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AA)] || [[파일:1200px-North_Carolina_Tar_Heels_logo.svg.png|width=100%]] || ||<:><#7BAFD4> '''{{{#ffffff 노스캐롤라이나 타 힐스 }}}''' || ||<:><#ffffff> '''{{{#7BAFD4 North Carolina Tar Heels }}}'''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체육부를 다루는 문서로, 팀명은 Tar Heels. ACC 소속이며, 마스코트는 산양이다. == 역대 체육부장 == * 밥 페처 (1923~1952) * 척 에릭슨 (1953~1967) * 호머 라이스 (1969~1975) * 빌 코비 (1976~1980) * 존 소포드 (1980~1997) * 딕 바도 (1998~2011) * 버바 커닝엄 (2011~ ) == 농구부 == ||<-2><#7BAFD4><:> {{{#ffffff '''North Carolina Tar Heels'''}}}[br]{{{#ffffff '''Men's Basketball Team'''}}} || ||<#7BAFD4><:> {{{#ffffff '''창설일'''}}} ||<#ffffff><:> {{{#7BAFD4 '''1910년 1월 27일(첫 경기일)'''}}}|| ||<#7BAFD4><:> {{{#ffffff '''컨퍼런스'''}}} ||<#ffffff><:> {{{#7BAFD4 '''Atlantic Coast Conference([[FBS/ACC]])'''}}}|| ||<#7BAFD4><:> {{{#ffffff '''감독'''}}} ||<#ffffff><:> {{{#7BAFD4 '''휴버트 데이비스 (Hubert Davis)'''}}}|| ||<#7BAFD4><:> {{{#ffffff '''홈 경기장'''}}} ||<#ffffff><:> {{{#7BAFD4 '''딘 스미스 센터(Dean E. Smith Center) [br] [수용인원: 21,750]'''}}}|| ||<#7BAFD4><:> {{{#ffffff '''애칭'''}}} ||<#ffffff><:> {{{#7BAFD4 '''Tar Heels'''}}}|| ||<#7BAFD4><:> {{{#ffffff '''교색'''}}} ||<#ffffff><:> {{{#7BAFD4 '''캐롤라이나 블루, 흰색(Carolina Blue, White)'''}}}|| ||<-2><#7BAFD4><:> {{{#ffffff '''Pre-tournament Era Honours'''}}} || ||<#7BAFD4><:> {{{#ffffff '''Champions (1)'''}}} ||<#ffffff><:> {{{#7BAFD4 '''1924'''}}}|| ||<-2><#7BAFD4><:> {{{#ffffff '''NCAA Tournament Honours'''}}} || ||<#7BAFD4><:> {{{#ffffff '''Champions (6)'''}}} ||<#ffffff><:> {{{#7BAFD4 '''1957, 1982, 1993, 2005, 2009, 2017'''}}}|| ||<#7BAFD4><:> {{{#ffffff '''Runner-Up (6)'''}}} ||<#ffffff><:> {{{#7BAFD4 '''1946, 1968, 1977, 1981, 2016, 2022'''}}}|| ||<#7BAFD4><:> {{{#ffffff '''Final Four (21)'''}}} ||<#ffffff><:> {{{#7BAFD4 '''1946, 1957, 1967, 1968, 1969, 1972, 1977, 1981, 1982, 1991, [br] 1993, 1995, 1997, 1998, 2000, 2005, 2008, 2009, 2016, 2017, [br] 2022'''}}} || ||<#7BAFD4><:> {{{#ffffff '''Elight Eight (29)'''}}} ||<#ffffff><:> {{{#7BAFD4 '''1941, 1946, 1957, 1967, 1968, 1969, 1972, 1977, 1981, 1982, [br] 1983, 1985, 1987, 1988, 1991, 1993, 1995, 1997, 1998, 2000, [br] 2005, 2007, 2008, 2009, 2011, 2012, 2016, 2017, 2022'''}}} || ||<#7BAFD4><:> {{{#ffffff '''Sweet Sixteen (34)'''}}} ||<#ffffff><:> {{{#7BAFD4 '''1957, 1967, 1968, 1969, 1972, 1975, 1977, 1981, 1982, 1983, [br]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br] 1995, 1997, 1998, 2000, 2005, 2007, 2008, 2009, 2011, 2012, [br] 2015, 2016, 2017, 2019, 2022'''}}} || ||<#7BAFD4><:> {{{#ffffff '''Appearances (49)'''}}} ||<#ffffff><:> {{{#7BAFD4 '''1941, 1946, 1957, 1959, 1967, 1968, 1969, 1972, 1975, 1976, [br]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br]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br] 