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43d 20%, #00243d)" {{{#ffffff '''노량: 죽음의 바다의 둘러보기 틀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김한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include(틀:이순신 시리즈)] }}} || ||
{{{+1 '''국내 개봉일까지'''}}} || {{{+5 {{{#fff '''D[dday(2023-12-20)]'''}}}}}} || ||<-2>
{{{+1 '''노량: 죽음의 바다'''}}} (2023)[br]露梁 | Noryang: Deadly Se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량 런칭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액션]], [[사극]], [[드라마]], [[전쟁 영화|전쟁]], [[스릴러]] || || '''감독''' ||[[김한민]] || || '''각본''' ||김한민, 윤홍기, 이나라 || || '''기획''' ||김한민 || || '''프로듀서''' ||김주경, 이대희 || || '''제작''' ||김한민 || || '''투자'''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롯데컬쳐웍스, 빅스톤픽쳐스 || || '''주연''' ||[[김윤석]], [[백윤식]], [[정재영]], [[허준호]] 外|| || '''촬영''' ||김태성 || || '''편집''' ||안현건 || || '''미술''' ||조화성 || || '''소품''' || || || '''음악''' ||[[김태성]] || || '''의상''' ||권유진 || || '''분장''' ||조태희 || || '''무술''' || || || '''조명''' ||김경석 || || '''특수효과''' ||DND || || '''시각효과''' ||정성진 정철민 || || '''사운드''' ||블루캡 || || '''VFX''' ||[[M83 스튜디오]] 스톤브이스튜디오 || || '''제작사''' ||(주)빅스톤 픽쳐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br][[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 ||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br][[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2021년]] [[1월 14일]] ~ [[2021년]] [[6월 15일]][* 총 99회차]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0일]][* 실제 역사에서 노량해전이 12월 16일 벌어졌으니, 그보다 4일 후의 날짜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미정 [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0]] 미정|| || '''화면비''' ||2.35:1 || || '''상영 타입''' ||[[2차원|2D]] | [[4DX]] | [[IMAX]] | [[ScreenX]] | [[Dolby Atmos]] || || '''상영 시간''' ||미정[* 김한민 감독이 신년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해전 장면이 무려 100분(1시간 40분) 정도에 다다른다'''고 한다. <명량>의 해전 장면이 '''61분''', <한산>의 해전 장면이 '''51분'''인데 이를 다 합친 정도의 분량이다. 실제 역사에서 노량 해전이 이순신이 그동안 치른 해전 중에서 ('''이순신 본인'''을 포함한)지휘관급 아군 사상자가 가장 많이 나온 전투이기도 하고, 그 옛날에 고작 횃불에만 의존하여 '''밤바다'''에서 전투를 치르자니 어쩔 수 없이 배끼리 근접해야 했다. 게다가 한밤중에서 다음 날 아침까지 이어진 전투였으며, '''이순신의 조선 수군, 시마즈의 왜 수군, 진린의 명나라 수군'''까지 삼국의 수군이 한데 모여 벌인 전투였기에 전투 장면에 시간이 엄청나게 많이 할애된 것으로 여겨진다.] || || '''제작비''' ||349억 원 |||| || '''손익분기점''' ||720만~750만 명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 상영 등급}}}]]''' ||미정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otte_ent, 크기=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두가 한마음으로 바라나니, 부디 적들을 남김없이 무찌르게 해주소서.''' >'''이 원수를 갚을 수만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나이다."''' 2023년 12월 20일에 개봉 예정인 [[김한민]] 감독의 한국 영화. [[2014년]] 《[[명량]]》, [[2022년]] 《[[한산: 용의 출현]]》에 이은 [[김한민 감독 이순신 3부작]]의 [[최종장|마지막 작품]]으로,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과 충무공 [[이순신]]의 죽음을 다루는 영화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제로 쓰인 '''죽음의 바다''' 자체가 영화의 성격을 잘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 개봉 전 정보 == * 2021년 1월 14일, 촬영을 시작했다. 전편 [[한산: 용의 출현|한산]]의 촬영이 끝나고 4개월 뒤부터이다. * 2021년 6월 15일, 크랭크업을 했다. * 2021년 6월 15일, 네이버 카페에 경남 옥산서원에서 노량 촬영현장을 목격한 게시물이 올라왔다. [[https://cafe.naver.com/2005mam/1376350?