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르몬]][[분류:약물]][[분류:신경전달물질]] [목차] == 개요 == {{{+1 Norepinephrin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르에피네프린.png|width=100%]]}}} ||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교감신경의 말단과 부신 속질(adrenal medulla)의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우세하고, 부신 속질에서는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약 4:1 정도로 우세하다. 화학식은 C,,8,,H,,11,,NO,,3,,이다. == 합성과 대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카테콜아민의 합성.png|width=100%]]}}} || 노르에피네프린은 [[도파민]]으로부터 도파민 베타 일산소첨가효소(dopamine beta-monooxygenase)에 의해 합성된다.[* 도파민 베타 수산화효소(hydroxylase)라고도 한다.] 또한,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으로부터 페닐에탄올아민 N-메틸기전달효소(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에 의해 합성된다. [[파일:노르에피네프린의 대사.jpg|width=100%]] 노르에피네프린은 [[MAO(생화학)|MAO]](monoamine oxidase)와 [[COMT]](catechol-O-methyltransferase),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바닐릴만델산]](vanillylmandelic acid, VMA)으로 대사 된다. 이때, MAO가 작용한 뒤 COMT가 작용할 수도 있고, COMT가 작용한 뒤 MAO가 작용할 수도 있다. VMA는 노르에피네프린뿐만 아니라, [[에피네프린]], [[도파민]]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비타민 C]]와 [[구리]] 의존 효소다. == 작용 == 노르에피네프린은 α,,1,, 수용체와 β,,1,,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며, β,,2,, 수용체에의 작용은 크지 않다. α,,1,, 수용체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β,,1,, 수용체는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β,,2,, 수용체는 혈관을 이완하는 작용이 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혈압#s-3.1|이완기혈압]]과 [[혈압#s-3.1|수축기혈압]]을 모두 상승시킨다. 뇌에서는 주로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을 위시한 인지기능,주의력 강화, 장기기억과 작업기억의 강화, 입력에대한 반응 강화등을 한다. == 어원 == 에피네프린(epinephrine)은 epi nephron(그리스어 επι νεφρων)를 어원으로 '신장에(있는 부신)'라는 뜻에서 연유한다. 아드레날린(adrenaline) 역시 라틴어 ad renal(신장(콩팥)에 있는 부신)를 어원으로 하고 있다. 노르-(nor-)는 normal(보통의) 접두사이다.[* nor- [[https://www.collinsdictionary.com/ko/dictionary/english/nor]] 1. indicating that a chemical compound is derived from a specified compound by removal of a group or groups ,noradrenaline , 2. indicating that a chemical compound is a normal isomer of a specified compound ]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특별한 아드레날린(adrenaline)보다는 덜 특별한 따라서 보통의 아드레날린(noradrenaline)임을 뜻한다. == 관련 항목 == * [[페닐알라닌]] * [[트립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