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노스텔지어 시리즈)] [include(틀:하위 문서)]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쇼팽]]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베토벤]]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모차르트]]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드뷔시]]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리스트]]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차이코프스키]]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라흐마니노프]]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바흐]] [include(틀:노스텔지어 시리즈)] [목차] == [[노스텔지어]] == === [[엘리제를 위하여|エリーゼのために]] 엘리제를 위하여 === ||<#ffebcd,#211f1d> 곡명 ||<-4> '''エリーゼのために[br]엘리제를 위하여''' || ||<-5> 今も多くの人たちから愛される名曲[br]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명곡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7}}}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9}}} || {{{#B97A00,#FFAD15 417}}} || {{{#BB1616,#EA4F4F 642}}} || {{{#BB1DB9,#E75FE3 699}}}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youtu.be/XuGZ1ykK2Kc|Expert FC 영상]] [[https://youtu.be/mR7w-6kIwTo|Real 플레이 영상]] [[키보드매니아]]에 수록된 적이 있다. 또한 클래식 메들리 곡인 [[Concertare]]와 [[CLASSIC PARTY]]에 포함되기도 했다. 키보드매니아에서는 BPM표기가 ???였지만 실제로는 50~125라고 한다. === [[피아노 소나타 8번(베토벤)|ピアノソナタ「悲愴」第2楽章]] 피아노 소나타 '비창' 제2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ピアノソナタ「悲愴」第2楽章[BR]피아노 소나타 「비창」 제 2악장''' || ||<-5> 劇的で美しい、ピアノソナタの代名詞[br]극적이고 아름다운, 피아노 소나타의 대명사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144}}} || {{{#B97A00,#FFAD15 569}}} || {{{#BB1616,#EA4F4F 712}}} || [[https://youtu.be/nuDVEy4Sjx4|Expert FC 영상]] [[피아노 소나타 8번(베토벤)]] 2악장. [[GITADORA 시리즈]] 수록곡인 [[そっと。]]의 원곡이기도 하다. 참고로 1악장의 어레인지로 [[RESONATE 1794]]가 있으며, 그 유명한 '''[[베토벤 바이러스(펌프 잇 업)|베토벤 바이러스]]'''는 이 곡의 3악장을 어레인지한 것이다. BPM은 60~66이다. === [[토카타와 푸가(BWV 565)|トッカータとフーガ ニ短調]] 토카타와 푸가 라단조 === [[파일:external/eacache.konaminet.jp/nst_04.jpg]] ||<#ffebcd,#211f1d> 곡명 ||<-4> '''トッカータとフーガ ニ短調[BR]토카타와 푸가 D단조''' || ||<-5> チャララーン!といえばこの超有名曲[br][[띠로리]]~![* 일본어 표기로는 짜라란.] 라고 하면 바로 이 초유명곡 || || 작곡가 ||<-4> '''J.S.バッハ[br][[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S.바흐]]'''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5}}}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98}}} || {{{#B97A00,#FFAD15 739}}} || {{{#BB1616,#EA4F4F 992}}} || {{{#BB1DB9,#E75FE3 1138}}} || || 난이도 변경 ||<-4>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증가 (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감소 (Op.2) [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3) || [[https://youtu.be/X7VuJyJMakY|Expert FC 영상]]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D단조 BWV 56'''5'''. 자켓에는 [[KONMAI|BWV 56]]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이는 엉뚱한 곡[* [[http://imslp.org/wiki/Ich_will_den_Kreuzstab_gerne_tragen,_BWV_56_(Bach,_Johann_Sebastian)|Ich will den Kreuzstab gerne tragen]](나 기꺼이 십자가를 지겠노라)라는 교회 [[칸타타]]이다.]을 가리키는 번호이다. 중간부터는 원곡이 아니라 메탈풍으로 어레인지되어있다. 난이도는 11중에서도 낮은 편이었으나 Op.2 검정모드 패치 이후 난이도 10으로 하락하였다. Real은 Expert 패턴의 강화판. 손이동이 심해 미스나기 쉬운 구간을 제외하곤 무난하다. === 猫のワルツ 고양이 왈츠 === ||<#ffebcd,#211f1d> 곡명 ||<-4> '''猫のワルツ[BR]고양이 왈츠''' || ||<-5> 猫が飛び回る様子を連想させる円舞曲[br]고양이가 뛰노는 모습을 연상하게 하는 왈츠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0}}} || {{{#B97A00,#FFAD15 528}}} || {{{#BB1616,#EA4F4F 976}}} || [youtube(Bm6C3NDWexI)] Expert Pianistic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의 [[https://www.youtube.com/watch?v=l76PmjxFVhQ|Op.34 3개의 화려한 왈츠 3번]]. 노스텔지어 수록명인 '고양이 왈츠'는 일종의 부제 내지는 별칭이다. 원곡과 수록판의 구성이 조금 다른데, JAEPO 2017에서 [[wac]]의 발언에 따르면 [[駅猫のワルツ]]에서 [[L.E.D.]] 성분을 제거하고 피아노 솔로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일부 노트에는 키음으로 피아노 소리가 아닌 고양이 소리(...)가 들어있다. === [[neko fun jitter]] === 원곡은 [[고양이 춤]]. 클래식/재즈 분류에서 유일하게 제목이 바뀌어 들어갔다. [[neko fun jitter|항목 참조]]. === [[환상 즉흥곡|幻想即興曲]] 환상 즉흥곡 === [[환상 즉흥곡#s-4.2|항목 참조]]. === [[피아노 소나타 14번(베토벤)|ピアノソナタ「月光」第3楽章]] 피아노 소나타 '월광' 제3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ピアノソナタ「月光」第3楽章[BR]피아노 소나타 「월광」 제 3악장''' || ||<-5> 嵐のように叩きつけられる劇的な和音[br]폭풍처럼 내리치는 극적인 화음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404}}} || {{{#B97A00,#FFAD15 898}}} || {{{#BB1616,#EA4F4F 1448}}} || {{{#BB1DB9,#E75FE3 1931}}}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youtube(qs2MBjtNaQU)] Expert 플레이 영상 Expert 채보의 경우 시리즈 초기부터 존재하던 곡으로, 초기 곡들이 다들 그렇듯 16비트 선율을 8비트로 전부 간략화시켜놓았기 때문에 곡 처음부터 끝까지 8비트 동시치기만 나오는 곡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스코어링 난이도는 11레벨 하위권으로, 높은 점수를 노리기 매우 쉬운 곡 중 하나. [youtube(B996kRF3YMQ)] Real 플레이 영상 노스텔지어 Op.2에서 Real 채보가 추가되었는데, [[열정 소나타]]와 더불어 --익퍼가 저평가받는데에 대한 복수인 마냥-- 충격적인 난이도를 보여주면서 함께 리얼 2에서 3으로 승격되기도 하였다. 해금 가격 역시 1회 해금 700nos/ 영구 해금 21000nos로 [[즉흥환상곡]]과 더불어 2위에 해당. 사실 난이도를 올린 방법은 굉장히 단순한데, 기존에 왼손과 오른손의 한 노트에 음 2개를 배정해 8비트로 만들었던 것을 '''전부 16비트 노트로 바꿔놓았다'''. 덕분에 익스퍼트 시점에서도 상당히 노트 수가 많은 편이었지만 리얼 채보의 노트수는 1931개로, [[열정 소나타]] Real에 이어 2위.[* 였으나 [[flee for free!!]]의 리얼 채보가 '''1994'''개라는 노트수을 자랑하면서 3위로 밀려났고 이후 [[Preserved Valkyria]]의 리얼 채보의 노트수가 '''2264'''개가 되면서 월광은 4위로 떨어져 버리고 만다.--콩라인 신세였는데 [[flee for free!!|한번]]밀려나가더니 [[Preserved Valkyria|또]] 밀려나갔다.--] 전체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라면 오른손의 고속 계단과 후반에 등장하는 [[fallen leaves|왼손 트릴]]이 있는데, 계단 및 트릴의 패턴 자체는 단순하며 한 손에 계단이 나올 때 다른 손이 어려운 편은 아니라 계단 및 트릴 처리력이 충분하다면 점수를 빠르게 올릴 수는 있다. 다만 그 처리력의 요구 수준이 매우 높아서 그렇지... 종합적인 난이도는 [[헐화]] 라인 바로 밑에 위치하며, [[ambages]], [[즉흥환상곡]] Real 과 비슷한 준보스곡 정도의 난이도. === [[프레데리크 쇼팽#s-2.1.2|夜想曲(ノクターン)第2番]] 야상곡(녹턴) 제2번 === ||<#ffebcd,#211f1d> 곡명 ||<-4> '''夜想曲(ノクターン)第2番[BR]야상곡(녹턴) 제2번''' || ||<-5> ショパン夜想曲の中で最も有名な第2番[br]쇼팽 녹턴 가운데 가장 유명한 제2번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3}}} || {{{#B97A00,#FFAD15 437}}} || {{{#BB1616,#EA4F4F 556}}} || [[https://youtu.be/AxHBNL-zKpM|Expert 플레이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의 '''3개의 녹턴 Op.9''' 중 2번 내림마장조. BPM은 38~146. === メヌエット 미뉴에트 === ||<#ffebcd,#211f1d> 곡명 ||<-4> '''メヌエット[BR]미뉴에트''' || ||<-5> ポップスアレンジやBGMとしても人気[br]팝 어레인지나 BGM으로서도 인기 || || 작곡가 ||<-4> '''ペツォールト[br]페촐드'''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3}}} || {{{#BB1616,#EA4F4F 5}}}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89}}} || {{{#B97A00,#FFAD15 145}}} || {{{#BB1616,#EA4F4F 202}}} || {{{#BB1DB9,#E75FE3 204}}}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youtube(V0_41kaFAFo)] Real Pianistic 영상 크리스티안 페촐드(Christian Petzold)의 [[미뉴에트]] G장조. 