1997, 1998, 1999, 2000, 2001, 2004, 2005, 2006, 2007, 2008, [br] 2009,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br] 2021, 2022'''}}} || ||<-2><#7BAFD4><:> {{{#ffffff '''Conference (ACC) Honours'''}}} || ||<#7BAFD4><:> {{{#ffffff '''Tournament (26) '''}}} ||<#ffffff><:> {{{#7BAFD4 '''1922, 1924, 1925, 1926, 1935, 1936, 1940, 1945, 1957, 1967, [br] 1968, 1969, 1972, 1975, 1977, 1979, 1981, 1982, 1989, 1991, [br] 1994, 1997, 1998, 2007, 2008, 2016'''}}} || ||<#7BAFD4><:> {{{#ffffff '''Regular Season (37)'''}}} ||<#ffffff><:> {{{#7BAFD4 '''1923, 1925, 1935, 1938, 1941, 1944, 1946, 1956, 1957, 1959, [br] 1960, 1961, 1967, 1968, 1969, 1971, 1972, 1976, 1977, 1978, [br] 1979, 1982, 1983, 1984, 1985, 1987, 1988, 1993, 1995, 2001, [br] 2005, 2007, 2008, 2009, 2011, 2012, 2016, 2017, 2019''' }}} ||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scRotImage004.jpg]] 홈 구장인 딘 스미스 센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ke-Carolina_basketball_tip-off_2006.jpg]] UNC와 [[듀크 대학교]]와의 라이벌 경기 모습. [youtube(YwIvqC7FV0A)] UNC 농구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비디오 (1993) NCAA내 명문 중 한 팀으로 손꼽히는 팀. NCAA 토너먼트 통산 6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지니고 있으며, 대학 농구의 명장 딘 스미스 감독이 이끈 이래로 꾸준히 강팀으로 군림해왔으며, 현재의 감독은 휴버트 데이비스. 출신 선수는 헤아릴 수 없을만큼 많은데[* 그 [[마이클 조던]]이 여기 출신이다.], 더욱 대단한 것은 그저 선수만이 아니라 현재 NBA의 감독, 단장, 구단주 등 주요 직책을 맡고 있는 이들 또한 많은 수가 바로 UNC 출신이라는 점이다. 기라성같은 동문 포진 덕분에 UNC에서 오프 시즌마다 벌이는 OB 행사는 항상 만원사례라고. 아울러 동향의 또다른 대학농구 강호 [[듀크 대학교]]와는 용호상박급 라이벌이다. 이 두 대학과의 경기는 그야말로 만원사례는 기본으로 깔고 들어갈 정도. 양 대학 동문들의 응원전 역시 치열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rank_McGuire.jpg]] 14대 감독 프랭크 맥과이어 (1952~1961 재임. 1994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우승 (1957) [[파일:external/cdn1.bloguin.com/coltudor-0718_gsd1h0ubq-1dean2-jpeg-embedded-prod_affiliate-156.jpg]] 15대 감독 딘 스미스 (1961~1997 재임. 2015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2회 우승 (1982, 1993), NIT 우승 (1971)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SSMXURJIXMPPTRL.20130108035409.jpg]] 16대 감독 빌 거스리지 (1997~2000 재임. 2015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 2회 (1998, 2000) [[파일:external/lakerholicz.com/Roy-Williams.jpg]] 18대 감독 로이 윌리엄스 (2003~2021 재임.) - NCAA 토너먼트 3회 우승 (2005, 2009, 2017) UNC 출신의 대표적인 선수는 월터 데이비스, 바비 존스, 마이크 오코렌, [[밥 맥아두]], [[제임스 워디]], [[샘 퍼킨스]], [[브래드 도허티]], 스캇 윌리엄스, 제리 스택하우스, 조지 린치, [[릭 폭스]], J.R. 리드, [[케니 스미스]], [[대니 그린]], 라쉬드 월러스, [[빈스 카터]], 앤트완 재미슨, 타일러 핸스브로, 바비 존스, 밥 맥커두, [[레이몬드 펠튼]], [[해리슨 반스]] 등이 있으며, 선수 출신 감독으로는 [[래리 브라운]], [[조지 칼]]이 있고, LA 레이커스의 최장수 단장이던 미치 컵책 또한 UNC 선수 출신. 그리고 선수 출신 구단주로 바로 [[마이클 조던|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가 있다. [[파일:external/media.zenfs.com/jordan_mm_large.jpg|width=100%]] 결승전에서 위닝샷을 날리는 '''[[마이클 조던|23번 선수]]'''. 