히어로즈/2011년/9~10월)] == 총평 == 신생팀 및 스몰마켓이라는 한계로 첫 꼴찌를 기록한 시즌으로 2011년 히어로즈는 '''타격 부분에서 타율, 출루율, 장타율, WAR, 득점, 안타, 홈런 등''' 모든 분야에서 최하위를 차지했으며 투수 부분에서는 '''ERA, WAR, WHIP 등이 7위를 할 정도로''' 처참한 투타 밸런스를 보여주며 성적 자체로 봤을 때는 최악이라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2011년은 히어로즈 역사에 무조건 언급되는 시즌이자 '''히어로즈의 운명을 완전히 바꾼 시즌이다.''' 우선 2011년 시행된 트레이드는 2건 중 1건이 히어로즈가 [[LG 트윈스]]와 한 트레이드였는데 그 트레이드가 '''[[송신영]], --[[김성현(1989)|김성현]]-- ↔ [[박병호]], [[심수창]], 15억 트레이드'''다. 진행 당시에는 히어로즈를 보고 모든 타팀 팬들이 비웃었고 히어로즈 팬들은 무슨 짓이냐고 욕을 했으나 막상 열어보니 상황은 180도 달랐다. 박병호는 트레이드가 된 직후년도에도 두자릿수 홈런을 치고 장타율이 5할을 넘기며 가능성을 보이더니 2012년부터는 MVP를 차지하고 2015년까지 리그를 폭격하고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는 등 선수로서 이룰 건 다 이루었다. 그리고 박병호가 히어로즈 이적 후 쌓은 WAR은 '''44.6'''으로 동기간대 5위에 해당하며 2016년과 2017년은 KBO에서 안 뛴 걸 생각하면 더더욱 무서운 기록이다. 그리고 시즌이 끝나고 9월에 히어로즈는 LG에서 방출된 [[서건창]]을 영입했고, 서건창은 2012년 신인왕을 거머쥐더니 히어로즈 대표 프랜차이즈 선수가 되었고 '''2014년 리그 최초의 200안타를 기록하고 정규시즌 MVP가 되고 골든글러브를 타는 등 신고선수의 신화가 되었다.''' 거기다 삼성에서 방출된 외인투수인 [[브랜든 나이트]]를 영입하였고 나이트는 이후 히어로즈의 대표 외인투수 중 한 명이 되었으며 투수가 필요하여 [[코리 알드리지]]를 방출하고 영입한 선수가 바로 '''[[앤디 밴헤켄]]이다.''' 즉 성적 자체는 최하위로 안 좋기는 하나 히어로즈의 프렌차이즈 선수인 [[박병호]], [[서건창]], [[브랜든 나이트|나이트]], [[앤디 밴헤켄|밴헤컨]]을 영입한 시즌으로 이후 이 넷은 히어로즈를 이끌며 팀을 가을야구에 계속 갈 수 있게 만든 핵심적인 공신이 되었다는 걸 보면 히어로즈 역사에 빠질 수 없는 시즌이 되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1 시즌)]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분류:넥센 히어로즈/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