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ffc224 '''노소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노태우)] }}} || ---- ||<-2> '''{{{+1 노소영}}}[br]盧素英 | Roh Soh-ye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소영.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3월 31일]] ([age(1961-03-31)]세)|| ||[[대구광역시]]|| || '''거주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노(성씨)|교하 노씨]]|| || '''직업''' ||미술기관인 || || '''현직''' ||아트센터 나비 관장[br]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선임이사 || || '''부모''' ||아버지 [[노태우]], 어머니 [[김옥숙]]|| || '''형제자매''' ||남동생 [[노재헌]]|| || '''배우자''' ||[[최태원]](1988 ~ )|| || '''자녀''' ||장녀 [[최윤정(1989)|최윤정]][br]차녀 [[최민정(1991)|최민정]][br]장남 [[최인근]]|| || '''학력''' ||[[수도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섬유공학]] / [[수료|2학년수료]])}}}[br][[윌리엄 & 메리 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스탠퍼드 대학교|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 {{{-2 ([[교육학]] / [[석사]])}}}[br][[시카고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수료|박사수료]])}}}[br][[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원]] {{{-2 ([[과학|환경계획학]] / [[수료|석사수료]])}}}[br][[연세대학교 대학원]] {{{-2 ([[미학|영상예술학]] / [[수료|박사수료]])}}}|| || '''신체''' ||170cm[* 아버지인 노태우부터가 당시 기준으로는 꽤나 장신이었고 그 큰 키를 물려받았다. 남동생 노재헌도 185cm나 될 정도로 키가 크다.]|| || '''종교''' ||[[개신교]][* [[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5439|#]]오랫동안 교회를 다니긴 했는데, 2005년부터 [[하나님]]이 존재한다고 확신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 '''링크''' ||[[https://www.facebook.com/sohyeong.roh.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가문]]인 [[노태우]] 제13대 [[대통령]]의 딸. 아트센터 나비[* SK그룹 산하 미술관.] 관장. == 생애 == 1961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서울특별시]]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수도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 2학년 과정을 마친 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윌리엄 & 메리 대학교]], [[스탠포드 대학교|스탠포드 대학교 대학원]], [[시카고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모두 정식 일반대학원을 다닌 점이 주목된다. 1988년 선경그룹[* 現 SK그룹.] [[최종현]] 회장의 장남 [[최태원]]과 결혼했고, 슬하에 [[최윤정(1989)|최윤정]], [[최민정(1991)|최민정]], [[최인근]] 1남 2녀를 두었다. 학력에서 증명하듯 대단한 학구파이며, 지적 능력이 뛰어나다. 2009년 [[유방암]]으로 투병하면서 절제술을 받고 [[림프절]] [[전이(의학)|전이]] 판정까지 받았었다. == 이혼 소송 진행 == 남편인 최태원의 일방적인 [[혼외정사]]로 2015년 12월 이후 [[이혼]] 절차를 밟고 있으며, 이혼거부 의사를 확실히 밝히다가 2019년 12월 4일 '이제 더 이상 희망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는 사유로 법원에 맞소송을 제기했다. 여론은 대체적으로 노소영에게 우호적인 편이다. 노소영은 위자료와는 별도로, 이혼에 따른 재산 분할에서 최태원 본인이 소유한 SK주식회사 주식의 절반 수준[* 약 40%, T시가 1조 4,000억 원 규모]을 요구했다. 이 SK주식회사는 SK그룹 전체의 지주회사이기도 하므로 SK그룹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상대 배우자가 기여한 바 없는 재산이나 상속재산(특유재산)은 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하므로, SK그룹의 경영 자체와는 관련이 없던 노소영은 합의금 소송에서 불리한 상황이다.[* [[SK이노베이션]]의 전신인 대한석유공사와 [[SK텔레콤]]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의 절반은 노소영 것이라는 말도 있다.] 