그 외에 UNC 출신 KBL 용병으로 [[크리스 랭]]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NCAA의 대세를 거스르는 운영으로 유망주 수급에 차질을 빚고 성적이 떨어지며 하락세를 겪고 있다. 하지만, 2016년 시즌에는 좋은 모습으로 3월의 광란에서 활약하고 있다. 전미 랭킹 2-3위를 유지하며 캔자스 대, 오리곤 대 등과 더불어 농구 명가의 자존심을 되찾고 있다. ~~결승에서 경기 막판에 [[빌라노바 대학교]]한테 버저비터 3점슛으로 진건 안자랑~~ 2017 시즌에도 Final Four에서 오리건 덕스를 꺾으며 2년 연속 파이널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결승전에선 곤자가를 꺾어 또다시 우승했다. 2022년 대학 농구 결승에서 [[캔자스 대학교]]와 맞붙게 되었다! 무려 [[듀크 대학교]]와의 접전을 승리하고 달성한 결과라 더욱 더 폭발적인 반응이라고. 다만 결승전 역사상 최대 역전을 허용하며 우승에는 실패. 무려 15점 차로 이기고 있던 게임을 날려 버린 터라 리그 내외로 충격적인 결과였다는 감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반에 잘 나가다가 역사상 길이 남을 역전패를 당했다는 점에서 [[슈퍼볼 LI]]를 떠올리는 팬들도 다수 있었다는 반응이다-- == 미식축구부 == ||<-2>
<#7BAFD4><:> {{{#ffffff '''North Carolina Tar Heels'''}}}[br]{{{#ffffff '''Football Team'''}}} || ||<#7BAFD4><:> {{{#ffffff '''창설일'''}}} ||<#ffffff><:> {{{#7BAFD4 '''1888년 (첫 경기 기준)'''}}}|| ||<#7BAFD4><:> {{{#ffffff '''컨퍼런스'''}}} ||<#ffffff><:> {{{#7BAFD4 '''Atlantic Coast Conference([[FBS/ACC]])'''}}}|| ||<#7BAFD4><:> {{{#ffffff '''감독'''}}} ||<#ffffff><:> {{{#7BAFD4 '''맥 브라운 (Mack Brown)'''}}}|| ||<#7BAFD4><:> {{{#ffffff '''위치'''}}} ||<#ffffff><:> {{{#7BAFD4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 힐 [br] (Chapel Hill, NC)'''}}}|| ||<#7BAFD4><:> {{{#ffffff '''홈 경기장'''}}} ||<#ffffff><:> {{{#7BAFD4 '''캐넌 매모리얼 스타디움 (Kenan Memorial Stadium) [br] [수용인원: 63,000]'''}}}|| ||<#7BAFD4><:> {{{#ffffff '''애칭'''}}} ||<#ffffff><:> {{{#7BAFD4 '''Tar Heels'''}}}|| ||<#7BAFD4><:> {{{#ffffff '''교색'''}}} ||<#ffffff><:> {{{#7BAFD4 '''캐롤라이나 블루, 흰색 [br] (Cardinal Blue, White)'''}}}|| ||<-2><#7BAFD4><:> {{{#ffffff '''주요 수상 실적'''}}} || ||<#7BAFD4><:> {{{#ffffff '''Nat'l Champions'''}}} ||<#F5F5F5><:> {{{}}}|| ||<#7BAFD4><:> {{{#ffffff '''Conference Titles (9)'''}}} ||<#F5F5F5><:> {{{#7BAFD4 '''1895, 1922, 1946, 1949, 1963, 1971, 1972, 1977, 1980'''}}}|| ||<-2><#7BAFD4><:> {{{#ffffff '''Bowl Titles'''}}} || ||<-2><#A2AAAD><:> {{{#13294B '''New Year's Six Bowl Game'''}}} || ||<-2><#13294B><:> {{{#7BAFD4 '''Peach Bowl (2)'''}}} || ||||<#F5F5F5><:>{{{#7BAFD4 '''1993, 2001''' }}} || ||||<#A2AAAD><:>|| ||<-2><#13294B><:> {{{#7BAFD4 '''Gator Bowl (Now TaxSlayer Bowl) (4)'''}}} || ||||<#F5F5F5><:>{{{#7BAFD4 '''1963, 1979, 1997, 1998''' }}} || ||<-2><#13294B><:> {{{#7BAFD4 '''Sun Bowl (2)'''}}} || ||||<#F5F5F5><:>{{{#7BAFD4 '''1972, 1982''' }}} || ||<-2><#13294B><:> {{{#7BAFD4 '''BlueBonnet Bowl (Now Texas Bowl) (1)'''}}} || ||||<#F5F5F5><:>{{{#7BAFD4 '''1980''' }}} || ||<-2><#13294B><:> {{{#7BAFD4 '''Carquest Bowl (Now Russell Athletic Bowl) (1)'''}}} || ||||<#F5F5F5><:>{{{#7BAFD4 '''1995''' }}} || ||<-2><#13294B><:> {{{#7BAFD4 '''Las Vegas Bowl (1)'''}}} || ||||<#F5F5F5><:>{{{#7BAFD4 '''1998''' }}} || ||<-2><#13294B><:> {{{#7BAFD4 '''Music City Bowl (1)'''}}} || ||||<#F5F5F5><:>{{{#7BAFD4 '''2010''' }}} || ||<-2><#13294B><:> {{{#7BAFD4 '''Belk Bowl (1)'''}}} || ||||<#F5F5F5><:>{{{#7BAFD4 '''2013''' }}} || ||||<#7BAFD4><:>|| [[파일:external/www.evanpike.com/7EP_0463.