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노량, other1=본 영화의 배경이 된 전투, rd1=노량 해전)] [include(틀:노량)] ||
{{{#ffffff '''노량: 죽음의 바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한민 감독 이순신 3부작)] ---- [include(틀:김한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include(틀:이순신 시리즈)] }}} || ||<-2>
{{{+1 '''노량: 죽음의 바다'''}}} (2023)[br]露梁 | Noryang: Deadly Se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액션]], [[사극]], [[드라마]], [[전쟁 영화|전쟁]], [[스릴러]] || || '''기획''' ||<|3>[[김한민]] || || '''제작''' || || '''감독''' || || '''각본''' ||[[김한민]], 윤홍기[* [[한산: 용의 출현]], [[봉오동 전투(영화)|봉오동 전투]], [[은밀하게 위대하게(영화)|은밀하게 위대하게]]의 각본가. 일곱번째 배심원[[https://page.kakao.com/content/52819126|#]]을 쓴 소설가이기도 하다.], 이나라 || || '''프로듀서''' ||김주경, 이대희, 이나라{{{-2 (포스트)}}} || || '''투자'''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롯데컬쳐웍스, 빅스톤픽쳐스 || || '''주연''' ||[[김윤석]], [[백윤식]], [[정재영]], [[허준호]], [[김성규(배우)|김성규]], [[이규형(배우)|이규형]], [[이무생]], [[최덕문]], [[안보현]], [[박명훈]], [[박훈(배우)|박훈]], [[문정희]] 外|| || '''촬영''' ||김태성 || || '''편집''' ||안현건 || || '''미술''' ||조화성 || || '''소품''' ||유청 || || '''음악''' ||[[김태성]]{{{-2 (모노폴)}}} || || '''의상''' ||권유진, 박세라(해인) || || '''분장''' ||조태희{{{-2 (하늘분장)}}} || || '''무술''' ||최봉록 || || '''조명''' ||김경석 || || '''특수효과''' ||DND LINE|| || '''시각효과''' ||정철민 정성진 || || '''사운드''' ||김석원{{{-2 (블루캡)}}} || || '''VFX''' ||[[M83 스튜디오]], 스톤브이스튜디오 || || '''제작사''' ||㈜빅스톤 픽쳐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 ||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 || '''촬영 기간''' ||[[2021년]] [[1월 14일]] ~ [[2021년]] [[6월 15일]][* 총 99회차]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0일]][* 실제 역사에서 [[노량 해전]]이 벌어진 [[1598년]] [[12월 16일]]에서 정확히 나흘 후가 되는 날, 즉 [[이순신]] 장군 [[순국]] 후 나흘째가 되는 날짜에 개봉했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2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9일]][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미정 [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2024년]] [[1월 5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24년]] [[1월 19일]][br][[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0]] 미정[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정[br] || || '''화면비''' ||2.35:1 || || '''상영 타입''' ||[[2차원|2D]] | [[4DX]] | [[IMAX]] | [[ScreenX]] | [[Dolby Atmos]] | [[MX4D]][* 아래 [[노량: 죽음의 바다#기타|기타]]에서 서술하지만, [[트롤: 밴드 투게더]]와 함께 [[롯데시네마]]에서 처음으로 [[MX4D]]를 런칭한 영화이다.] || || '''상영 시간''' ||153분 (2시간 32분 32초)[* [[김한민]] 감독이 신년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해전 장면이 무려 '''100분(1시간 40분)''' 정도에 다다른다고 한다. [[명량]]의 해전 장면이 61분, [[한산: 용의 출현]]의 해전 장면이 51분인데 이를 다 합친 정도의 분량인 셈. 실제 역사에서 [[노량 해전]]은 이순신이 그동안 치른 해전 중에서 (이순신 본인을 포함한) 지휘관급 조선군 사상자가 가장 많이 나온 전투이기도 하고, 그 옛날에 고작 횃불에만 의존하여 '''밤바다'''에서 전투를 치르자니 어쩔 수 없이 배끼리 근접해야 했다. 