한동안 '바흐의 미뉴에트'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했다. 유명한 어레인지로 [[접속(영화)]] 삽입곡인 [[사라 본]]의 A Lover's Concerto가 있다. 코멘트의 '팝 어레인지'란 이것을 말하는 듯. [[노스텔지어 Op.2]]의 로케테스트에서는 신규 난이도인 Real 패턴이 추가되었는데, Expert와 비교했을때 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이 노트의 너비만 2칸으로 줄었다. 요구되는 정확도는 올라갔지만 노트수는 단 2개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또한 노트 위치가 실제 피아노 건반에 맞게 대응되는 패턴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솔' 음이 나는 노트는 말 그대로 '솔' 위치에서 나온다. 다만 노스텔지어의 조작계는 흑건이 없으므로 파#는 '파' 위치에 대응된다. 말 그대로 'Real'이라는 의미에 충실한 보면. 곡 길이가 1분 8초로 노스텔지어 시리즈에서 가장 짧은 곡이다. 그래서 해금 이벤트에서 빠른 해금을 위해 자주 선곡된다. --그러나 스토리 해금 조건 중에 최대콤보 300이상 누적하기가 걸린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UP0Q9P9LIPY&t=21s|Normal 000kFC 영상]] 플레이어는 EXP? [[노스텔지어 시리즈/MISSION BINGO|미션빙고]]에 나타나는 'Real 난이도는 레벨 10 이상에 대응' 표기의 유일한 예외. 내부적으로는 레벨 9로 취급된다. BPM은 59~90이다. === [[이별의 곡|別れの曲]] 이별의 곡 === ||<#ffebcd,#211f1d> 곡명 ||<-4> '''別れの曲[BR]이별의 곡''' || ||<-5> 誰もが耳にしたことのある甘美な旋律[br]모두가 들은 적 있는 감미로운 선율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28}}} || {{{#B97A00,#FFAD15 401}}} || {{{#BB1616,#EA4F4F 441}}} || {{{#BB1DB9,#E75FE3 495}}} || || 난이도 변경 ||<-4> {{{#008761,#00CC94 Normal}}} : 레벨 3 증가(FORTE), 레벨 2 감소(Op.2)[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www.youtube.com/watch?v=R-g_AQvKNfA|Expert Pianistic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4IOhywzyfIc|Real Pianistic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이 작곡한 '''에튀드 Op.10'''의 3번째 곡이다. BPM은 52~94. === The Entertainer === ||<#ffebcd,#211f1d> 곡명 ||<-4> '''The Entertainer''' || ||<-5> 70年代の映画に起用され一躍有目曲に[br]70년대 영화에 사용되어 일약 유명곡으로 || || 작곡가 ||<-4> '''S.ジョプリン[br][[스콧 조플린|S.조플린]]'''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311}}} || {{{#B97A00,#FFAD15 776}}} || {{{#BB1616,#EA4F4F 1097}}}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 || [[https://youtu.be/fyYAUzF3EG0|Expert Pianistic 영상]] 영화 [[스팅(영화)|스팅]]의 주제가로 사용되어 유명해진 곡이다. === [[트로이메라이|トロイメライ]] 트로이메라이 === ||<#ffebcd,#211f1d> 곡명 ||<-4> '''トロイメライ[BR]트로이메라이''' || ||<-5> 「夢想」「空想」を意味するシューマンを代表する名曲[br]「몽상」「공상」을 뜻하는, 슈만을 대표하는 명곡 || || 작곡가 ||<-4> '''シューマン[br][[로베르트 슈만|슈만]]'''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4}}} || {{{#BB1616,#EA4F4F 5}}} || || 노트 수 || {{{#008761,#00CC94 169}}} || {{{#B97A00,#FFAD15 218}}} || {{{#BB1616,#EA4F4F 245}}}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Op.2) || [[https://youtu.be/bokGcZ-oKVY|Expert Pianistic 영상]]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작품 '''어린이 정경'''의 7번째 곡. === Je te veux === ||<#ffebcd,#211f1d> 곡명 ||<-4> '''Je te veux''' || ||<-5> CMやゲームなどでも使われることの多い有名曲[br]CM이나 게임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유명곡 || || 작곡가 ||<-4> '''エリック・サティ[br][[에릭 알프레드 레슬리 사티|에릭 사티]]'''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6}}} || {{{#B97A00,#FFAD15 680}}} || {{{#BB1616,#EA4F4F 791}}} || || 난이도 변경 ||<-3> {{{#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Op.2) || [[https://youtu.be/dbtToZ0wnmE|Expert Pianistic 영상]] 게임 [[바이너리 랜드]]의 BGM 등으로 유명한 [[에릭 사티]]의 곡. 제목인 Je te veux는 '나는 당신을 원해요' 라는 뜻의 프랑스어. 변속이 심하다. === 春の歌 봄의 노래 === ||<#ffebcd,#211f1d> 곡명 ||<-4> '''春の歌[br]봄 노래''' || ||<-5> 美しいメロディーが映し出すのどかな春の景色[br]아름다운 멜로디가 비춰 내는 한가로운 봄의 풍경 || || 작곡가 ||<-4> '''メンデルスゾーン[br][[펠릭스 멘델스존|멘델스존]]'''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4}}}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5}}} || {{{#B97A00,#FFAD15 383}}} || {{{#BB1616,#EA4F4F 916}}} || || 난이도 변경 ||<-3>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Op.2) || [[https://youtu.be/Ypbwfys-YL8|Expert Pianistic 영상]] [[펠릭스 멘델스존]]의 피아노 곡집 '''무언가(無言歌) 제 5권 Op.62'''의 6번째 곡. 처음부터 끝까지 글리산도 노트가 떡칠되어 나온다. 그래선지 노트수도 6레벨치곤 상당히 많은 916개. Op. 3인 현재에는 8레벨로 상향된 상황. === 英雄ポロネーズ 영웅 폴로네이즈 === ||<#ffebcd,#211f1d> 곡명 ||<-4> '''英雄ポロネーズ[br]영웅 폴로네이즈''' || ||<-5> 「英雄」の呼び名にふさわしい力強く勇壮な曲[br]「영웅」이라는 별명에 어울리는 강하고 용감한 곡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6}}}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48}}} || {{{#B97A00,#FFAD15 744}}} || {{{#BB1616,#EA4F4F 1429}}} || {{{#BB1DB9,#E75FE3 1735}}} || || 난이도 변경 ||<-4>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youtu.be/ykk-fpDO2n8|Expert Pianist 영상]] [[https://youtu.be/5dbXZSD_O40|Real FC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의 '''폴로네이즈 제6번 Op.53'''. 초기작에선 10레벨이었으나 FORTE에서 11로 상향되었다. ===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2.1.12|革命]] 혁명 === [[革命|항목 참조]]. === 小犬のワルツ 강아지 왈츠 === ||<#ffebcd,#211f1d> 곡명 ||<-4> '''小犬のワルツ[br]강아지 왈츠''' || ||<-5> 自分の尻尾を追いかけ回す可愛い小犬の様子[br]자기 꼬리를 쫓아서 도는 귀여운 강아지의 모습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6}}} || {{{#B97A00,#FFAD15 9}}} || {{{#BB1616,#EA4F4F 1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10}}} || {{{#B97A00,#FFAD15 532}}} || {{{#BB1616,#EA4F4F 978}}}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2 상승(FORTE, Op.2 검정)[br]{{{#B97A00,#FFAD15 '''Hard'''}}}: 레벨 2 상승(FORTE, Op.2 검정)[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FORTE) || [youtube(xSGKRH9yMPE)] 초견 플레이. ~~당황한 게 보인다~~ [[프레데리크 쇼팽]]의 왈츠 작품 '''3개의 왈츠 Op.64'''의 첫 번째 곡. 초기작에선 11레벨이었으나 피아노소나타 제15번 제1악장과 같이 도저히 11레벨로 볼 수 없는 채보로, FORTE에서 12레벨로 상향되었다. === 紡ぎ歌 물레의 노래 === ||<#ffebcd,#211f1d> 곡명 ||<-4> '''紡ぎ歌[br]물레의 노래''' || ||<-5> 休みなく回転する紡ぎ車のように刻まれるリズム[br]쉼없이 돌아가는 물레처럼 새겨지는 리듬 || || 작곡가 ||<-4> '''エルメンライヒ[br]엘멘라이히'''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2}}} || {{{#B97A00,#FFAD15 426}}} || {{{#BB1616,#EA4F4F 732}}}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Op.2) || [[https://youtu.be/Zo6Unm5BL8g|Expert Pianistic 영상]] 독일 작곡가 알버트 엘멘라이히의 '''물레의 노래'''를 어레인지한 곡. 오른손 16분 계단 위주로 나온다. [[Carezza]] 하드의 하위호환격 패턴. 