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YWZlVHlwZSI6IkNBRkVfVVJMIiwiY2FmZVVybCI6IjIwMDVtYW0iLCJhcnRpY2xlSWQiOjEzNzYzNTAsImlzc3VlZEF0IjoxNjk0MzUwODg5ODI0fQ.6h7wv5wPWkin4h7AA-AUEpA8pnhT37bwt8oDUl-Mrk4|#]] * 2021년 6월 2일, 네이버 블로그에 광양 남파랑길에서 순천왜성으로 가는 여행 사진 중에 노량 촬영현장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의 깃발이 보였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0j0y9&logNo=222381287541&proxyReferer=https:%2F%2Fm.search.daum.net%2Fsearch%3Fw%3Dfusion%26col%3Dblog%26q%3D%25EB%2585%25B8%25EB%259F%2589%2B%25EC%2598%2581%25ED%2599%2594%2B%25EC%25A0%258A%25EC%259D%2580%25EC%259D%25B4%26DA%3DPGD%26p%3D4|#]]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촬영장면.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명나라함대.gif|width=100%]]}}} || || '''2022년 7월경, 누출된 촬영 장면으로 추정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ck5MF5tQCw|원본]]] || * 2022년 7월경, 해당 영화의 촬영 장면으로 추정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세키부네]]의 깃발은 [[시마즈]] 가문의 문양을 사용했다. 그리고 조선 수군은 [[승자총통]]을 발사한다. * 2022년 8월 17일, 동년 11월에 개봉할 예정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60/0000015105|#]] 하지만 후속기사에서 제작사가 이를 부정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60/0000015455|#]] * 2022년 8월 31일, 김한민 감독이 시사회에서 본작에도 [[준사]](배우 [[김성규]])가 등장한다고 밝혔다. [[https://www.ytn.co.kr/_ln/0117_202208311333356652|#]] * 2022년 10월 6일, [[김한민]] 감독이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2023년에 개봉을 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한산 리덕스 쿠키.gif|width=100%]]}}} || || '''2022년 11월 16일, 한산 리덕스에 포함된 쿠키 영상''' || * 2022년 11월 16일, [[한산 리덕스]](감독판) 마지막 쿠키 영상에서 백윤식([[시마즈 요시히로]] 역)과 주석태([[시마즈 토요히사]] 역), 박명훈([[쵸주인 모리아츠]] 역), 이규형([[아리마 하루노부]] 역)이 나오고 아리마가 [[고니시 유키나가]]의 요청으로 순천왜성에서 창선도로 가는 장면으로 잠깐 등장했다. 그러니 노량에서 [[사천성 전투]]와 [[왜교성 전투]]부터 [[노량 해전]]과 [[남해왜성 소탕전]]까지 나온다고 추측할 수 있다. * 2022년 12월 16일, 대성창투가 여름철 방학과 성수기를 노려 2023년 7월 20일에 개봉을 고려 중이라고 발표했다. [[https://m.blog.naver.com/vksrbvn/222957408028|#]]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 2022년 12월 29일, [[김한민]] 감독이 CG 작업이 70% 완성되었으나 CG 작업이 아직 많이 남아서 완성할려면 아직 멀기도 하고, [[노량 해전]]이 12월에 일어난 해전인 만큼 개봉날도 2023년 12월로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2122816025616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시마즈 촬영.jpg|width=100%]]}}} || || '''2023년 1월 12일, 신년 인터뷰로 공개된 사진''' || * 2023년 1월 12일, [[김한민]] 감독이 신년 [[http://cine21.com/news/view/?mag_id=101831|인터뷰]]를 했다. * "이순신 갑옷은 조선시대를 대표했던 갑옷들을 구현", "<명량>에선 ([[창작물의 반영 오류|반영 오류]] 중국 판타지 결합)경번갑, <한산>에선 두정갑, <노량>에선 물고기 비늘 모양의 어린갑(두석린갑)을 선보였다" - 앞서 명량에서의 경번갑이 엉터리라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 한산에서 재현에 충실하였는데, 노량에서 '''[[창작물의 반영 오류|또 비판을 자초할 예정]]이다'''. 두석린갑은 조선 말기의 의장용 갑옷이다. * "(김한민 감독이 꼽은 노량의 '이 장면'은) 고니시 유키나가의 등장 장면이다", "3부작 모두 왜군의 주요 목적이 고니시 군의 보급이었음에도 직접적인 등장은 없었는데, 노량은 아예 고니시 구출이 목적인만큼 고니시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다" * 2023년 3월 19일, 한산 리덕스 GV에서 김한민 감독이 노량 개봉은 수능 이후라고 말했다. * 2023년 5월 19일, 노량이 북미, 유럽 등에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51922534390732|선판매]]됐다. 그 전에 후반작업은 다 끝낸 듯하다. * 2023년 8월 25일, [[등자룡]]과 등자룡 부장의 사진이 [[대하사극 매니아 카페]]를 통해 공개되었다.[* 원래 사진은 트위터에서 발견되어 유튜브에 올려졌고, 유튜브 캡처를 통해 카페에 올려진듯 하다.] [[https://cafe.naver.com/sakcafe/138623|#]] 시마즈와 비슷하게 흰 수염을 늘어뜨린 모습이다. * 2023년 9월 2일, 영화 [[핸드폰(영화)|핸드폰]] GV에서 김한민 감독의 말에 의하면, 개봉일은 12월 20일이라고 했다. * 2023년 10월 12일, 본작이 등급분류심의를 신청했다.