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태우)] ||<-2> '''{{{+1 노병수}}}[br]盧秉壽''' || ||<|2> '''출생''' ||[[1901년]] || ||[[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2> '''사망''' ||[[1940년]] (향년 39세) ||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신용리[br](現 [[대구광역시]] 동구 [[신용동(대구)|신용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부모''' ||[[아버지]] 노영수^^(1870년대 후반~1950년 이전)^^ || || '''배우자''' ||아내 김태향^^(金泰香, 1907년~1999년)^^[* 향년 92세. 남편과 달리 [[노태우|아들]]의 취임에서 퇴임까지 살아있다가,노태우의 퇴임 후인 1999년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자녀''' ||아들 [[노태우]], 노재우^^(1937년생)^^|| || '''형제''' ||[[남동생]] 노병상^^(1900년대 초중반~1980년대)^^[* 노병상 외의 동생은 6명 있다.] || || '''본관''' ||교하 노씨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13대 대통령인 [[노태우]]의 부친이다. == 생애 == 1901년, 노영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시기 공산면사무소 면서기를 지냈으며 당시에는 희귀한 스케이트를 타거나 바이올린, 유성기, 퉁소 등의 악기를 구입할 정도로 여유가 있었다고 한다. 1940년, 노병수는 중학교 입학시험을 치르러 가는 큰동생인 노병상과 버스를 타고 가다 기차와 충돌하는 사고로 인해 사망하였다. == 기타 == 엄청난 [[장신]]이었는데, 키가 무려 189cm였다고 한다. [[2020년대]] 현재 기준으로도 남성이 189cm이면 보기 드문 엄청난 키인데, 평균 신장이 현재보다 10cm가량 작았던 당시로써는 그야말로 거인이 따로없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유전 덕분인지, 노태우도 젊은 시절 키가 178cm로 꽤나 컸다(나이를 먹고는 175cm로 줄어들었다). 현재도 178cm이면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보다 큰데, 노태우가 20세 시절인 [[1950년대]] 당시로써는 평균을 훨씬 넘는 매우 큰 키이다. 사실 아버지 키가 189cm인데 아들 키가 178cm이면 아버지에 비해 아들이 많이 작은 편이기는 하다.[* 어머니로 치면 겨우 어머니보다 3cm 큰 것이 되니.] 또한 손자인 [[노재헌]]도 아버지 노태우과 할아버지 노병수의 장신 유전자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 185cm의 장신이다. == 참고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359398#home|대통령의 아버지, 누구인가?…가난한 농사꾼에서 거제도 갑부까지 ②]] [각주][[분류:1901년 출생]][[분류:1940년 사망]][[분류:대한민국 대통령 부모]][[분류:교하 노씨]][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태우/일생, version=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