초기작에선 7레벨이었고 FORTE에서 8레벨로 상향되었다. === [[터키 행진곡|トルコ行進曲]] 터키 행진곡 === ||<#ffebcd,#211f1d> 곡명 ||<-4> '''トルコ行進曲[br]터키 행진곡''' || ||<-5> トルコ軍楽隊の奏でる打楽器から連想された曲[br]터키 군악대가 연주하는 타악기에서 연상된 곡 || || 작곡가 ||<-4> '''モーツァルト[br][[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6}}} || {{{#B97A00,#FFAD15 9}}}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672}}} || {{{#B97A00,#FFAD15 886}}} || {{{#BB1616,#EA4F4F 1412}}} || {{{#BB1DB9,#E75FE3 1809}}} || || 난이도 변경 ||<-4>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Op.2)[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youtu.be/_jwMzynpYng|Expert Pianistic 영상]] [[https://youtu.be/mKX2I8l17P0|Real 플레이 영상]]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 가장조 K.331'''의 제 3악장. [[터키 행진곡]]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 [[ピアノソナタ 第15番第1楽章]]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제1악장 === [[ピアノソナタ 第15番第1楽章|항목 참조]] === [[인벤션과 신포니아#s-2.1|インベンション 第4番]] 인벤션 제4번 === ||<#ffebcd,#211f1d> 곡명 ||<-4> '''インベンション 第4番[br]인벤션 제 4번''' || ||<-5> 音楽家育成のために作られた小曲集より第4番[br]음악가 육성을 위해 만들어진 소곡집 제 4번 || || 작곡가 ||<-4> '''J.S.バッハ[br][[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S.바흐]]'''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210}}} || {{{#B97A00,#FFAD15 317}}} || {{{#BB1616,#EA4F4F 450}}} || || 난이도 변경 ||<-3>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Op.2) || [[https://youtu.be/EAbCKS955pk|Expert Pianistic 영상]] === [[인벤션과 신포니아#s-2.1|インベンション 第13番]] 인벤션 제13번 === ||<#ffebcd,#211f1d> 곡명 ||<-4> '''インベンション 第13番[br]인벤션 제 13번''' || ||<-5> 音楽家育成のために作られた小曲集より第13番[br]음악가 육성을 위해 만들어진 소곡집 제 13번 || || 작곡가 ||<-4>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S.바흐]]'''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322}}} || {{{#B97A00,#FFAD15 474}}} || {{{#BB1616,#EA4F4F 564}}}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Op.2) || [[https://youtu.be/UM0PK2jXSuw|Expert Pianistic 영상]] [[No.13]]이 이 곡의 어레인지이다 === 主よ、人の望みの喜びよ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 === ||<#ffebcd,#211f1d> 곡명 ||<-4> '''主よ、人の望みの喜びよ[br]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 || ||<-5> 心地よい穏やかなメロディーが印象的[br]마음 편하고 고요한 멜로디가 인상적 || || 작곡가 ||<-4> '''J.S.バッハ[br][[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S.바흐]]'''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5}}}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7}}}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348}}} || {{{#B97A00,#FFAD15 466}}} || {{{#BB1616,#EA4F4F 583}}} || {{{#BB1DB9,#E75FE3 789}}} || || 난이도 변경 ||<-4> {{{#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youtu.be/NNQJpx4RmOQ|Expert Pianistic 영상]] [[https://youtu.be/U7BR-8J3Ses|Real Pianistic 영상]]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의 칸타타 '''마음과 입과 행동과 삶으로 BWV 147'''중의 합창곡. [[子供の落書き帳]]이 이 곡의 어레인지다. === アラベスク 第1番 아라베스크 제1번 === ||<#ffebcd,#211f1d> 곡명 ||<-4> '''アラベスク 第1番[br]아라베스크 제 1번''' || ||<-5> 分散和音とポリリズムが織りなす唐草模様[br]분산화음과 폴리리듬이 만들어 내는 당초무늬 || || 작곡가 ||<-4> '''ドビュッシー[br][[클로드 드뷔시|드뷔시]]'''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6}}}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37}}} || {{{#B97A00,#FFAD15 551}}} || {{{#BB1616,#EA4F4F 765}}} || {{{#BB1DB9,#E75FE3 885}}} || || 난이도 변경 ||<-4> {{{#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FORTE)[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Op.2)[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Op.2)[br]{{{#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2) || [[https://youtu.be/CQRGHxXMa6Y|Expert Pianistic 영상]] [[클로드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 === [[Clair de Lune|月の光]] 달빛 === ||<#ffebcd,#211f1d> 곡명 ||<-4> '''月の光[br]달빛''' || ||<-5> 優しく切ない調べが静かに胸を満たす[br]부드럽고 애절한 선율이 조용히 마음을 채운다 || || 작곡가 ||<-4> '''ドビュッシー[br][[클로드 드뷔시|드뷔시]]'''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5}}}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184}}} || {{{#B97A00,#FFAD15 473}}} || {{{#BB1616,#EA4F4F 519}}} || || 난이도 변경 ||<-3> {{{#008761,#00CC94 '''Normal'''}}}: 레벨 2 상승(FORTE)[br]{{{#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FORTE)[br]{{{#008761,#00CC94 '''Normal'''}}}: 레벨 1 상승(Op.2)[br]{{{#B97A00,#FFAD15 '''Hard'''}}}: 레벨 1 상승(Op.2) || [[https://youtu.be/DCAVIcyNBgI|Expert Pianistic 영상]] [[클로드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L.75'''의 세 번째 곡. 드뷔시의 곡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노멀은 왜인지 딱히 어려운 것도 없고 노트수도 적으면서 레벨 2에서 5로 격상했다. 실제 체감난이도는 3에 필적한다. BPM은 20~105다. === [[쇼팽 프렐류드#s-2.1.15|24の前奏曲より「雨だれ」]] 24개의 전주곡 중 빗방울 === ||<#ffebcd,#211f1d> 곡명 ||<-4> '''24の前奏曲より「雨だれ」[br]24개의 전주곡 중 「빗방울」''' || ||<-5> 雨音が奏でるような、美しくも憂いを帯びたしらべ[br]빗소리를 연주하는 것 같은, 아름다우면서도 슬픔을 머금은 선율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4B431> [[노스텔지어|{{{#000 노스텔지어}}}]]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4}}}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172}}} || {{{#B97A00,#FFAD15 257}}} || {{{#BB1616,#EA4F4F 457}}} || [[https://youtu.be/nG4iTUbnTwY|Expert Pianistic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의 '''24개의 전주곡 Op.28'''의 15번째 곡. 빗방울 전주곡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 [[노스텔지어 FORTE]] == === 통상곡 === ==== [[라 캄파넬라|ラ・カンパネラ]] 라 캄파넬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a Campanella, 문단=5)] ==== クシコス・ポスト 크시코스의 우편마차 ==== ||<#ffebcd,#211f1d> 곡명 ||<-4> '''クシコス・ポスト[br]크시코스의 우편마차''' || ||<-5> 郵便馬車は走る!僕らも走る!位置についてよーいドン![br]우편마차는 달린다! 우리들도 달린다! 제자리에, 준비, 땅! || || 작곡가 ||<-4> '''ヘルマン・ネッケ[br]헤르만 네케'''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176}}} || {{{#B97A00,#FFAD15 615}}} || {{{#BB1616,#EA4F4F 1108}}} || [[https://youtu.be/F0xsOze_7jc|Expert Pianistic 영상]] 2017년 10월 19일 통상곡으로 수록. 일본에서는 운동회 등에 주로 사용되다고 하며(소개문도 그런 느낌이다.)[* 괜히 [[다운타운 열혈행진곡 나아가라 대운동회]]의 배경음악으로 쓰인 게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합창곡으로도 알려져있다. 짧은 계단에서 콤보가 끊길 위험이 많다. 본래 반복구간이 있는 곡을 플레이 타임을 줄이게 편곡하면서 그런 구간[* 곡을 A-B-C-D-A-B 순으로 나누자면 첫번째 A와 D 구간]만 반복을 냅두고 편집했기에 [[저주#s-3|끊긴다면 계속 끊길 위험이 있다.]] ==== 愛の挨拶 사랑의 인사 ==== ||<#ffebcd,#211f1d> 곡명 ||<-4> '''愛の挨拶[br]사랑의 인사''' || ||<-5> 婚約者に捧げられた愛の讃歌[br]약혼자에게 바치는 사랑의 찬가 || || 작곡가 ||<-4> '''エルガー[br][[에드워드 엘가|엘가]]'''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241}}} || {{{#B97A00,#FFAD15 484}}} || {{{#BB1616,#EA4F4F 854}}} || [[https://youtu.be/QYznX--rnEI|Expert Pianistic 영상]] 2018년 [[밸런타인 데이|2월 14일]] 통상곡으로 수록. 정박 동시치기 위주의 패턴이며, 글리산도 노트도 자주 나온다. 