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안북도의 시군)] ||<-4> {{{-2 {{{#000000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안북도|{{{#000000 평안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 군}}}]]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0 '''{{{+1 녕변군[*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는 영변군. 북한에서는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고로 [[북한]]에선 영변군이 아니고 녕변군이다.]}}}'''[br]寧邊郡[br]Nyŏngbyŏn County {{{-2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녕변군, 너비=100%, 높이=250px)]}}} || ||<-2> {{{#fff '''군소재지'''}}} ||<-2> 녕변읍 || ||<-2> {{{#fff '''지역'''}}} ||<-2> [[평안도|관서]] || ||<-2> {{{#fff '''면적'''}}} ||<-2> 504㎢ || ||<-2> {{{#fff '''시간대'''}}} ||<-2> UTC+9 || ||<-2> {{{#fff '''하위 행정구역'''}}} ||<-2> 1읍 1로동자구 26리 || ||<-2> {{{#fff '''인구'''}}} ||<-2> 113,852명 (2008년) || ||<-2> {{{#fff '''인구밀도'''}}} ||<-2>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94_big.jpg|width=100%]]}}}|| || {{{#000000 [[관서팔경]] 중 하나인 약산(藥山).}}} || >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 《진달래꽃》 中, [[김소월]] > 우리 고향은 아주 아름다운 곳이에요. 산골인데 시내가 흘러요. 굉장히 맑아요. 약산에 진달래가 굉장히 많았어요. 우리 어머니가 산나물 하러 가셨다가 진달래를 보면 진달래에 홀려서 산꼭대기 까지 올라가셨다고. (...) 이제 진달래는 완전히 볼 수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영변에는 또 밤이 많이 나요. 우리 할아버지가 밤이 많은 산을 가지고 계셨는데 그 밤이 어떻게 되었을까 생각이 나고. 그리고 영변이 명주로 유명해요. 고모들이 [[명주]] 공장에 다녔거든요. 우리 고향이 핵 공장이 생기고 폐허가 되었으니까 지금 거기 사시는 분이 계시겠어요? 금지 구역이 되었는데 그러니까 친척들은 남아 있는 분이 안 계실 겁니다. >---- > 2007년 영변 출신[* 북한이 들어서자 '삼촌이 서울에서 대학 교수'라는 발언까지 감시하는 세태를 못 견디고 떠난 것이다. 본인 정체성에 맞게 '영변'으로 서술한다.] 재미교포 손지언 씨의 증언 [[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missing_you/pyunganbukdo_younbyun_hometown-20071009.html|#]] [[평안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 == 상세 == 남서쪽으로는 [[청천강]]을 경계로 [[평안남도]]와 접하며 [[구룡강]]은 군의 서부지역을 관통하다가 연산면 부근에서 청천강과 합쳐지고 동쪽에는 [[묘향산]]이 위치한다.[* [[한국]] 5대 명산 중 하나로 '''[[금강산]]보다도 낫다'''는 평을 듣던 명산이다. 당연히 [[김일성]] 일가의 [[별장]]도 위치해 있다. 현재 [[향산군]] 관할.]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의 구절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으로도 익숙한 지명일 것이다. 아울러 '''[[녕변원자력연구소]]'''도.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패수현(浿水縣)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연주(연산부)·무주로 불렸다. 1428년([[세종대왕|세종]] 10) 연산부와 무산현을 병합하여 영변대도호부가 놓여졌다. [[구한말]] [[13도제]]가 실시된 직후인 1897년에 [[평안북도]]청이 [[정주시|정주]]에서 이전되어 도청 소재지이기도 했으나 1908년에 [[의주부]]로 이전했다.[[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6051365227.pdf|#]] == 교통 ==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만포선]] 철도가 지나는 지역이 군에서 제외가 됐으나 다행히 곧 [[개천역]]에서 녕변읍보다 조금 동남쪽을 지나 [[구성역(평북선)|구성역]]에 이르는 구성선 철도와 읍에서 서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을 지나 녕변군 관내의 [[팔원청년역]]에서 구성선에 합류하는 [[청년팔원선]] 철도가 부설되었다. 