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ame_at_Kenan_Memorial_Stadium.jpg]] 홈 구장인 Kenan Memorial Stadium. [[파일:external/www.tarheeltimes.com/Carl_Snavely.jpg]] 21대 감독 칼 스네이블리 (1931~1932/1945~1952 재임. 1975년 작고.) - 슈가 볼 2회 진출 (1946, 48), 코튼 볼 클래식 진출 (1949) [[파일:external/chapelboro.com/Dooley.jpg]] 28대 감독 빌 둘리[* [[조지아 대학교]]의 명장 빈스 둘리의 동생.] (1967~1977 재임. 2016년 작고.) - 피치 볼 2회 진출 (1970, 76) [[파일:external/cdn.fansided.com/3-Dick-Crum-300x600.jpg]] 29대 감독 딕 크럼 (1978~1987 재임. 현재 생존) - 피치 볼 진출 (1983) [[파일:external/cdn.bleacherreport.net/vhQGF.Em.156_display_image.jpg]] 30대 감독 맥 브라운[* 퇴임 후 2013년까지 [[텍사스 대학교]]를 15년간 지휘해서 명장으로 입지를 다진 바 있다.] (1988~1997/2019~ 현재 재직중.) - 피치 볼 우승 (1992) 이 팀은 농구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지지만, 시카고 베어스의 수비 엔드 줄리어스 페퍼스같은 선수가 전체 2순위로 지명되는 등 간간이 풋볼쪽에서도 슈퍼스타를 배출하고 있다. [[파일:external/ep.yimg.com/lawrence-taylor-1.jpg]] [[NFL]]의 수비전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만든 장본인, 쿼터백들의 저승사자로 불리웠던 [[로렌스 테일러]]가 노스캐롤라이나 타 힐스 출신이다. --[[미첼 트루비스키]]도 동문이다-- 농담처럼 지나가는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대학 리그에서 나름 준수한 모습을 보이던 트루비스키를 비롯, 샘 호웰과 드레이크 메이로 이어지는 탄탄한 [[쿼터백]] 인재 양성의 역사가 있다 보니, 컨퍼런스 내외로 타 힐스의 쿼터백 육성이 수준급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많은 대학 미식축구 컨텐더 팀들이 훌륭한 쿼터백의 부재로 낭비되거나 부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NCAA 리그 기준에서 볼 때 대단히 인상적인 사실. 로이 윌리엄스가 은퇴한 이후 하향세를 겪고 있는 농구와는 달리 텍사스 롱혼스를 강호의 반열에 올렸던 맥 브라운 감독이 부임하면서 부터는 ACC의 신흥 강호로 떠오르고 있는 중이다. == 야구부 == [[파일:external/www.ncshof.org/rabb.jpg]] 22대 감독 월터 랩 (1947~1977 재임. 2006년 작고.) - 칼리지 월드시리즈 진출 (1960, 66) [[파일:external/cdn87.psbin.com/k9r8g2943zq6jy90.jpg]] 23대 감독 마이크 로버츠 (1978~1998 재임. 현재 생존.) - 칼리지 월드시리즈 2회 진출 (1978, 89) [[파일:external/chapelboro.com/Mike-Fox.jpg]] 24대 감독 마이크 폭스 (1999~2020 재임.) - 칼리지 월드시리즈 2회 준우승 (2006, 07) [[파일:external/espn.go.com/g_surhoff_345.jpg]] 본교 대표 동문이자 과거 [[밀워키 브루어스]]-[[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활약하였던 B.J. 서호프 [[파일:external/sports.cbsimg.net/walt-weiss-101613.jpg]] [[월트 와이스]] == 여자축구부 == NCAA 챔피언십 총 41회 중 21회를 우승한 여자축구계의 최고 명문팀으로, [[미아 햄]], 크리스틴 릴리, 토빈 히스, 크리스탈 던, 칼라 오버백, 티샤 벤투리니 등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레전드들 뿐만이 아니라 네덜란드의 [[사리나 비흐만]], 잉글랜드의 [[루시 브론즈]] 등 수많은 나라의 여자축구 레전드들이 타힐스를 거쳐갔다. 그 외에도 [[알레시아 루소]], [[에밀리 폭스]], [[로테 우번모이]] 등의 타힐스 출신 선수들이 현재 프로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대학 미식축구]][[분류: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