동시치기로 나오는 노트가 붙어서 나오지 않고 떨어져 나오거나 3개 이상 나오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처리가 요구된다. 7레벨치고는 까다로운 편. ==== [[사랑의 꿈|愛の夢]] 사랑의 꿈 ==== ||<#ffebcd,#211f1d> 곡명 ||<-4> '''愛の夢[br]사랑의 꿈''' || ||<-5> 愛しなさい あなたが愛せるだけ[br]사랑하세요, 당신이 사랑할 수 있는 만큼 || || 작곡가 ||<-4> '''リスト[br][[프란츠 리스트|리스트]]'''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4}}} || {{{#B97A00,#FFAD15 376}}} || {{{#BB1616,#EA4F4F 724}}}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감소 (Op.2) || [[https://youtu.be/nHPvUaVzEac|Expert Pianistic 영상]] 2018년 [[화이트 데이|3월 14일]] 통상곡으로 수록된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곡집 '''사랑의 꿈 S.541'''의 세 번째 곡. 부제는 '''오, 사랑할 수 있는 한 사랑하라'''이다. 짧은 테누토 노트가 나오지만 별거 없고 난이도도 쉬우며 노트수도 적어 [[Noah's song#s-2|Noah's song of collapse]]의 11레벨 최저 노트수를 갱신했다. 표기 난이도는 게임에서 요구하는 왼손/오른손 지시를 그대로 따라했을 경우로 예상된다. 이 경우에는 손이 꼬이는 배치가 나와 난이도가 확실히 올라간다. 하지만 굳이 일부러 고생해서 점수를 떨굴 필요는 없다. ==== [[발라드 1번(쇼팽)|バラード第1番]] 발라드 제1번 ==== ||<#ffebcd,#211f1d> 곡명 ||<-4> '''バラード第1番[br]발라드 제 1번''' || ||<-5> 氷上を滑るような流麗で華麗なる叙事詩[br]얼음 위를 미끄러지듯한 유려하고 화려한 서사시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247}}} || {{{#B97A00,#FFAD15 542}}} || {{{#BB1616,#EA4F4F 926}}} || {{{#BB1DB9,#E75FE3 1245}}} || [[https://youtu.be/5_XT4YUXTyE|Expert Pianistic 영상]] 2018년 3월 21일 통상곡으로 수록된 [[프레데리크 쇼팽]]의 첫번째 발라드. 위의 사랑의 꿈처럼 11레벨 최하위 난이도의 곡이다. 변속에만 주의하면 된다. The 9th KAC 결선 곡에서 Real 보면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https://youtu.be/PD5LnNejuq4|Real 995k 영상]] Real 보면은 전형적인 후살형 패턴으로, 초반은 상당히 무난하게 진행되나 중반부터 점차 연타가 많아지더니 후반부부터는 복잡하고 손이 바쁜 패턴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압권은 최후반부의 거대한 계단 패턴이 오른손→오른손+왼손→양손 형태로 진행되는 구간. 이로 인해 노스탤지어 최악의 후살곡으로 등극했다. ==== [[축혼 행진곡|結婚行進曲]] 축혼 행진곡 ==== ||<#ffebcd,#211f1d> 곡명 ||<-4> '''結婚行進曲[br]축혼 행진곡''' || ||<-5> 6月の花嫁に捧げます。ぱぱぱぱーん。[br]6월의 신부에게 바칩니다. 따다다단-. || || 작곡가 ||<-4> '''メンデルスゾーン[br][[펠릭스 멘델스존|멘델스존]]'''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2}}} || {{{#B97A00,#FFAD15 529}}} || {{{#BB1616,#EA4F4F 999}}} || {{{#BB1DB9,#E75FE3 1075}}}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3) || [[https://youtu.be/oUwNibYorlI|Expert Pianistic 영상]] 2018년 [[한여름 밤의 꿈|6월 21일]] 통상곡으로 수록. 초중반에는 연타, 계단 등 체력을 요구하는 패턴 위주이며, 후반에는 한손 트릴과 테누토 노트가 주로 나온다. 하지만 후반에 딱 한번, 트릴 대신 나선 계단이 나오는 구간이 있으니 주의. === [[노스텔지어 시리즈/MISSION BINGO|MISSION BINGO 해금곡]] === 해금 조건은 위 문단 링크를 참고. ==== おもちゃの兵隊の行進 장난감 병정의 행진 ==== [[장난감 병정의 행진|항목 참조.]] ====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2.2.11|木枯らしのエチュード]] 겨울바람 에튀드 ==== ||<#ffebcd,#211f1d> 곡명 ||<-4> '''木枯らしのエチュード[br]겨울바람 에튀드''' || ||<-5> 冬の訪れを告げる冷厳な風は舞う[br]겨울이 왔음을 알리는 냉엄한 바람이 분다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01}}} || {{{#B97A00,#FFAD15 737}}} || {{{#BB1616,#EA4F4F 1284}}} || [[https://youtu.be/9l_FTzKU26k|Expert Pianistic 영상]] 2017년 12월 7일에 MISSION BINGO 해금곡으로 수록된 [[프레데리크 쇼팽]]의 에튀드 Op.25의 11번째 곡. 노스텔지어의 클래식 악곡 중 최고난도를 자랑한다. 우직하게 128BPM[* 사실 원래 악보대로라면 138BPM이어야 하지만, 원곡을 연주하는 피아니스트조차 그 템포를 지키지 않는 경우가 수두룩하다.]의 24분박 트릴로 밀어붙이는 악보. 참고로 [[ambages]]의 초반 연타가 121BPM의 12분박, [[Carezza]]의 초반/후반의 계단이 128BPM의 16분박이다. --리얼 난이도로 나왔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초당 12.8타의 향연으로 이루어진 초고난도 곡이 되었을 것이다.-- ==== [[라데츠키 행진곡|ラデツキー行進曲]] 라데츠키 행진곡 ==== ||<#ffebcd,#211f1d> 곡명 ||<-4> '''ラデツキー行進曲[br]라데츠키 행진곡''' || ||<-5> 新春を彩る勇壮な行進曲 さあ!皆さん拍手拍子を![br]신년을 장식하는 용감한 행진곡 자! 여러분 박수 박자를! || || 작곡가 ||<-4> '''ヨハン・シュトラウス[br][[요한 슈트라우스 1세|요한 슈트라우스]]'''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469}}} || {{{#B97A00,#FFAD15 830}}} || {{{#BB1616,#EA4F4F 1278}}} || {{{#BB1DB9,#E75FE3 1668}}}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3) || [[https://youtu.be/jODjGNEMGCk|Expert Pianistic 영상]] 2018년 1월 4일에 MISSION BINGO 해금곡으로 수록. 새해를 맞아 수록되었으며, 음원에 박수 샘플링이 들어가있다. 이유는 원곡 항목을 참조. 전체적인 난이도는 평범하지만, 특유의 계단 패턴(굳이 표현하자면 32-1--3 같은 순서)에 적응하지 못하면 콤보를 잇기 힘들다. === 연주회 해금곡 === 호두까기인형 3곡은 전부 2017년 12월 28일 은설 빛나는 연주회 해금곡으로 추가되었다. 또한 세곡 전부 난이도가 3/7/10이다. ==== [[호두까기 인형#s-3.1|くるみ割り人形より小序曲]] 호두까기 인형 작은 서곡 ==== ||<#ffebcd,#211f1d> 곡명 ||<-4> '''くるみ割り人形より小序曲[br]호두까기 인형 작은 서곡''' || ||<-5> はじまるよ 聖夜の魔法 秘密の恋の物語[br]시작돼요 크리스마스 마법과 비밀의 사랑 이야기 || || 작곡가 ||<-4>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245}}} || {{{#B97A00,#FFAD15 578}}} || {{{#BB1616,#EA4F4F 858}}} || [[https://youtu.be/GFPD_xdSVLc|Expert Pianistic 영상]] ==== [[호두까기 인형#s-3.1|くるみ割り人形より行進曲]] 호두까기 인형 행진곡 ==== ||<#ffebcd,#211f1d> 곡명 ||<-4> '''くるみ割り人形より行進曲[br]호두까기 인형 행진곡''' || ||<-5> 贈り物はくるみ割り人形 なんて素敵なの![br]선물은 호두까기 인형. 정말 멋져! || || 작곡가 ||<-4>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321}}} || {{{#B97A00,#FFAD15 661}}} || {{{#BB1616,#EA4F4F 1060}}} || [[https://youtu.be/PF32V9z2VKQ|Expert FC 영상]] ==== [[호두까기 인형#s-3.1|くるみ割り人形よりトレパック]] 호두까기 인형 트레팍 ==== ||<#ffebcd,#211f1d> 곡명 ||<-4> '''くるみ割り人形よりトレパック[br]호두까기 인형 트레팍''' || ||<-5> ようこそ小さなお姫様 ここはお菓子の国![br]어서오세요, 작은 공주님. 여기는 과자의 나라! || || 작곡가 ||<-4>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4><#088A29>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FORTE}}}]]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2}}} || {{{#B97A00,#FFAD15 538}}} || {{{#BB1616,#EA4F4F 665}}} || [[https://youtu.be/FisbTS1ljZA|Expert Pianistic 영상]] 곡의 재생시간이 1분 10초정도로 매우 짧다. 패턴은 10렙이라기엔 많이 모자라다. == [[노스텔지어 Op.2]] == === 통상곡 ===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アイネ・クライネ・ナハトムジク第1楽章]]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アイネ・クライネ・ナハトムジク第1楽章[br]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제 1악장''' || ||<-4> クラシックと言えばこの曲![br]클래식 하면 이 곡! || || 작곡가 ||<-4> '''モーツァルト[br][[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249}}} || {{{#B97A00,#FFAD15 427}}} || {{{#BB1616,#EA4F4F 868}}} || [[https://youtu.be/xEeSdfrhRoM|Expert 플레이 영상]] BPM은 105~132. ==== [[전주곡(드뷔시)#s-3.1.8|亜麻色の髪の乙女]] 아마빛 머리의 소녀 ==== ||<#ffebcd,#211f1d> 곡명 ||<-4> '''亜麻色の髪の乙女[br]아마빛 머리의 소녀''' || ||<-4> 愛を歌う少女を夢想するロマンチックな前奏曲[br]사랑을 노래하는 소녀를 상상하는 로맨틱한 전주곡 || || 작곡가 ||<-4> '''ドビュッシー[br][[클로드 드뷔시|드뷔시]]'''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10}}} || {{{#B97A00,#FFAD15 393}}} || {{{#BB1616,#EA4F4F 526}}} || [[https://youtu.be/sXO2uBnYhMs|Expert Pianistic 영상]] [[클로드 드뷔시]]의 '''전주곡집 I L.117'''의 8번째 곡. Expert 채보는 테누토 노트 위주로 되어 있다. BPM은 42~63. ==== [[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s-2|アラベスク]] 아라베스크 ==== ||<#ffebcd,#211f1d> 곡명 ||<-4> '''アラベスク[br]아라베스크''' || ||<-4> ピアノ入門として親しまれてきたアラビア風な練習曲[br]피아노 입문으로 친근한 아라비아 풍의 연습곡 || || 작곡가 ||<-4> '''ブルグミューラー[br][[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부르크뮐러]]'''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192}}} || {{{#B97A00,#FFAD15 342}}} || {{{#BB1616,#EA4F4F 410}}} || [[https://youtu.be/mMnJk2ldigQ|Expert Pianistic 영상]] 독일의 작곡가 [[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의 작품 '''25곡의 쉽고 혁신적인 피아노 연습곡집 Op.100'''의 두 번째 곡. BPM은 104이며 플레이타임은 68초로 상당히 짧다. ==== [[인벤션과 신포니아#s-2.1|インベンション第1番]] 인벤션 제1번 ==== ||<#ffebcd,#211f1d> 곡명 ||<-4> '''インベンション第1番[br]인벤션 1번''' || ||<-4> 音楽家育成の為に作られた小曲集より第1番[br]음악가 육성을 위해 만들어진 소곡집 중 제 1번 || || 작곡가 ||<-4> '''J.S.