그러나 녕변군에서 개천을 바로 잇는 철도는 [[녕변원자력연구소]] 때문에 폐선되었고 나머지 구간은 청년팔원선에 통합이 되었는데 청년팔원선에서 녕변읍에 가장 가까운 [[녕변역]]은 녕변읍에서 약간의 거리가 있고 평양으로 가려면 이리저리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녕변군 주민들의 철도 이용율이 살짝 내려갔다. == 지리 == [[묘향산]]맥이 여기를 지나며 [[청천강]]과 [[구룡강]]이 군내를 흐른다. 녕변읍(이북5도 기준 영변면)은 전형적인 산성취락으로 진산인 [[약산]], 목단봉(牧丹峰), 아차산(峨嵯山) · 동점산(銅店山), 영봉(靈峰), 무봉(戊峰) 등이 마치 성벽마냥 둘러싼 분지지형 안에 시가지가 있다. 강이 U자 내지 태극 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는데[* 안동 [[하회마을]]과 비슷한 지형이다.] 전형적인 [[감입곡류]] 형상이다. 평지를 구불구불 흐르던 구룡강이 지형 융기 등으로 인해 묘향산맥이 생겨나면서 이 산맥을 깎아 중간에 뚝 끊고 흐르는 지형이 되었다. [[차령산맥]] 한가운데를 남한강이 뚫고 흐르는 것과 비슷하다. == 관광 및 문화유산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약산군, 높이=100%)] || [[파일:영변 천주사 천주루(일제강점기) 사진.jpg]] 천주사(天柱寺) 천주루.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2516&cid=50763&categoryId=50782|천주사의 아름다운 풍경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2511&categoryId=50782&cid=50763|서운사(棲雲寺)의 아름다운 풍경들]] 일단 녕변의 약산으로 유명한 [[약산]]이 여기 위치하며 녕변 3대 [[절(불교)|사찰]]인 천주사, 서운사, [[보현사]]가 있고 [[영변행궁]]이 여기 있었으며 녕변읍성이 있고 녕변객사의 정문이었던 언무루와 정자인 육승정이 남아있다. [[철옹성]]이라고도 부르는 [[고구려]] 시기에 지어진 녕변산성 유적지가 있다. == 산업 == [[녕변원자력연구소]]가 여기 있다. --산업 부문이 아니라 군사 부문 아닌가?--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총 1읍 1로동자구 26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녕변읍 * 로동자구 : 팔원로동자구 * 리: 고성리, 구산리, 구항리, 관하리, 남등리, 남산리, 대전리, 룡성리, 룡추리, 룡포리, 룡화리, 망일리, 명덕리, 봉산리, 서산리, 서하리, 서위리, 송강리, 송화리, 세죽리, 하초리, 화평리, 연하리, 오봉리, 옥창리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평안북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영변군.jpg]] {{{+1 寧邊郡 / Yeongbyeon County}}} ||
<-4><:> {{{-2 {{{#000000 '''[[파일:정부상징.svg|height=15]]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000000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 군}}}]]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정부상징.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000000 '''{{{+1 영변군}}}'''[br]寧邊郡[br]Yeongbyeon County {{{-2 }}}}}}}}} ||}}} || ||<-2> {{{#fff '''국가'''}}} ||<-2> [[대한민국]] || ||<-2> {{{#fff '''광복 당시 면적'''}}} ||<-2> 1,709㎢ || ||<-2> {{{#fff '''광역시도'''}}} ||<-2> [[평안북도]] || ||<-2> {{{#fff '''광복 당시 행정구역'''}}} ||<-2> 14면 || ||<-2> {{{#fff '''시간대'''}}} ||<-2> UTC+9 || [[광복]] 당시 14개 면이었다. [[파일:external/mw2.google.com/85567825.jpg]] 영변산성 남문에서 바라본 영변읍내 * '''영변면'''(寧邊面) * 관할 동 : __서부(西部)__, 남외성(南外城), 동부(東部), 동외성(東外城), 서외성(西外城), 용추(龍湫), 용포(龍浦) * 영변은 영변산성(일명 [[철옹성]]) 안에 발달한 성곽도시다. 유명한 [[약산동대]]는 영변성의 서쪽에 있다. 영변성에는 남문, 육승정(六勝亭), 천주사(天柱寺), 서운사(棲雲寺) 등의 고적이 남아 있다. 성 남쪽, 구룡강으로 삼면이 둘러싸인 용추동에는 그 유명한 '''[[녕변원자력연구소]]'''가 있다. 여러모로 방사능 피폭 사고가 우려되는 지역이다.[* [[미국]] [[백악관]] 前 관리는 "녕변 원자로의 핵방사능 오염 수준이 심각하며, 미국 기준이라면 당장 폐쇄해야 할 정도"라는 견해를 밝힌 적이 있다.