그래서 노소영은 새로운 카드를 꺼내는데, 바로 최태원과의 결혼 후에 아버지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SK그룹의 재산 증식에 영향을 미쳤다는 부분을 직접 꺼내는 것이다. [[최태원]]과 [[SK그룹]] 문서에 나오듯이 SK그룹의 성장에 노태우의 영향력이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점은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 노태우의 딸인 노소영 본인이 법정에서 이를 공개적으로 인정함으로써 SK그룹의 지분 소유를 인정받겠다는 것이다. 2021년 5월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실 날이 그리 많이 남지 않은 [[김옥숙|어머니]]가 미안하다고 했다”며 “네 뜻을 펼치지 못하게 하고 집안에만 가두어 둔 것, 오지 않는 남편을 계속 기다리라 한 것, 여자의 행복은 가정이 우선이라고 우긴 것 미안하다. 너는 나와 다른 사람인데 내 욕심에”라는 어머니가 한 말을 전하면서 "부모님 말을 잘 들으면 나처럼 된다"고 썼다.[[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1/05/11/7XFF5MRY4JD5HP2ZISCUR5SSLI/|부모님 말씀 잘 들으면 나처럼 된다]] 2021년 10월 26일 아버지가 사망한 뒤, 27일날 장례식장에서 동생과 함께 상주 자격으로 조문객들을 맞이하면서 조문을 온 최태원을 맞았다. 최태원은 잠시 머물다가 미국 출장을 가야한다며 자리를 떴는데, 원칙이나 관례를 따지자면 법적으로 사위인 최태원도 유족으로서 상주석에서 조문객을 맞는 것이 마땅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최태원이 조문객이 된 상황에 대해 어이없어하는 반응을 보였다. 2022년 12월 6일 1심에서 위자료 1억원, 재산분할로 665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나왔다.[[https://www.yna.co.kr/view/AKR20221206092452004?input=1195m|#]] 노소영 측에선 위자료 1억원과 재산분할 665억원을 수령하라는 법원 판단에 불복해 항소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526627?sid=102|#]] 2023년 5월 15일 차녀 [[최민정(1991)|최민정]], 5월 16일 장남 [[최인근]], 5월 17일 장녀 [[최윤정(1989)|최윤정]]이 잇달아 재판부에 [[진정서]] 등 [[탄원서]]를 제출했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51601039921312001|#1]]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7_0002306666|#2]] [[https://theqoo.net/2805182115|#3]] 민법상 많이 불리한 탓에 이렇게라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작은딸 [[최민정(1991)|최민정]]은 [[대한민국 해군|해군]] [[중위]] 출신이다. [[파일:최민정(해군).jpg]] * 개신교 신자이다. 아버지인 [[노태우]] 13대 대통령과 남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크리스천이 된 게 직접 전도를 해서라고. 심지어 유튜브에 기독교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발언을 한 인터뷰 영상도 올라와 있다. 다만 노태우 대통령은 천주교 세례를 이전에 받은 적도 있고 사망 당시 천주교식으로 입관식을 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에 출마한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를 지지 선언했으며, 아예 대구까지 내려와 선거 유세에 참여했다.[[https://m.news1.kr/articles/?2627463#_enliple|#]] 그렇지만 김문수는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구에서 30%대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에게 패했다. 김문수가 경기도지사를 지내던 시절에 가까웠던 사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계 때문인지 김문수 전 지사는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사망한 직후에도 조문을 했다. 그래서인지 김문수가 주선해준 심상정 부부의 아들과 노소영의 자녀들은 대안학교인 이우학교의 동문이다. *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서 부부가 서로 재계 및 대통령 가족 자격으로 참석했다. * 동생 노재헌이 아버지 노태우를 매우 닮았다면 노소영은 어머니 김옥숙을 매우 닮았다. == 관련 문서 == * [[노태우]] * [[김옥숙]] * [[노재헌]] * [[최태원]] * [[최윤정(1989)|최윤정]] * [[최민정(1991)|최민정]] * [[최인근]] * [[범SK가]]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1961년 출생]][[분류:교하 노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한국의 대통령 자녀]][[분류:경기초등학교 출신]][[분류:수도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윌리엄 & 메리 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