バッハ[br][[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7}}} || || 노트 수 || {{{#008761,#00CC94 204}}} || {{{#B97A00,#FFAD15 285}}} || {{{#BB1616,#EA4F4F 473}}} || [[https://youtu.be/WUYbG-sQ3rY|Expert Pianistic 영상]]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의 건반악기 연습곡 모음집 '''인벤션과 신포니아'''의 첫번째 곡이다. 작품번호는 BWV 772. ==== ガボット 가보트 ==== ||<#ffebcd,#211f1d> 곡명 ||<-4> '''ガボット[br]가보트''' || ||<-4> 古典舞曲を元にした軽快でキャッチーな楽曲[br]고전 무곡을 기반으로 한 경쾌하고 중독성 있는 곡 || || 작곡가 ||<-4> '''ゴセック[br][[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고세크]]'''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0}}} || {{{#B97A00,#FFAD15 451}}} || {{{#BB1616,#EA4F4F 609}}} || [[https://youtu.be/79gUTKOLQyM|Expert Pianistic 영상]] 프랑스의 음악가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가 작곡한 바이올린 독주곡. BPM은 88~116이다. ==== [[프레데리크 쇼팽/작품 목록#s-4|華麗なる大円舞曲]] 화려한 대왈츠 ==== ||<#ffebcd,#211f1d> 곡명 ||<-4> '''華麗なる大円舞曲[br]화려한 대왈츠''' || ||<-5> ショパンのワルツを代表する雄大な1曲[br]쇼팽의 왈츠를 대표하는 웅대한 곡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63}}} || {{{#B97A00,#FFAD15 738}}} || {{{#BB1616,#EA4F4F 1286}}} || {{{#BB1DB9,#E75FE3 1550}}} || || 난이도 변경 ||<-4> {{{#BB1DB9,#E75FE3 Real}}}: 보면 추가(Op.3) || [youtube(SQuOP2Bj29A)] Expert FC 영상 [youtube(NcYGQrupU0U)] Real Pianist 영상 [[프레데리크 쇼팽]]의 왈츠 제 1번 '''화려한 대왈츠 Op.18'''을 적당히 커트한 곡. bpm이 빨라 은근히 체력소모가 있다.[* BPM이 100~305로 변속되는데 메인은 '''200'''을 넘긴다.] 2022년 3월 10일 Real 보면이 추가되었다. ==== [[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s-2|貴婦人の乗馬]] 귀부인의 승마 ==== ||<#ffebcd,#211f1d> 곡명 ||<-4> '''貴婦人の乗馬[br]귀부인의 승마''' || ||<-4> ピアノ入門として親しまれてきた優雅でハイソな練習曲[br]피아노 입문으로 친근한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연습곡 || || 작곡가 ||<-4> '''ブルグミューラー[br][[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부르크뮐러]]'''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7}}} || {{{#B97A00,#FFAD15 504}}} || {{{#BB1616,#EA4F4F 683}}}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 (Op.2) || [[https://youtu.be/Pd6Swdj0EtU|Expert 플레이 영상]] 독일의 작곡가 [[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의 작품 '''25곡의 쉽고 혁신적인 피아노 연습곡집 Op.100'''의 25번째 곡. BPM은 120. ==== ソナチネ Op.20-1 소나티네 Op.20-1 ==== ||<#ffebcd,#211f1d> 곡명 ||<-4> '''ソナチネ Op.20-1[br]소나티네 Op.20-1''' || ||<-4> ピアノの基本が詰まったピアノ学習の代表曲[br]피아노의 기본기로 가득한 피아노 학습의 대표곡 || || 작곡가 ||<-4> '''クーラウ[br][[프리드리히 쿨라우|쿨라우]]'''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2}}} || {{{#B97A00,#FFAD15 598}}} || {{{#BB1616,#EA4F4F 915}}}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 (Op.2) || [[https://youtu.be/WfUDp3EjK3E|Expert Pianistic 영상]] 독일의 작곡가 [[프리드리히 쿨라우]]의 피아노 작품. 피아노를 배워 본 사람이라면 한번쯤 쳐 보았을 유명한 곡이다. Expert 패턴의 경우 다른 곡이면 Real에 속할만큼 거의 모든 피아노음을 배치해 상당히 긴 계단패턴이 나온다. 피아노소나타 제15번 제1악장의 약화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난이도의 곡이 출시 직후 10레벨에 배정되었다. BPM은 128이다. ==== ソナチネ Op.36-1 소나티네 Op.36-1 ==== ||<#ffebcd,#211f1d> 곡명 ||<-4> '''ソナチネ Op.36-1[br]소나티네 Op.36-1''' || ||<-4> ピアノの基礎が詰まったピアノ学習の代表曲[br]피아노의 기초로 가득한 피아노 학습의 대표곡 || || 작곡가 ||<-4> '''クレメンティ[br][[무치오 클레멘티|클레멘티]]'''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8}}} || {{{#B97A00,#FFAD15 448}}} || {{{#BB1616,#EA4F4F 666}}} || || 난이도 변경 ||<-4> {{{#B97A00,#FFAD15 '''Hard'''}}}: 레벨 1 하락 (Op.2) || [[https://youtu.be/7Ep7pLFr_Ag|Expert Pianistic 영상]] 이탈리아의 작곡가 [[무치오 클레멘티]]의 작품. 이 곡 역시 피아노를 배워 본 사람이라면 한번쯤 연주했을 만한 유명한 곡이다. BPM은 155~175. ==== [[피아노 소나타 23번(베토벤)|ピアノソナタ「熱情」第3楽章]] 피아노 소나타 '열정' 제3악장 ==== [[피아노 소나타 23번(베토벤)#s-7|항목 참조]] ==== [[미뉴에트|メヌエット ト短調]] 미뉴에트 사단조 ==== ||<#ffebcd,#211f1d> 곡명 ||<-4> '''メヌエット ト短調[br]미뉴에트 G단조''' || ||<-4> おなじみのト長調と対になるもうひとつのメヌエット[br]친숙한 G장조와 대비되는 또 하나의 미뉴에트 || || 작곡가 ||<-4> '''ペツォールト[br]페촐드'''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3}}} || {{{#BB1616,#EA4F4F 6}}} || || 노트 수 || {{{#008761,#00CC94 '''85'''}}} || {{{#B97A00,#FFAD15 147}}} || {{{#BB1616,#EA4F4F 210}}} || [[https://youtu.be/hxaLrf6q2HU|Expert Pianistic 영상]] 플레이 시간이 68초로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s-3.1.3|아라베스크]]와 함께 노스텔지어에서 가장 플레이 시간이 짧은 곡이다. Normal 난이도의 노트 수 역시 85개로 노스텔지어 보면 중 가장 적다.[* 반대로 노멀에서 가장 많은 건 터키 행진곡.] BPM은 59~88 ==== ユモレスク 유모레스크 ==== ||<#ffebcd,#211f1d> 곡명 ||<-4> '''ユモレスク[br]유모레스크''' || ||<-4> のどかで楽しげな心なごむ小曲[br]한가롭고 즐거운, 마음 녹이는 소곡 || || 작곡가 ||<-4> '''ドヴォルザーク[br][[안토닌 드보르자크|드보르자크]]'''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7}}} || {{{#B97A00,#FFAD15 523}}} || {{{#BB1616,#EA4F4F 867}}}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상승 (Op.2) || [[https://youtu.be/NI5aPCIQXts|Expert Pianistic 영상]] 체코의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피아노 작품 '''8개의 유모레스크 Op.101'''의 7번째 곡. BPM은 48~123.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작품목록#s-1.1.2|小フーガ ト短調 BWV578]] 작은 푸가 사단조 BWV578 ==== ||<#ffebcd,#211f1d> 곡명 ||<-4> '''小フーガ ト短調 BWV578[br]작은 푸가 G단조 BWV578''' || ||<-4> 有名な主題が掛け合うバロックを代表する荘厳な楽曲[br]유명한 주제가 번갈아 나오는 바로크를 대표하는 장엄한 곡 || || 작곡가 ||<-4> '''J.S.バッハ[br][[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41}}} || {{{#B97A00,#FFAD15 452}}} || {{{#BB1616,#EA4F4F 841}}}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 (Op.2) || [[https://youtu.be/_kOfjluMpEA|Expert Pianistic 영상]] BPM은 33~87. ==== [[전람회의 그림|展覧会の絵]] 전람회의 그림 ==== ||<#ffebcd,#211f1d> 곡명 ||<-4> '''展覧会の絵[br]전람회의 그림''' || ||<-4> 絵画に着想を得た国民楽派を代表する組曲[br]그림에서 모티브를 얻은 국민악파를 대표하는 모음곡 || || 작곡가 ||<-4> '''ムソルグスキー[br][[모데스트 무소륵스키|무소륵스키]]'''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4}}} || {{{#B97A00,#FFAD15 407}}} || {{{#BB1616,#EA4F4F 639}}}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2 하락 (Op.2) || [[https://youtu.be/FaIIlLaee0A|Expert Pianistic 영상]] 러시아의 국민악파 작곡가인 [[모데스트 무소륵스키]]의 피아노 모음곡. 