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1 [ruby(登川, ruby=のぼりかわ)][ruby(駅, ruby=えき)]}}}[br] || {{{+1 Noborikawa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일본국유철도|[[파일:JNR_Wlogo.svg|height=50&align=left]]]]}}}[[일본국유철도|{{{#d8d8d8 일본국유철도}}}]][br]'''{{{+2 {{{#d8d8d8 노보리카와역}}} {{{#ffffff (폐역)}}}}}}'''|| ||<-3> [include(틀:지도, 장소=42.931673 142.107723, 너비=100%, 높이=300px)][* 구글 지도에 登川駅跡라고 치면 나오는 지점은 잘못 표기된 것이다.] ||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登川[br](のぼりかわ) || || 영어 ||<-2> Noborikawa || ||<-3> '''주소''' || ||<-3> [[홋카이도]] [[유바리시]] 노보리카와[br]北海道夕張市登川 || ||<-3> '''역 운영기관''' || || [[세키쇼선|{{{#ffffff 유바리선}}}]] ||<-2> [[일본국유철도|[[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16년 7월 11일 || ||<-3> '''폐업일''' || ||<-3> 1981년 7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신유바리역|{{{#000000,#e5e5e5 {{{#!html
모미지야마 방면
}}}}}}]]--[[카에데역|카에데]][br]← 3.1 km-- || '''--[[세키쇼선|{{{-2 유바리선}}}[br]노보리카와 지선]]--{{{#ff0000 {{{#!html
(폐선)
}}}}}}'''--노보리카와-- || --{{{#gray 종점}}}-- || || [[파일:Noborikawa_stn.jpg|width=100%]][br]바깥쪽에서 바라본 1976년의 역사와 승강장. 정차하고 있는 열차는 [[키하 22계 동차]]이다. || || [[파일:Noborikawa-pf.jpg|width=100%]][br]1976년의 승강장 || [목차]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있었던 [[일본국유철도]] [[세키쇼선#s-2.2|유바리선 노보리카와 지선]]의 [[폐역]]이다. 폐역 당시 역무원이 배치되지 않는 무인 간이위탁역이었다. 개업 당시 [[카에데역]]에서 출발하는 미쓰이 광산 전용선의 종착역이었으나 1916년에 국철이 노선을 인수하여 유바리선 노보리카와 지선 소속이 되었다. 1953년 노보리카와 탄광 폐광을 기점으로 이용객이 줄기 시작했다. 1981년 5월에 화물취급을 중단하고 무인역화 되었으며 그해 7월 1일에 노보리카와 지선 폐선으로 인해 폐역되었다. 현재 역 터에는 풀이 무성하게 자라있다. 선로가 있던 자리는 아직 돌밭이긴 하지만 풀이 서서히 나고 있다. 측선이 있던 자리는 옛 탄광으로 가는 진입로가 되어 있으나 펜스로 막혀 있다. 영업 당시 역 주변은 노보리카와 탄광과 탄광주택이 있는 전형적인 탄광촌이었다. 그러나 폐광 이후 모두 사라져 현재는 남아있는 것이 전무하다. 폐선 대체 버스노선인 [[유바리 철도]] 노보리카와선의 '노보리카와(登川)' 정류장이 근처에 있었으나 이마저도 2017년 9월 30일에 폐선되었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단선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1916년에 지은 목조 역사가 폐역때까지 쓰였다. 측선이 3선 있었다. ||<-5> [[카에데역|카에데]] ↑ || || {{{#c0c0c0 乗}}} || ㅣ || ㅣ || ㅣ || ㅣ || ||<-5> 종착역 || || {{{#c0c0c0 乗}}} ||--{{{#808080 ■}}} [[세키쇼선|유바리선]]--|| --상행-- ||--[[카에데역|카에데]] ・ [[신유바리역|모미지야마]] 방면--||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역]][[분류:191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81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유바리선 노보리카와 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