[[https://ors.kmrb.or.kr/rating/inquiry_mv_view.do?RCV_NO=2411129&KIND=MV_DOM&GUBUN=N&&proc_state_code=onGoing&mv_kind=MV_DOM&vd_kind=VD_DOM&mv_use_title=%EB%85%B8%EB%9F%89%3A%EC%A3%BD%EC%9D%8C%EC%9D%98%EB%B0%94%EB%8B%A|#]] [[한산: 용의 출현|전작]]처럼 12세 판정을 받게 될지, 아니면 [[명량|전전작]]처럼 15세를 받게 될지는 미지수이다. 다만, 전사 장면과 전투 장면이 많고 길기에 15세 관람가 판정을 받을 확률이 크다. * 2023년 11월부터 본 영화에 대한 소식이 자주 나오고 있다. 1일에는 노량의 컨셉 아트가 공개되었고, [[https://extmovie.com/movietalk/91611682?_filter=search&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85%B8%EB%9F%89|#]] 7일에는 김한민 감독의 손편지가 공개되었으며, 9일에는 1차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5225509|#]] 이내 --관객들이 기다리고 기다리던-- 티저 예고편이 공개되었고, 거기에 15일에는 본작의 제작보고회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2-cqW_hirI|#]]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시나리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ryang Deadly Sea.jpg|width=100%]]}}} || || '''로고 포스터''' || '''북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런칭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런칭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이순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시마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진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등자룡.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이순신'''}}}}}}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시마즈 요시히로'''}}}}}}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진린'''}}}}}} || {{{#!wiki style="margin: -3px -5px" {{{-2 '''등자룡'''}}}}}} || ||<-4> '''캐릭터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_gm0ukkvpA)]}}}|| || '''런칭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ZOmkpn4mGg)]}}}|| || '''티저 예고편''' || == 시놉시스 == >임진왜란 발발로부터 7년이 지난 1598년 12월. > >이순신(김윤석)은 왜군의 수장이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뒤 왜군들이 조선에서 황급히 퇴각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 >'''"절대 이렇게 전쟁을 끝내서는 안 된다"''' >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는 것이 이 전쟁을 올바르게 끝나는 것이라 생각한 이순신은 명나라와 조명연합함대를 꾸려 왜군의 퇴각로를 막고 적들을 섬멸하기로 결심한다. > >하지만 왜군의 뇌물 공세에 넘어간 명나라 도독 진린(정재영)은 왜군에게 퇴로를 열어주려 하고, 설상가상으로 왜군 수장인 시마즈(백윤식)의 살마군까지 왜군의 퇴각을 돕기 위해 노량으로 향하는데… > >'''2023년 12월, 모두를 압도할 [[노량해전|최후의 전투]]가 시작된다!''' >---- >[[다음영화]] == 등장인물 == * [[김윤석]] - [[이순신]] 역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수군통제사 * [[백윤식]] - [[시마즈 요시히로]] 역 사천왜성 총대장, 본작의 '''[[최종 보스]]''' * [[정재영]] - [[진린]] 역 명나라 수군 도독 * [[허준호]] - [[등자룡]] 역 명나라 수군 부도독 * [[김성규(배우)|김성규]] - [[준사]] 역 항왜 군사 * [[이규형(배우)|이규형]] - [[아리마 하루노부]] 역 고니시 유키나카의 부하 * [[이무생]] - [[고니시 유키나가]] 역 순천왜성 총대장, 본작의 '''[[중간 보스]]''' * [[최덕문]] - [[송희립]] 역[* [[명량]]에서는 [[송여종]] 역] 이순신 휘하 군관 * [[안보현]] - [[이회(조선)|이회]] 역 이순신의 아들 * [[박명훈]] - [[쵸주인 모리아츠]] 역 시마즈 요시히로의 가신 * [[박훈(배우)|박훈]] - [[이운룡]] 역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 [[문정희]] - [[방수진(조선)|방씨 부인]] 역 이순신의 부인 * [[안성봉]] - [[권준]] 역 충청도 수군절도사 * [[주석태]] - [[시마즈 토요히사]] 역 시마즈 요시히로의 조카 * [[김중희]] * 김준석 * 정제우 * [[김범수(배우)|김범수]] * [[이준이]] * 임일규 * 나주석 * [[배성우]] * 남상우 * [[안세호]] * [[정기섭]] * [[최광제]] * [[공대유]] * [[남경읍]] - [[권율]] 역[*특별출연] 도원수 (조선군 최고지휘관) * [[여진구]][* 영화 대립군과 드라마 왕이 된 남자에서는 광해군 역을 맡았다.] - [[이면(조선)|이면]] 역[*특별출연] 이순신의 막내아들 * [[이제훈]] - [[광해군]] 역[*특별출연] 조선 왕세자 * [[김재영]] - [[정운]] 역[*특별출연] 이순신의 전 부하.