게다가 한밤중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 이어진 전투였으며, '''이순신의 조선 수군, 시마즈의 왜 수군, 진린의 명나라 수군'''까지 삼국의 수군이 한데 모여 벌인 전투였기에 전투 장면에 시간이 엄청나게 많이 할애된 것으로 여겨진다.] || || '''순 제작비''' ||[[https://naver.me/FOMNpi8M|312억 원]]|| || '''손익분기점''' ||[[https://naver.me/FOMNpi8M|720만 명]][* 평균객단가 4400원 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251,915''' ^^([[2023년]] [[1월 15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2813112/?ref_=bo_se_r_1|기준]])^^|| || '''월드 박스오피스''' ||'''$31,436,437''' ^^([[2023년]] [[1월 15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2813112/?ref_=bo_se_r_1|기준]])^^||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453,762명''' ^^([[2024년]] [[1월 19일]]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findDailyBoxOfficeList.do|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12%EC%84%B8%EC%9D%B4%EC%83%81%EA%B4%80%EB%9E%8C%EA%B0%80&rcv_no=2421523&return_url=&searchKeyword=%EB%85%B8%EB%9F%89|등급분류 결정내용]]: 주제의 이해도를 비롯하여, 총, 칼, 화포 등 무기류를 사용한 해상 전투 장면과 전투 중 살상 장면이 유혈, 신체훼손과 함께 묘사되나 원경 또는 대부분 간결하게 표현되고, 잘려진 머리들이 궤짝에 담겨있는 장면, 노장의 잘린 머리를 바닥에 던지는 장면 등이 있으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고증적 묘사임을 감안하여 폭력성 및 공포의 수위가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width=40]])]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otte_ent, 크기=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쟁을 끝낼 최후의 전투''' >---- >'''THE LONG-AWAITED FINAL CLASH''' >"'''모두가 한마음으로 바라나니, 부디 적들을 남김없이 무찌르게 해주소서.''' > >'''이 원수를 갚을 수만 있다면 한 몸 죽는다 한들, 여한이 없을 것입니다."''' 2023년 12월 20일에 개봉한 [[김한민]] 감독의 한국 영화. [[2014년]] 《[[명량]]》, [[2022년]] 《[[한산: 용의 출현]]》에 이은 [[김한민 감독 이순신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과 충무공 [[이순신]]의 죽음을 다루는 영화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제로 쓰인 '''죽음의 바다''' 자체가 영화의 성격을 잘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 [[/개봉 전 정보|개봉 전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량: 죽음의 바다/개봉 전 정보)] == 포스터 ==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시나리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런칭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로고 포스터''' || '''런칭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4><^|1>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ryang Deadly Sea.jpg|width=100%]]}}} || || '''메인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이순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시마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진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노량 죽음의 바다 캐릭터 포스터 등자룡.