그 중에서 맨 처음에 등장하는 프롬나드(Promenade)만 실렸다. 패턴의 난이도가 매우 낮고 피아니스트를 노리기도 쉽다. 물론 실제 피아노 연주 난이도와는 상관없다.[* 실제로는 모음곡 자체가 30분이나 되는데다 기교 및 해석 상의 난해함으로 인해 전공자들조차 어려워한다.] BPM은 74~98.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대연습곡#s-3.6|パガニーニによる大練習曲第6番「主題と変奏」]]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제6번 '주제와 변주' ==== ||<#ffebcd,#211f1d> 곡명 ||<-5> '''パガニーニによる大練習曲第6番「主題と変奏」[br]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제 6번 「주제와 변주」''' || ||<-5> 悪魔に魂を売ったと言われるバイオリニストの超絶技巧変奏曲[br]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고 전해지는 바이올리니스트의 초절기교변주곡 || || 작곡가 ||<-5> '''リスト[br][[프란츠 리스트|리스트]]'''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5}}}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370}}} || {{{#B97A00,#FFAD15 827}}} || {{{#BB1616,#EA4F4F 1731}}} || {{{#BB1DB9,#E75FE3 1949}}} || [[https://youtu.be/6ZikBIzJBeA|Expert Pianistic 영상]] [[https://youtu.be/9id8G1NX5hw|Real FC 영상]]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 [[니콜로 파가니니]]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스 24번(파가니니)|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스 24번]]을 피아노의 파가니니 [[프란츠 리스트]]가 피아노 버전으로 편곡한 곡. 노스텔지어 버전에는 주제, 변주 1, 변주 3, 변주 4, 변주 8, 변주 11만이 수록되어 있다. 원곡이 유명하기도 하고, 이미 이 곡의 클래식 리믹스 버전인 [[DIAVOLO]]가 다른 비마니 시리즈에 수록되어 있어 많이 익숙할 것이다. 익스퍼트 패턴에서 난관은 변주 1의 폴리리듬일 것이다. 말 그대로 왼손과 오른손이 따로 놀기 때문에 정확하게 치지 못한다면 판정이 망가질 수밖에 없다. 익스퍼트와 리얼의 패턴 차이는 중후반까진 거의 없다시피하나, 후반부의 계단이 글리산도로 나오는 익스퍼트와 달리 리얼은 전부 일반 노트로 바뀌어있어 난이도가 미칠듯이 올랐다. 그뿐만 아니라 겹계단이 등장하는 타이밍도 더 빠르다. BPM은 36~160. ==== [[마왕(슈베르트)|魔王]] 마왕 ==== [[마왕(슈베르트)#s-6|항목 참조]] ==== [[생일 축하합니다|Happy Birthday to You]] ==== ||<#ffebcd,#211f1d> 곡명 ||<-4> '''Happy Birthday to You''' || ||<-4> 今日も世界のどこかで誰かを祝って歌われてます[br]오늘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누군가를 축하하며 부르고 있습니다 || || 작곡가 ||<-4>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170}}} || {{{#B97A00,#FFAD15 413}}} || {{{#BB1616,#EA4F4F 628}}} || [[https://youtu.be/rgop5YD38s4|Expert Pianistic 영상]]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의 가동 2주년을 기념하여 추가된 곡. [[생일 축하합니다|원곡]]을 재즈풍으로 어레인지했다. BPM은 40~172. === 이벤트 섬 해금곡 === ==== [[호두까기 인형#s-3.1|くるみ割り人形より金平糖の踊り]] 호두까기 인형 사탕 요정의 춤 ==== ||<#ffebcd,#211f1d> 곡명 ||<-4> '''くるみ割り人形より金平糖の踊り[br]호두까기 인형 사탕 요정의 춤''' || ||<-4> 金平糖の精から二人へ 優美で可憐なご挨拶[br]사탕의 요정이 두 사람에게, 아름답고 가련한 인사 || || 작곡가 ||<-4>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8}}} || {{{#B97A00,#FFAD15 533}}} || {{{#BB1616,#EA4F4F 973}}} || || 난이도 변경 ||<-4> {{{#BB1616,#EA4F4F '''Expert'''}}}: 레벨 1 하락 (Op.2) || [[https://youtu.be/zjgcKlav0Jg|Expert FC 영상]] 전체적으로는 무난하나 중반의 계단지대가 주의 구간. BPM은 17~60이지만 메인 속도는 120으로 체감된다. ==== [[호두까기 인형#s-3.1|くるみ割り人形より花のワルツ]] 호두까기 인형 꽃의 왈츠 ==== ||<#ffebcd,#211f1d> 곡명 ||<-4> '''くるみ割り人形より花のワルツ[br]호두까기 인형 꽃의 왈츠''' || ||<-4> 歓迎のしるしに お菓子たちが舞踏会へご招待[br]환영의 증거로 과자들이 무도회에 초대 || || 작곡가 ||<-4>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00}}} || {{{#B97A00,#FFAD15 597}}} || {{{#BB1616,#EA4F4F 1384}}} || [[https://youtu.be/DdRv9VLLrvE|Expert FC 영상]] 중반의 八자 계단지대가 주의 구간. 그 구간을 제외하곤 11레벨치곤 상당히 쉽다. BPM은 45~232이며 메인은 232이다. ==== [[사계#s-1.1.1|協奏曲第4番ヘ短調 RV 297「冬」より第一楽章]] 협주곡 제4번 바단조 RV 297 '겨울'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5> '''協奏曲第4番ヘ短調RV297「冬」より第一楽章[br]협주곡 제4번 F단조 RV 297 「겨울」 제1악장''' || ||<-5> 吹雪とともに舞い降りたのは冬を冠するに相応しい壮大な一曲[br]눈보라와 함께 내려앉은 것은 겨울을 장식하기에 알맞은 한 곡 || || 작곡가 ||<-5> '''ヴィヴァルディ[br][[안토니오 비발디|비발디]]'''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286}}} || {{{#B97A00,#FFAD15 795}}} || {{{#BB1616,#EA4F4F 1395}}} || {{{#BB1DB9,#E75FE3 1859}}} || [[https://youtu.be/chDvK2tvK0g|Expert Pianistic 영상]] [[https://youtu.be/dhk-4Srbkl4|Real 플레이 영상]] 비발디의 사계의 겨울 1악장으로, 유명하거니와 비마니 시리즈 유저라면 [[V(BEMANI 시리즈)|V]]로 익숙한 곡. ~~[[게보린]] 광고 음악~~ Expert는 12치고는 물렙으로 나왔으나, Real은 난이도 값하는 패턴. Expert보다 계단이 한 층 강화된데다 하이라이트 구간의 트릴이 연타로 바뀌면서 체력곡 속성도 띠게 되었다. The 8th KAC에서 나온 클래식 Real 패턴 중에서는 그나마 쉬운 편이지만, 연타때문에 개인차가 갈린다. BPM은 45~80이지만 오히려 160에 가깝다. === [[노스텔지어 시리즈/MISSION BINGO|MISSION BINGO 해금곡]] === ==== [[사계#s-1.1.1|協奏曲第2番ト短調 RV 315「夏」より第三楽章]] 협주곡 제2번 사단조 RV 315 '여름' 제3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協奏曲第2番ト短調 RV 315「夏」より第三楽章[br]협주곡 제2번 사단조 RV 315 '여름' 제3악장''' || ||<-5> 雷雨とともに降り荒ぶのは夏を冠するに相応しい壮絶な一曲[br]뇌우와 함께 쏟아지는 것은 여름을 관통하기에 적당한 장렬한 한 곡 || || 작곡가 ||<-4> '''ヴィヴァルディ[br][[안토니오 비발디|비발디]]''' || || 수록된 버전 ||<-4><#FDE9B4> [[노스텔지어 Op.2|{{{#24170E 노스텔지어 Op.2}}}]]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325}}} || {{{#B97A00,#FFAD15 933}}} || {{{#BB1616,#EA4F4F 1564}}} || {{{#BB1DB9,#E75FE3 1829}}} || Expert Pianist 영상 [youtube(-jr1GGm3Uow)] Real Pianist 영상 [youtube(AIrqN9b-_Uw)] BPM은 110~142로 142가 메인이다. 어마무시하게 많은 계단이 나온다. 그것도 아주 다양한 계단들이 쉴새없이 쏟아져서 앗차하는 순간 손이 엇나가버려 망한다. 12레벨 상급 이상 곡에 나올만한 어려운 패턴만 계속 나오고 쉬는 구간이 거의 없어 점수를 내기 힘들다. 사실상 체감난이도 13레벨에 해당하는 곡으로, Op.2에서 Real 난이도가 추가된 이후 나오지 않던 초고난도 Expert 패턴이다. The 9th KAC에서 Real 보면이 등장하였다. Expert만 해도 미쳐날뛰는 곡이라 당연히 난이도는 ◆3, 그레이드 상수는 13.0. 초반 재봉틀 이후 왼쪽으로 가는 계단이 나올 때 왼손에서 트릴이 나오고 최후반부에 가서 단타였던 부분이 연타가 되는 등 난이도가 상승했다. == [[노스텔지어 Op.3]] == === 통상곡 === ====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4.1.4|エチュード Op.10-4]] 에튀드 Op.10-4 ==== ||<#ffebcd,#211f1d> 곡명 ||<-4> '''エチュード Op.10-4[br]에튀드 Op.10-4''' || ||<-5> 激情が加速するショパンエチュード孤高の一曲[br]격정이 가속하는 쇼팽 에튀드 고고한 한 곡 || || 작곡가 ||<-4> [[프레데리크 쇼팽|ショパン]][br]쇼팽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5}}}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499}}} || {{{#B97A00,#FFAD15 1119}}} || {{{#BB1616,#EA4F4F 1613}}} || {{{#BB1DB9,#E75FE3 2123}}} || [[https://www.youtube.com/watch?v=E6-6qi6tUhg|Expert Pianist 영상]] 원곡 자체가 음 변화가 많고 치기 힘든 곡이여서 많은 사람들이 지독한 계단곡이 될 거라 예상했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예상이 적중했다.]]''' 사람에 따라 개인차가 크겠지만 굉장히 다양한 계단이 나온다.즉, 계단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꿈도 희망도 없는 곡이 되어버렸다. [[https://www.youtube.com/watch?v=e5Iz9aYcLyw|Hard Pianist 영상]] 하드 난이도는 익퍼를 생각하면 '''그나마''' 쉬운 거지만 하드 자체만 놓고 본다면 조금 어렵다. 8레벨인데도 불구하고 노트수가 1119개로 굉장히 많은 축에 속한다.