[* 극중 시점에서는 이미 고인이다. 전작 명량에서 역시 고인이었던 [[이억기]]가 등장했던 것과 비슷한 일.] * 전운종 - 왜군 포로 역 * 위민국 - 타치바나 부장 역 * 황성웅 - 데라자와 부장 역 * 황준필 - 토요히사 부장 역 * 한우진 - 등자룡 부장 역 * 진범일 - 시마즈군 도망병 역 * 배정환 - 고니시 부장 역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사운드트랙 == 김한민 감독이 노량의 음악은 레퀴엠같은 느낌이라 한걸로 보아 [[명량|이전]] [[한산: 용의 출현|작품]]과 다른 새 OST가 나올 것으로 추정된다. == 평가 == === 평점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 왓챠=, 왓챠_user=, ## 왓챠_highlight=display,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 평론가 평 === === 관객 및 네티즌들 반응 ===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 1주차}}} ||2023-12-20.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12-21.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2-22.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2-23.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2-24.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12-25.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12-26.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23-12-27.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12-28.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2-29.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2-30.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2-31.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1-01.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1-02.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24-01-03.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1-04.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1-05.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1-06.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1-07.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1-08.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1-09.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24-01-10.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1-11.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1-12.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1-13.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1-14.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1-15.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1-16.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23/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같은 날 개봉하게 되는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과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작보다 2주 앞선 12월 6일에는 [[리들리 스콧]] 감독의 [[나폴레옹(영화)|나폴레옹]]도 개봉될 예정이다. 때문에 한국과 서양의 전쟁사를 대표하는 최고 명장들이 영화를 통해 경쟁하는 흥미로운 광경이 펼쳐질 [[https://m.mk.co.kr/news/culture/10874766|예정이다.]] == 역사 재현성 == * 기존의 사극과는 달리 [[시마즈 요시히로]]가 일본 측 수장으로 정확히 묘사되었다. * [[불멸의 이순신]]에서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등장하는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가 있었다. 시마즈 요시히로가 부각되는 점을 보아 그렇지 않을 확률이 크지만, 이번 캐스팅에 와키자카의 부장 역의 배우가 재등장하는 점이 변수다. 물론 전작과 동일한 배역을 맡는다는 보장은 없다.[* [[명량]]에서 가츠라 역을 맡았던 [[주석태]] 역시 본작에서는 [[시마즈 토요히사]] 역을 맡는다.] * [[판옥선]]의 재현이 기대를 받는다. 전작 <한산>이 그간 임진왜란 관련 작품들이 안 보여준 조선 수군 진법을 제대로 보여주었기 때문. 이전까진 한 면에서만 포를 쏜 것으로 나왔는데, 실제론 닻을 내리고 그 자리에서 360도 돌며 전후좌우 전면으로 포를 쏘았다. 게다가 원래의 기준이라면 한산-명량-노량 순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명량에서 나왔던 판옥선이 등장해야 한다. * 이순신 장군 전사 후 누가 대신 북을 치며 지휘할 지에 대한 추측이 많다. 