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이순신'''}}}}}}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시마즈 요시히로'''}}}}}} || {{{#!wiki style="margin: -3px -5px" {{{-2 '''진린'''}}}}}} || {{{#!wiki style="margin: -3px -5px" {{{-2 '''등자룡'''}}}}}} || ||<-4> '''캐릭터 포스터'''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IMAX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4DX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량 SUPER MX4D 포스터.jpg|width=100%]]}}} || || '''IMAX 포스터''' || '''4DX 포스터''' || '''SUPER MX4D 포스터''' ||}}}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_gm0ukkvpA)]}}}|| || '''런칭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ZOmkpn4mGg)]}}}||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XEpZpnImY8)]}}}|| || '''메인 예고편''' || ===# 기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VeA7DUZcAo)]}}}|| || '''10년의 여정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45PTFVIHsk)]}}}|| || '''캐릭터 히스토리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HcxGtA9Dn4)]}}}|| || '''메인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lRD89i4zDk)]}}}|| || '''TMI 퀴즈 대결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XtwkuaJIiQ)]}}}|| || '''리뷰 30초 영상''' || == 시놉시스 == >임진왜란 발발로부터 7년이 지난 1598년 12월. > >[[이순신]](김윤석)은 왜군의 수장이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뒤 왜군들이 조선에서 황급히 퇴각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 >'''"절대 이렇게 전쟁을 끝내서는 안 된다"''' >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는 것이 이 전쟁을 올바르게 끝내는 것이라 생각한 이순신은 명나라와 조명연합함대를 꾸려 왜군의 퇴각로를 막고 적들을 섬멸하기로 결심한다. > >하지만 왜군의 뇌물 공세에 넘어간 [[명나라]] 도독 [[진린]](정재영)은 왜군에게 퇴로를 열어주려 하고, 설상가상으로 왜군 수장인 [[시마즈 요시히로|시마즈]](백윤식)의 [[사쓰마|살마]]군까지 왜군의 퇴각을 돕기 위해 노량으로 향하는데… > >'''2023년 12월, 모두를 압도할 [[노량 해전|최후의 전투]]가 시작된다!'''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 [[이순신 3부작/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순신 3부작/등장인물)] == [[/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량: 죽음의 바다/줄거리)] == 사운드트랙 == 명량과 한산: 용의 출현에 등장한 음악을 그대로 활용해 3부작의 연속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량: 죽음의 바다/평가)] == [[/흥행|흥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량: 죽음의 바다/흥행)] == [[노량: 죽음의 바다/역사 재현성|역사 재현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량: 죽음의 바다/역사 재현성)] == 기타 == * [[이순신]]의 마지막 전투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며, 이순신이 [[노량 해전]] 당시 전사한 것을 감안하면 영화 마지막에 이순신이 전사한다는 스토리는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스포일러]] 관련 유머글이 인터넷에 돌아다닌다. [[https://www.fmkorea.com/best/4869576843|링크1]]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8102925|링크 2]] [[https://www.fmkorea.com/6116179165|링크 3]] 한참 전 [[명량]]부터 그래도 실화지만 영화니까 각색이 들어갔을 텐데 이것도 스포일러에 포함되지 않느냐는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8566303|논쟁]]이 있었다. * 2023년 9월 19일에 런칭 포스터가 공개되었는데, 타이틀 로고가 로고 포스터 대비 세련되게 변했다. 전보다 더 직선적이고, 노량의 'ㄹ' 글자가 알아보기 쉽게 바뀌었다. * [[롯데시네마]]가 본작의 개봉일에 [[MX4D]]를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월드타워점]]에서 런칭하기에,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트롤: 밴드 투게더]]와 함께 국내에서 최초로 MX4D로 상영한 영화, 또한 MX4D로 상영하는 최초의 한국 영화가 되었다. * 전작 [[한산: 용의 출현]]이 100억 가량을 받고 VOD 서비스 없이 쿠팡플레이에 독점 공개되는 것으로 OTT 선공개 계약을 체결했었다. 