[* 비슷한 축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건 [[Last Twilight]] 하드의 1036개의 노트가 있다. 이쪽은 7레벨.] [[https://youtu.be/JisR6axh3Yo?t=13834|Real 999kFC 영상]] 공식 홈페이지에서 Real의 등장을 유출해 버렸다. 그리고 The 9th KAC에서 결승전에서 진출자들이 고르는 곡 8개 중 하나로 나와 Real 보면이 나오는 것이 확정되었다. 발표 이후 17개월이 지난 2021년 7월 1일에 나온 Real 보면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급의 난이도로 등장했다. ==== [[소녀의 기도|乙女の祈り]] 소녀의 기도 ==== ||<#ffebcd,#211f1d> 곡명 ||<-4> '''乙女の祈り[br]소녀의 기도''' || ||<-4> 夢いっぱい乙女の憧れをメロディーにのせて[br]꿈이 가득한 소녀의 동경을 멜로디에 싣고 || || 작곡가 ||<-4> [[테클라 바다르체프스카 바라노프스카|バダジェフスカ]][br]봉다제프스카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155}}} || {{{#B97A00,#FFAD15 386}}} || {{{#BB1616,#EA4F4F 709}}} || [[https://youtu.be/_HFcGgHG-XY|Expert 플레이 영상]] ==== 小人がひとり森の中で 난쟁이가 숲속에 홀로 서 있네 ==== ||<#ffebcd,#211f1d> 곡명 ||<-4> '''小人がひとり森の中で[br]난쟁이가 숲속에 홀로 서 있네''' || ||<-4> 小人と一緒に演奏しよう!ドレミファソーラファ♪ミ・レ・ド♪[br]난쟁이와 함께 연주하자! 도레미파솔-라파♪미・레・도♪ || || 작곡가 ||<-4> フンパーディンク[br]훔퍼딩크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4}}} || {{{#BB1616,#EA4F4F 8}}} || || 노트 수 || {{{#008761,#00CC94 67}}} || {{{#B97A00,#FFAD15 161}}} || {{{#BB1616,#EA4F4F 261}}} || [[https://youtu.be/KELMI6b8WVE|Expert Pianistic 영상]] 독일의 민요를 작곡가 엥겔베르트 훔퍼딩크가 편곡하여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에서 사용한 곡. 한국에서는 야마하의 광고 음악으로 사용된 적이 있다. 동요 '어디까지 가느냐 개굴아'는 이 곡에 가사를 붙여 번안한 곡이다. 익퍼는 8레벨이지만 실제로 체감 난이도는 5상급~6정도에 준한다. ==== [[가브리엘 포레#s-4.4.2|シシリエンヌ]] 시실리안느 ==== ||<#ffebcd,#211f1d> 곡명 ||<-4> '''シシリエンヌ[br]시실리안느''' || ||<-4> 哀愁を誘う美しいメロディで知られる名曲[br]애수를 부르는 아름다운 멜로디로 알려진 명곡 || || 작곡가 ||<-4> [[가브리엘 포레|フォーレ]][br]포레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60}}} || {{{#B97A00,#FFAD15 469}}} || {{{#BB1616,#EA4F4F 710}}} || [[https://youtu.be/GkCvERVbrPY|Expert 플레이 영상]]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亡き王女のためのパヴァーヌ]]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 ||<#ffebcd,#211f1d> 곡명 ||<-4> '''亡き王女のためのパヴァーヌ[br]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 ||<-4> いつかスペインの宮廷で若き王女が踊っていた舞踏曲に思いを寄せて[br]언젠가 스페인 왕정에서 젊은 왕녀가 춤추던 무도곡에 마음을 담아서 || || 작곡가 ||<-4> [[모리스 라벨|ラヴェル]][br]라벨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 노트 수 || {{{#008761,#00CC94 154}}} || {{{#B97A00,#FFAD15 322}}} || {{{#BB1616,#EA4F4F 663}}} || ==== 人形の夢と目覚め 잠자다 깨어난 인형 ==== ||<#ffebcd,#211f1d> 곡명 ||<-4> '''人形の夢と目覚め[br]잠자다 깨어난 인형'''[* 일본어 제목을 직역하면 '인형의 꿈과 일어남'쯤이 되겠지만 한국에는 이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 ||<-4> 小品集「子供の情景」から お人形だからってお風呂で寝たらいけないよ[br]소곡집 <어린이 정경>으로부터. 인형이라고 해서 욕조에서 자면 안 돼 || || 작곡가 ||<-4> オースティン[br]외스텐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9}}} || || 노트 수 || {{{#008761,#00CC94 204}}} || {{{#B97A00,#FFAD15 595}}} || {{{#BB1616,#EA4F4F 976}}} || [[バスルーム ロマンス]]의 원곡. 일본 보일러 브랜드 Noritz 사 제품의 시그널로도 사용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am8r4MSLDZY&t=36|#]] 곡 코멘트에 욕조가 언급되는 것은 이 때문. ==== [[헝가리 무곡|ハンガリー舞曲第6番]] 헝가리 무곡 제6번 ==== ||<#ffebcd,#211f1d> 곡명 ||<-4> '''ハンガリー舞曲第6番[br]헝가리 무곡 6번''' || ||<-5> むらのみんなの たのしいたのしい おまつりのじかん![br]마을 모두의 즐겁고 즐거운 축제 시간! || || 작곡가 ||<-4> ブラームス[br][[요하네스 브람스|브람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05}}} || {{{#B97A00,#FFAD15 803}}} || {{{#BB1616,#EA4F4F 1447}}} || {{{#BB1DB9,#E75FE3 1643}}} || ==== [[미뉴에트|メヌエット イ短調]] 미뉴에트 가단조 ==== ||<#ffebcd,#211f1d> 곡명 ||<-4> '''メヌエット イ短調[br]미뉴에트 가단조''' || ||<-4> いつでもそこにはメヌエット[br]언제든지 거기에는 미뉴에트 || || 작곡가 ||<-4> クリーガー[br]크리거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1}}} || {{{#B97A00,#FFAD15 3}}} || {{{#BB1616,#EA4F4F 5}}} || || 노트 수 || {{{#008761,#00CC94 66}}} || {{{#B97A00,#FFAD15 136}}} || {{{#BB1616,#EA4F4F 160}}} || ==== [[프레데리크 쇼팽/작품 목록#s-4|ワルツ第14番]] 왈츠 제14번 ==== ||<#ffebcd,#211f1d> 곡명 ||<-4> '''ワルツ第14番[br]왈츠 제14번''' || ||<-4> 情熱が華やかに迸るショパンワルツの到達点[br]정열이 화려하게 흩날리는 쇼팽 왈츠의 도달점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3}}} || {{{#B97A00,#FFAD15 681}}} || {{{#BB1616,#EA4F4F 1090}}} || [[https://youtu.be/0CgMKZ9EDCU|Expert Pianist 영상]] ==== [[군대 행진곡|軍隊行進曲第1番]] 군대 행진곡 제1번 ==== ||<#ffebcd,#211f1d> 곡명 ||<-4> '''軍隊行進曲第1番[br]군대 행진곡 제1번''' || ||<-4> 元は連弾用の優雅な行進曲。勇ましい演奏に君もチャレンジ![br]원래는 연탄용 우아한 행진곡. 용맹스러운 연주에 당신도 첼린지! || || 작곡가 ||<-4> シューベルト[br][[프란츠 슈베르트|슈베르트]]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8}}} || {{{#B97A00,#FFAD15 775}}} || {{{#BB1616,#EA4F4F 1636}}} || [[https://youtu.be/uYgwySAdlE4|Expert Pianist 영상]] [[대구 도시철도]]의 진입음으로 쓰이는 곡이다. 가동 초기 기준 노스텔지어 오리지날 곡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버그가 있다. ==== [[교향곡 제9번(베토벤)#s-2.4|交響曲第9番第4楽章"歓喜の歌"]] 교향곡 제9번 제4악장 '환희의 송가' ==== ||<#ffebcd,#211f1d> 곡명 ||<-4> '''交響曲第9番第4楽章"歓喜の歌"[br] 교향곡 제9번 제4악장 '환희의 송가' ''' || ||<-5> 諸人よ!ともに歌おう!歓喜の歌を!![br]여러분! 함께 부르자! 환희의 노래를!!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375}}} || {{{#B97A00,#FFAD15 950}}} || {{{#BB1616,#EA4F4F 1826}}} || {{{#BB1DB9,#E75FE3 2159}}} || [[https://youtu.be/kv2mTu-CzT4|Expert Pianist 영상]] [[https://youtu.be/9k40Lt8Km7w|Real 997kFC 영상]] 20분이 넘는 4악장 중 서주와 제8변주, 코다를 사용하여 적당히 커팅한 악곡이다.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 Tochter aus Elysium''' >''(프로이데, 쇠너 괴테르풍켄, 토흐터 아우스 엘뤼지움)'' >환희여, 아름다운 신들의 불이여, 낙원의 딸이여 > >'''Wir betreten feuertrunken, Himmlische, dein Heiligtum!''' >''(비어 베트레텐 포이에르트룽켄, 힘리셰 다인 하일릭툼!)'' >우리는 불에 취해 신성한 그대의 성소로 들어가도다! > >'''Deine Zauber binden wieder, Was die Mode streng geteilt;''' >''(다이네 차우버 빈덴 비더, 바스 디 모데 슈트렝 게타일트)'' >그대의 마법은 엄한 시대 아래서 나뉜 자들을 다시 결합시키며 > >'''Alle Menschen werden Brüder, Wo dein sanfter Flügel weilt.''' >''(알레 멘셴 베르덴 브뤼더, 보 다인 잔프터 플뤼겔 바일트)''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되노라, 그대의 부드러운 날개가 머무르는 곳에. > > >Seid umschlungen, Millionen! Diesen Kuß der ganzen Welt, der ganzen Welt! >''(자이트 움슐룽엔, 밀리오넨! 디젠 쿠스 데어 간첸 벨트, 데어 간첸 벨트!)'' >안겨라! 만민이여, 이 온 세계의 입맞춤을, 온 세계의! > >Brüder! Über'm Sternenzelt Muß ein lieber Vater wohnen, ein lieber Vater wohnen. >''(브뤼더! 위버름 슈테르넨첼트 무스 아인 리버 파터 보넨, 아인 리버 파터 보넨)'' >형제들이여! 별이 빛나는 하늘 저편에 사랑하시는 아버지께서 반드시 계실 것이다, 사랑하시는 아버지께서 > >Seid umschlungen! >''(자이트 움슐룽엔!)'' >안겨라! > >Diesen Kuß der ganzen Welt, der ganzen Welt! >''(디젠 쿠스 데어 간첸 벨트, 데어 간첸 벨트!)'' >이 온 세계의 입맞춤, 온 세계의! > >Freude,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 Götterfunken! >''(프로이데, 프로이데, 쇠너 괴테르풍켄! 