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42_Nostalgia.jpg|align=center|width=100%]] || ||<-2><#FF2400> '''{{{#white 맵 정보}}}''' || ||<-2><(>Map size: 128×128 Map tile: Badlands Players: 4 || ||<-2><#FF2400> '''{{{#white 이 맵이 사용된 공식대회}}}''' || ||<-2><(>[[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Gillette 스타리그 2004]]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 || [목차] == 소개 == [[스타크래프트]]의 맵. 제작자는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으로 유명한 [[변종석(레벨 디자이너)|변종석]]으로, [[기요틴(스타크래프트)|기요틴]]과 함께 그의 데뷔작이다. 제작 의도는 과거에 쓰였던 맵들의 일부분들을 모방해 결합시키는 것이었다.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개마고원]]의 우회용 언덕길, 리버 스틱스의 다리 등이 사용되었다. 거기에 맵 제작자 변종석이 [[전태일]] 평전을 읽고 감동받아 그에 대한 헌정의 의미를 담고자해서 센터 구조물을 [[평화시장(서울)|평화시장]]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고 맵 이름도 평화시장으로 지었다. 그러나 맵 이름은 문제가 될 수 있었기에 바로 노스탤지아로 바뀐다. 근데 [[변종석(레벨 디자이너)|변종석]]이 맵 초안을 [[엄재경|식신]]께 가지고 가자 식신께서 '''이걸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에 쓰자고?''' 라면서 거의 90%를 뜯어고쳤다는 풍문도 들려온다. 식신도 스타리그 초창기엔 맵도 만들었으니[* 대표작이 [[아방가르드(스타크래프트)|아방가르드]]와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정글 스토리]] 그리고 [[버티고]] 시리즈.]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이긴 하다. 래더맵이었던 라이벌리와 미네랄만 있는 앞마당, 앞마당으로 들어오는 3개의 통로 등 디자인이 유사한 점이 있다. 다만 라이벌리의 경우 중앙 싸움보다는 요소요소 섬을 먹는 형태의 싸움이 주라면 노스탤지어는 중앙 싸움이 중심. == 실제 경기 ==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올림푸스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Gillette 스타리그 2004|질레트 스타리그]], 그리고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에버컵 프로리그]]와 [[SKY 프로리그 2004 1Round|SKY 프로리그 1라운드]],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까지 '''단 한 번도 네오 버전업을 거치지 않고 스타리그에서 4시즌 동안, 프로리그에서 3시즌 동안 사용된 맵'''으로, 이렇게 장수할 수 있었던 요인은 당연히 [[밸런스#s-2.1|밸런스]]였다. [[테저전]], [[저프전]], [[테프전]] 모두 50 : 50 수준으로 맞아 있을 정도로 당시에 [[개념맵|환상의 맵 밸런스를 보여주던 맵.]][* 테저전은 초반에 다리너머 러커에 테란이 압살당하는 구도였으나 [[임요환]]이 빠른 마린의 진출로 러커의 전진을 늦추는 대처법이 정립되고 나서 밸런스가 맞아졌다. [[저프전]]도 초반에 저그가 압살하는 쪽으로 흘러가나 했지만 6패 끝에 거둔 [[프로토스]]의 1승 이후 밸런스는 맞아갔다.][* 다만 이게 결과적으로는 독이 되었다. 지금 시점에선 그 자체로 밸붕의 근원이 될 '본진+앞마당 원가스맵'으로서 황밸 수준의 전적을 냈다보니 이후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 따위의 개막장맵조차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수정조차 없이 기어이 두 시즌을 쓰는 핑계거리'''가 되었기 때문.] 오래 쓰인 만큼 명경기 또한 수없이 많은데, 가장 유명한 경기로 질레트 스타리그 4강 5세트에서 나온 [[박정석]] vs [[나도현]]의 '''[[https://youtu.be/tg2QZBo_0mM|마인 역대박]]'''을 꼽을 수 있다. [[홍진호]]가 [[서지훈]]에게 패배하며 스타리그에서 마지막으로 준우승한 경기도 이 맵이었다. 또한 [[박성준(1986)|박성준]]이 [[최연성]]을 상대로 한 '''[[https://www.youtube.com/watch?v=U91XPSLbWc0|5:0 관광]]'''의 마무리가 지어진 전장도 이 맵이다. 워낙 인기가 많은 탓에 [[e - 스타즈 헤리티지 매치]]에서 추억의 맵으로 쓰이게 된다. 그리고 [[tving 스타리그 2012]] 레전드 매치 [[강민]] vs. [[서지훈]]과의 [[https://www.youtube.com/watch?v=-v-vGoRqoFU|경기]], [[콩두 스타즈 파티]]에서도 쓰였다. 다만 과거 노스탤지아가 쓰이던 시절과는 경기 양상이 너무 많이 달라졌기에 과거의 밸런스는 기대할 수 없다. 현재는 통계가 집계가 안 되는 상황이라 확단할 순 없지만, 극상성맵으로 예측된다. 저그는 앞마당에 가스가 없어 테란 상대로 뮤탈을 제대로 쓸 수 없으며, 테란은 가스 부족으로 인해 [[군수공장(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팩토리]]와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탱크]]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하여 2, 1업이나 5팩 등의 타이밍 러시가 불가능한데다 삼룡이 길목이 꽤 좁아 파일런 몇 개로 심시티가 되기 때문에 벌처 견제로 이득 보기 힘들고, 토스는 유닛 조합에선 큰 어려움이 없으나 삼룡이를 저그의 히링 조합으로부터 서킷 이상으로 지키기 어렵고, 앞마당 구조상 캐논 더블넥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의 '''래더맵'''으로 선정되었다. 다만 나중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노스탤지아가 래더맵에서 제외됐다. 해당 맵의 1시 방향은 [[몽환(스타크래프트)|몽환]] 맵에 다시 쓰였다.[* 4개의 스타팅포인트가 다른 맵을 합쳐서 만든 것으로 1시는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 5시는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8시는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개마고원]], 11시는 제노스카이를 가져왔다. 다만 이때 노스탤지어를 따온 1시 방향에는 원본과는 다르게 앞마당에 가스가 있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스탤지아, version=23)]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