이에 노량도 한산처럼 쿠팡플레이가 거액을 베팅할지에 대해 영화계에서는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반응이다. 한 영화 배급 관계자는 예상외의 흥행 참패 같은 상황이 오면 몰라도 현재는 1000만 관객을 바라보는 기대작이라 전혀 그런 생각을 하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37107|#]][* 하지만 현재로서는 500만도 힘든 성적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작품도 쿠팡플레이 독점 공개작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메가박스]] 자회사가 아닌 한국 영화로는 오랜만에 [[오리지널 티켓]]이 제작된다. 작년 [[한산: 용의 출현]]은 깔끔하게 건너뛰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토요일로 미뤄서 지급을 실시한다. 또한 보통 전성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나 [[아바타: 물의 길]]에서 볼 수 있었던 특전들 간의 지급일 쪼개 놓기도 오랜만에 등장했는데, [[CGV]]에서 [[4DX]] 포스터는 개봉주부터 지급하는 반면 [[IMAX]] 포스터는 개봉 2주차부터 지급한다. 개봉일부터 런칭되는 [[MX4D]] 포스터도 한국 영화 최초로 제작되었다. * 특별관 포스터 쪽에는 신경을 많이 안 썼는지 IMAX 포스터는 메인 포스터와 캐릭터 포스터를 적당히 합친 디자인에 이례적으로 후가공도 없고[* IMAX 포스터는 거의 항상 '특수 가공 인쇄 효과가 들어가있어요!'라는 문구가 표시되었는데 노량: 죽음의 바다 이벤트 페이지에는 없다. 돌비 포스터에만 후가공이 있었던 [[더 문(2023년 영화)|더 문]]과 비슷한 사례.] [[SCREENX]]는 없다. [[Dolby Atmos]]의 경우 단독으로는 특별관 취급을 못 받아 포스터를 제작하지 않고 특전이 필요하면 다른 포스터를 복붙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SCREENX는 단독으로도 영화관 전산망에서 따로 집계되는 특별관 취급이라 특별관 표스터를 하나씩 만드는데 노량: 죽음의 바다만 최근 SCREENX 상업영화 중에는 유일하다시피 하게 포스터가 아예 없다. 전작 [[한산: 용의 출현]]의 경우 IMAX 포스터를 따로 만들고 SCREENX 포스터도 지급용 비율은 아니지만 일단 만들어 놓긴 했었다. * 당초에는 [[사천성 전투|사천왜성 전투]]씬이 있을 거라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1598년에 있었던 [[울산성 전투]]를 비롯해 [[절이도 해전]]은 물론 사천왜성 전투장면도 없었다. * [[쿠키 영상]]이 존재한다. 이걸 모르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 퇴장하는 관객들이 많다. 쿠키 영상을 보지 않은 관객들에 대해 다룬 기사도 나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853332?sid=103|기사]] * 확실히 한산 다음으로 나온 영화라 그런지 한산과 관련된 묘사는 많지만 명량과 관련된 묘사는 거의 없다. 시기상으론 한산보단 명량이 더 가까운데 제작 시점이 다른 탓인지 명량은 따로 있고 한산과 노량만 세트로 묶여있는 것 같은 괴리감이 든다. *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무대인사에서 배우들이 한 명의 관객에게 소원을 성취해주었다.[* 인스타그램에서 소원 수리를 진행하여 추첨한 것이다.] >이대희[* 영화의 프로듀서로, 무대인사 참석자를 소개한다.]: 소원권 추첨, 발표해주시죠! >김성규: 네. 일단 [[https://www.youtube.com/watch?v=wUx9pNNb8YU|A열 39번]]이시구요, "배우님과 사진 찍고 싶어요".(라고 적어주셨습니다) 해당 이벤트는 새해 기념으로도 진행되었다. * 김한민 감독은 본작의 감독판을 내놓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https://www.news1.kr/articles/5270384|기사]] * 2023년 12월 27일 [[이선균]]의 [[이선균 사망 사건|사망]] 소식에 영화 측은 오후 1시부터 예정돼있던 김성규의 인터뷰를 긴급 취소했다. “김성규 배우 인터뷰는 부득이하게 취소한다”고 양해를 구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273002|#1]]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18/0005644635|#2]] * 여러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명량 한산 노량 나왔으니 최민식 박해일 김윤석 만나서 이순신: 노 왜구 홈[* 스파이더맨 3명이 모인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을 패러디 한 것이다.] 찍자는 개드립이 심심찮게 등장한다. [[파일:이순신 노 왜구 홈.jpg|width=600]] * 노량 개봉 기념으로 [[포레스텔라]] 멤버이자 PITTA 밴드의 보컬인 [[강형호]]가 <해무>[* 무 자가 안개 무霧가 아닌 춤출 무舞다.]