조카 [[이완]]이 많이 알려져 있다. 당시 선조실록에는 권율과 군공청[* 임진왜란 때 각 지방 의병들이 세운 무공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아]에서는 [[손문욱]][* 손문욱은 상당히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데 임진왜란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귀순해서 정유재란 기간 동안 전장에서 장수로 활약했다. 또 전쟁이 끝나고 사명대사 [[유정]]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조선인 포로들을 송환해 온 외교관이기도 했다.]이라는 장수가 마지막까지 지휘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 한국 사극 작품 역사상 최초로 [[일본 갑옷#s-5.3|남만동구족]]을 재현하였다. [[아리마 하루노부]]역을 맡은 [[이규형(배우)|이규형]]이 입고 나왔다. * 거북선은 이순신의 상징이지만 노량해전 당시에는 운용되지 않았다. 런칭 예고편에서 거북선이 등장하는 것에 관해 노량해전에 투입된 각색이냐, 노량해전에서의 이순신의 눈에 비치는 환영이냐, 칠천량 해전이 영상화 되어 투입되는 장면이냐 이렇게 3가지 추측이 있다. 예고편의 거북선은 3층 구조이며[* 한산에서 왜군의 포격에 피해를 입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전투가 끝난 후 수리된 것으로 보인다.] 명량 마지막 장면의 거북선은 4척 모두 2층 구조로 나온다.[* 참고로 노량해전에는 거북선이 단 한 척도 투입되지 않았다. 거북선은 [[칠천량 해전]]에서 세 척 모두 격침되었고, 당장 제식 전투함인 판옥선 건조하기에도 바쁜 마당에 돌격함에 불과한 거북선을 건조할 여력은 없었으므로, 충무공은 거북선을 재건조하지 않았다. "아예 쓰이지 않았다는 기록은 없지 않느냐"라고 반론할 수도 있겠으나, 한일 기록 모두 격침되었다는 기록은 명확하고 재건되었다는 기록은 없으며 투입되었다는 기록도 없으므로 없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 기타 == * [[이순신]]의 마지막 전투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며, 이순신이 [[노량 해전]] 당시 전사한 것을 감안하면 영화 마지막에 이순신이 전사한다는 스토리는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스포일러]] 관련 유머글이 인터넷에 돌아다닌다. [[https://www.fmkorea.com/best/4869576843|링크]],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8102925|링크 2]]. 과거 이순신의 생애를 배경으로 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명량때부터 이미 스포일러 관련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8566303|논쟁]]이 있었다. * 2023년 9월 19일에 런칭 포스터가 공개되었는데, 타이틀 로고가 조금 변했다. 전보다 더 세련되게 바뀌었다. 그리고 동시에 런칭 예고편도 공개되었는데,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였다는 점이 반영되어 명량, 한산 예고편이 지금 당장이라도 왜군을 싹쓸이 물리칠 거 같은 열정을 과시하는 느낌에서 장엄하고 비장함이 느껴지는 최후의 전투라는 느낌이 강하게 연출되었다. * 2023년 9월 28일, 비녀단과 같은 김한민 감독 공식 팬덤이 아닌 '''민간 팬덤'''이 본작의 [[https://open.kakao.com/o/g55VvDJf|팬톡방]]을 만들었다.[* 같은 시기에 방영예정인 드라마 [[고려거란전쟁]] 역시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아 팬톡방이 생겼다.] === 배우 관련 === * 공식 발표와 별개로 배우들의 인스타를 통해 [[권준]][* [[한산: 용의 출현]] ] 역의 [[안성봉]], [[송여종]][* [[명량]] ] 역의 [[최덕문]], 와키자카 부장[* [[한산: 용의 출현]]. [[명량]]에서도 역시 와키자카의 부장 구로다를 연기했다.] 역의 정제우 등의 복귀가 확인되었다. * [[한산: 용의 출현]]에서 [[김명곤]]의 [[도도 다카토라]]를 제외한 모든 배역의 배우를 교체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이다.[* 단, 위 배우들이 전작과 같은 역으로 출연한다는 보장은 없다. 명량의 배홍석 역이었던 [[김구택]]은 한산에서 [[김완]]으로, [[가토 요시아키]]를 연기한 [[김강일]]은 한산에서 [[구키 요시타카]]로 출연했고, 가츠라를 연기한 [[주석태]] 역시 본작에선 [[시마즈 토요히사]]를 연기한다.] * 이순신 역의 [[김윤석]]과 시마즈 요시히로 역의 [[백윤식]]은 [[타짜(영화)|타짜]]에서 각각 아귀와 평경장으로 분해 호연을 펼친 바가 있어 노량 캐스팅 당시부터 아귀와 평경장의 정면대결이라는 배우개그가 넘쳐났다. 두 배우는 타짜 외에도 [[범죄의 재구성]], [[전우치]], [[천하장사 마돈나]]에서 협연을 펼쳐 이번이 다섯 번째 동반 출연이다. 영화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기자들과 배우들 역시 이 배우개그를 언급했다. === CG 관련 === * 일단 전작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CG 퀄리티가 좋아진 듯 하다. 예고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작 한산은 그냥 게임그래픽 수준이였는데 본작은 정말 리얼하다. [각주] [[분류:이순신 3부작]][[분류:롯데엔터테인먼트]][[분류:2023년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IMAX로 상영한 한국영화]][[분류:4DX로 상영한 한국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