[[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41830|#]] 또 핵폐기물이 마구 버려지고 있으며 인근 주민들이 기형아를 출산하고 평균수명이 짧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http://internettimes.co.kr/article/print.php?&bbs_id=it_news1&page=&doc_num=8013|#]]] 녕변 출신 [[탈북자]]들에 의하면 풀도 자라나지 않는 곳이라고 한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sid2=269&oid=056&aid=0010369923|#]] * '''고성면'''(古城面) * 관할 동 : __남산(南山)__, 구항(龜項), 마전(麻田), 봉덕(鳳德), 사오(沙塢), 상초(上草), 신풍(新豊), 하초(下草) * 통칭 "입석(立石)"이라고 불리던 곳으로 [[6.25 전쟁]] 관련 자료 중에도 저 이름으로 나와 있는 자료가 많다. [[팔원선]] [[사오역]]과 [[하초역]]이 있다. * '''남송면'''(南松面) * 관할 동 : __천수(天水)__, 구두(龜頭), 마상(馬尙), 봉지(鳳至), 불무(佛舞), 사천(沙川), 입석(立石) * '''남신현면'''(南薪峴面) * 관할 동 : __도관(都館)__, 귀상(貴祥), 상구(上九), 상이(上耳), 상장(上長), 운룡(雲龍), 하구(下九), 하장(下長) * '''독산면'''(獨山面) * 관할 동 : __용흥(龍興)__, 기성(箕城), 남평(南坪), 덕성(德星), 성흥(聖興), 송성(松城), 수우(修隅), 용전(龍田), 화죽(花竹) * 북한 행정구역상 남흥로동자구 소재지. [[평안남도]] [[안주시]] 시가지가 이 곳까지 연장되어 있는 셈이며 실제로 북한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안주시에 편입됐다. * '''백령면'''(白嶺面) * 관할 동 : __대풍(大豊)__, 개화(開華), 상초(上草), 용연(龍淵), 우현(牛峴), 조산(造山), 중초(中草), 하초(下草) * 백령대굴이라는 [[동굴]]이 위치한다. * '''봉산면'''(鳳山面) * 관할 동 : __고성(古城)__, 관하(館下), 구산(龜山), 망일(望日), 수유(水踰), 양지(陽地), 용흥(龍興), 조양(朝陽) * 조선 초까지 무산현(무주)이 있던 곳이다. * '''북신현면'''(北薪峴面)[* 1929년 [[영변 자동차 추락 사고]]가 발생했던 곳.] * 관할 동 : __노하(蘆下)__, 가좌(加佐), 상로(上蘆), 상행(上杏), 용응(龍應), 하행(下杏), 화산(華山) * 북한 행정구역상 [[향산군]] 소재지.[* 광복 당시 면소재지와는 떨어져 있다.] 동쪽에 [[묘향산]]이 있으며 [[보현사]], 단군굴 등의 명승지가 있다. 철도는 [[만포선]]이 지나가며 [[북신현역]]과 [[묘향산역]]이 있다. * '''소림면'''(少林面) * 관할 동 : __남등(南燈)__, 각추(角秋), 등산(燈山), 상추(上秋), 서위(西位), 용강(龍江), 용추(龍秋), 원등(元燈) * 소림면에도 녕변 핵시설이 있다. 영변면에 있는 것과 별개의 것은 아니고 구룡강을 사이에 둔 채 지리적으로 이어져 있다. * '''연산면'''(延山面) * 관할 동 : __화연(花硯)__, 대성(大成), 문봉(文峰), 신천(新泉), 언무(偃武), 용연(龍淵), 입석(立石), 화천(花川) * 조선 초까지 연산부(연주)가 있던 곳이다. * '''오리면'''(梧里面) * 관할 동 : __문봉(文峯)__, 묵시(墨時), 봉무(鳳舞), 세죽(細竹), 송강(松江), 송호(松湖) * [[팔원선]] [[묵시역]]이 있다. * '''용산면'''(龍山面) * 관할 동 : __구장(球場)__, 노(蘆), 봉무(鳳舞), 소민(蘇民), 수구(水口), 신흥(新興), 요성(耀城), 용등(龍登), 용문(龍門), 용암(龍巖), 용연(龍淵), 용현(龍峴), 운봉(雲峯) * 면소재지인 "구장(球場)"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구장군]] 소재지로 되었다. [[6.25 전쟁]] 당시 구장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지하 [[금강산|금강]]이라고 일컬어지는 종유(鍾乳)동굴[* 지하수가 석회암 지대를 용해하여 생긴 동굴로, [[카르스트 지형]]의 일종] "동룡굴"이 1928년 발견되어 유명해졌다. * [[만포선]] [[구장역]]과 [[룡암선|용암선]] 용암역(구 용등역)이 있다. * '''태평면'''(泰平面) * 관할 동 : __관하(館下)__, 관북(館北), 관상(館上), 상서(上西), 조산(造山), 하서(下西) * '''팔원면'''(八院面) * 관할 동 : __천양(天陽)__, 가덕(加德), 명당(明堂), 석성(石城), 소장(小長), 송현(松峴), 용두(龍頭), 용산(龍山), 용성(龍城), 화평(和平) * [[백석(시인)|백석]]의 시 《[[팔원]]》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 [[팔원선]] [[녕변역]]과 [[팔원역]]이 있다. == 관련 항목 == * [[영변행궁]] [[분류:평안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