라는 노래를 작곡했다. 정식 개봉 전 시사회에서 라이브공연으로 선공개하고 이후 롯데시네마, PITTA 유튜브 채널에 노량: 죽음의 바다 장면을 활용한 스페셜 뮤직 비디오가 게시되었다.[* 참고로 [[이순신]]역의 [[김윤석]]이 [[포레스텔라]]가 2021년 청룡영화상 축하무대 대기 중일 때 직접 대기실로 와서 팬텀싱어2 결승전 때 직접 투표를 했다며 멤버들의 이름도 모두 기억하면서 인사해 주셨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zARGckp4d8)]}}}|| * [[조선일보]]의 유석재 기자가 노량을 저격하는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4/01/05/D73Z25TOYRCZVFYLQMPIJNEG2I/|기사]]를 내었는데 [[김한민]] 감독은 이에 대해 어이없어했으며, 노량단[* 이 영화의 서포터즈다.]의 [[https://open.kakao.com/o/g55VvDJf|한 팬덤]]은 아예 유석재 기자를 주적으로 여기고 있다.[* 방 공지를 보면 유석재를 노량 안티로 규정하고 있는데, 거의 주적으로 여기는 수준이다.(팬덤 방 공지를 보면 유석재에게 [[쌍욕]]이 가능하다고 적혀있다.)] === 배우 관련 === * 공식 발표와 별개로 배우들의 인스타를 통해 [[권준]] 역의 [[안성봉]], [[송희립]] 역의 [[최덕문]], 왜군 역의 정제우 등의 복귀가 확인되었다. [[한산: 용의 출현]]에서 [[김명곤]]의 [[도도 다카토라]]를 제외한 모든 배역의 배우를 교체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이다.[* 단, 위 배우들이 전작과 같은 역으로 출연한다는 보장은 없다. 명량의 배홍석 역이었던 [[김구택]]은 한산에서 [[김완]]으로, [[가토 요시아키]]를 연기한 [[김강일]]은 한산에서 [[구키 요시타카]]로 출연했고, 가츠라를 연기한 [[주석태]] 역시 본작에선 [[시마즈 토요히사]]를 연기한다. 명량에서 송여종을 연기했던 최덕문은 본작에서 송희립 역을 맡았다.] * 이순신 역의 [[김윤석]]과 시마즈 요시히로 역의 [[백윤식]]은 [[타짜(영화)|타짜]]에서 각각 아귀와 평경장으로 분해 호연을 펼친 바가 있어 노량 캐스팅 당시부터 아귀와 평경장의 정면대결이라는 배우 개그가 넘쳐났다. 두 배우는 타짜 외에도 [[범죄의 재구성]], [[전우치(영화)|전우치]], [[천하장사 마돈나]]에서 협연을 펼쳐 이번이 다섯 번째 동반 출연이다. 영화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기자들과 배우들 역시 이 배우 개그를 언급했다. * [[박훈(배우)|박훈]]과 [[안세호]], [[유성주]]는 [[서울의 봄(영화)]]에서 각각 [[허화평|문일평]], [[장세동|장민기]], [[윤성민|민성배]]를 연기하여 호평을 받았는데, 본작에서는 이운룡, 류형, 심리로 등장하기 때문에 적에서 아군으로 분해 또다른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 이순신 역의 [[김윤석]]이 고된 일정으로 인해 촬영 후반에 [[코피]]가 났는데 멈추지 않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266980|#]] * 본작의 무대인사에서는 시마즈 역의 백윤식 순서가 압권이라고 한다. [[파일:백윤식 시마즈.jpg|width=600]] >백윤식: '''{{{+3 "반갑숩니다!! 백윤식입니다아!!!......}}}'''예...오늘..귀한 자리에...소중한 시간...내주셔서...고맙고 노량 죽음의 바다....보면서 즐거운 관람....되십시요...................'''{{{+4 카아암싸아하압니다아아앜!!!!!!!!"}}}''' 보통 무대인사를 이렇게 진행한다. * 여수 진모영화세트장[* 영화가 개봉하기 전 배우와 감독이 여수 영화관에서 영화 시사회를 했다. 지금은 없어졌다.[[https://www.dbl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8885]]], 순천왜성, 강릉 경기장에서 촬영하였다.[* 여수 세트장과 강릉 경기장은 [[한산: 용의 출현]]도 이 이곳에 촬영하였다. 쿠키영상 나오기 전에 영화를 다 마치고 나서 확인할 수 있다.] * 진린 역을 맡은 [[정재영]]은 등자룡 역을 맡은 [[허준호]]와 중국어 연기 톤 유지를 위해 촬영장에서 일부러 말을 자주 섞지 않았고, 그래서 허준호는 자신이 정재영을 불편하게 한 점이 있었나 고민하기도 했다고 한다. 정재영은 이번이 첫 외국어 연기였고 촬영에 들어가기 전에 5~6개월 전부터 언어 공부를 시작했으며, 진린이라는 인물에 대해서도 연구했다고 한다. [[https://v.daum.net/v/20240102134237017|#]]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3322698|#]]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3년)]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4년)]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 [include(틀:이순신)] [각주] [[분류:노량: 죽음의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