괴테르풍켄!)'' >환희여, 환희여, 아름다운 신들의 불이여! 신들의 불이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교향곡 제9번(베토벤), paragraph=2.4.2, version=731)] ==== [[터키 행진곡(베토벤)|トルコ行進曲]] 터키 행진곡 ==== ||<#ffebcd,#211f1d> 곡명 ||<-4> '''トルコ行進曲[br]터키 행진곡''' || ||<-5> 劇音楽『アテネの廃墟』より[br]극음악 '아테네의 폐허'에서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9}}}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23}}} || {{{#B97A00,#FFAD15 544}}} || {{{#BB1616,#EA4F4F 1125}}} || {{{#BB1DB9,#E75FE3 1379}}} || ==== [[교향곡 제7번(베토벤)|交響曲第7番第1楽章]] 교향곡 제7번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交響曲第7番第1楽章[br]교향곡 제7번 제1악장''' || ||<-5> 軽快なリズムに乗せた喜びに満ちたメロディ[br]경쾌한 리듬에 실은 기쁨에 찬 멜로디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5}}} || {{{#B97A00,#FFAD15 727}}} || {{{#BB1616,#EA4F4F 1668}}} || {{{#BB1DB9,#E75FE3 2247}}} || ==== [[교향곡 제5번(베토벤)|交響曲第5番第1楽章"運命"]] 교향곡 제5번 제1악장 '운명' ==== ||<#ffebcd,#211f1d> 곡명 ||<-4> '''交響曲第5番第1楽章"運命"[br]교향곡 제5번 제1악장 '운명'''' || ||<-5> So pocht das Schicksal an die Pforte.[br]그래서 운명은 문을 두드렸다.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177}}} || {{{#B97A00,#FFAD15 404}}} || {{{#BB1616,#EA4F4F 974}}} || {{{#BB1DB9,#E75FE3 1369}}} || ==== [[피아노 소나타 21번(베토벤)|ピアノソナタ「ヴァルトシュタイン」第1楽章]] 피아노 소나타 '발트슈타인'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ピアノソナタ「ヴァルトシュタイン」第1楽章[br]피아노 소나타 '발트슈타인' 제1악장''' || ||<-5> フェルディナント・エルンスト・ヨーゼフ・ガブリエル・フォン・[br]ヴァルトシュタイン・ウント・ヴァルテンベルク伯爵に献呈された一曲[br]페르디난트 에른스트 요셉 가브리엘 폰[br]발트슈타인 운트 발텐베르크 백작에게 헌정된 한 곡 || || 작곡가 ||<-4> ベートーヴェン[br][[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40}}} || {{{#B97A00,#FFAD15 731}}} || {{{#BB1616,#EA4F4F 1363}}} || {{{#BB1DB9,#E75FE3 2006}}} || === 이벤트 해금곡 === ==== [[사계#s-1.1.1|協奏曲第1番ホ長調 RV 269「春」より第一楽章]] 협주곡 제1번 마장조 RV 269 '봄'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協奏曲第1番ホ長調 RV 269「春」より第一楽章[br]협주곡 제1번 마장조 RV 269 '봄' 제1악장''' || ||<-5> 鳥の囀りとともに訪れたのは春を冠するに相応しい壮麗な一曲[br]새소리와 함께 찾아온 것은 봄을 담기에 알맞은 웅장한 한 곡 || || 작곡가 ||<-4> ヴィヴァルディ[br][[안토니오 비발디|비발디]]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0}}} || {{{#B97A00,#FFAD15 546}}} || {{{#BB1616,#EA4F4F 1015}}} || {{{#BB1DB9,#E75FE3 1426}}} || ==== [[헝가리 무곡 제5번|ハンガリー舞曲第5番]] 헝가리 무곡 제5번 ==== ||<#ffebcd,#211f1d> 곡명 ||<-4> '''ハンガリー舞曲第5番[br]헝가리 무곡 제5번''' || ||<-5> じょうねつてきなステップで さあ いっしょにおどろう![br]조작적인 스텝으로 자 함께 춤추자! || || 작곡가 ||<-4> ブラームス[br][[요하네스 브람스|브람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89}}} || {{{#B97A00,#FFAD15 536}}} || {{{#BB1616,#EA4F4F 1039}}} || {{{#BB1DB9,#E75FE3 1295}}} || ==== [[사계#s-1.1.1|協奏曲第3番ヘ長調 RV 293「秋」より第一楽章]] 협주곡 제3번 바장조 RV 293 '가을' 제1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協奏曲第3番ヘ長調 RV 293「秋」より第一楽章[br]협주곡 제3번 바장조 RV 293 '가을' 제1악장''' || ||<-5> 収穫の祝いとともに響くのは秋を冠するに相応しい壮美な一曲[br]추수 축하와 함께 울리는 것은 가을을 장식하기에 알맞은 장미한 곡 || || 작곡가 ||<-4> ヴィヴァルディ[br][[안토니오 비발디|비발디]]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2}}} || {{{#B97A00,#FFAD15 811}}} || {{{#BB1616,#EA4F4F 1294}}} || {{{#BB1DB9,#E75FE3 1701}}} || ==== [[보칼리제|ヴォカリーズ]] 보칼리제 ==== ||<#ffebcd,#211f1d> 곡명 ||<-4> '''ヴォカリーズ[br]보칼리제''' || ||<-5> Lentamente, molto cantabile.[br]천천히, 최대한 노래하듯이 || || 작곡가 ||<-4> ラフマニノフ[br][[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라흐마니노프]]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8}}}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144}}} || {{{#B97A00,#FFAD15 326}}} || {{{#BB1616,#EA4F4F 586}}} || {{{#BB1DB9,#E75FE3 727}}} || ==== [[전주곡(라흐마니노프)#s-2|前奏曲 Op.3-2 「鐘」]] 전주곡 Op.3-2 '종' ==== ||<#ffebcd,#211f1d> 곡명 ||<-4> '''前奏曲 Op.3-2 「鐘」[br]전주곡 Op.3-2 '종'''' || ||<-5> モスクワの鐘が かくも力強く鳴り響く[br]모스크바의 종이 이렇게도 힘차게 울려 퍼지다 || || 작곡가 ||<-4> ラフマニノフ[br][[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라흐마니노프]]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116}}} || {{{#B97A00,#FFAD15 274}}} || {{{#BB1616,#EA4F4F 617}}} || {{{#BB1DB9,#E75FE3 896}}} || ==== [[전주곡(라흐마니노프)#s-3.5|前奏曲 Op.23-5]] 전주곡 Op.23-5 ==== ||<#ffebcd,#211f1d> 곡명 ||<-4> '''前奏曲 Op.23-5[br]전주곡 Op.23-5''' || ||<-5> 力強く勇ましい 行進曲風の前奏曲[br]힘차고 씩씩한 행진곡풍의 전주곡 || || 작곡가 ||<-4> ラフマニノフ[br][[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라흐마니노프]]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60}}} || {{{#B97A00,#FFAD15 718}}} || {{{#BB1616,#EA4F4F 1643}}} || {{{#BB1DB9,#E75FE3 2525}}} || ==== [[전주곡(라흐마니노프)#s-3.9|前奏曲 Op.23-9]] 전주곡 Op.23-9 ==== ||<#ffebcd,#211f1d> 곡명 ||<-4> '''前奏曲 Op.23-9[br]전주곡 Op.23-9''' || ||<-5> 美しく流麗な しかし困難な前奏曲[br]아름답고 유려한 그러나 어려운 전주곡 || || 작곡가 ||<-4> ラフマニノフ[br][[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라흐마니노프]]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0}}} || {{{#B97A00,#FFAD15 563}}} || {{{#BB1616,#EA4F4F 1130}}} || {{{#BB1DB9,#E75FE3 1561}}} || ==== [[윌리엄 텔 서곡|ウィリアム・テル序曲]] 윌리엄 텔 서곡 ==== ||<#ffebcd,#211f1d> 곡명 ||<-4> '''ウィリアム・テル序曲[br]윌리엄 텔 서곡''' || ||<-5> 君は音符の中心を射抜くことができるか!?[br]너는 음표의 중심을 꿰뚫을 수 있니!? || || 작곡가 ||<-4> ロッシーニ[br][[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로시니]]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53}}} || {{{#B97A00,#FFAD15 802}}} || {{{#BB1616,#EA4F4F 1863}}} || {{{#BB1DB9,#E75FE3 2505}}} || ==== [[아를의 여인#s-5.4|アルルの女第二組曲よりファランドール]] 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 파랑돌 ==== ||<#ffebcd,#211f1d> 곡명 ||<-4> '''アルルの女第二組曲よりファランドール[br]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 파랑돌''' || ||<-5> 重なり合う旋律は熱狂とともにクライマックスを迎える[br]중첩된 선율은 열광과 함께 절정을 이룬다 || || 작곡가 ||<-4> ビゼー[br][[조르주 비제|비제]]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04}}} || {{{#B97A00,#FFAD15 712}}} || {{{#BB1616,#EA4F4F 1156}}} || {{{#BB1DB9,#E75FE3 2001}}} || ==== [[아를의 여인#s-5.3|アルルの女第二組曲よりメヌエット]] 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 미뉴에트 ==== ||<#ffebcd,#211f1d> 곡명 ||<-4> '''アルルの女第二組曲よりメヌエット[br]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 미뉴에트''' || ||<-5> フルートの独奏曲としても名高い舞踏曲[br]플루트 독주곡으로도 유명한 무도곡 || || 작곡가 ||<-4> ビゼー[br][[조르주 비제|비제]]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8}}} || {{{#BB1DB9,#E75FE3 ◆1}}} || || 노트 수 || {{{#008761,#00CC94 165}}} || {{{#B97A00,#FFAD15 325}}} || {{{#BB1616,#EA4F4F 453}}} || {{{#BB1DB9,#E75FE3 686}}} || ==== [[밤의 여왕의 아리아|魔笛より夜の女王のアリア]] 마술피리 중 밤의 여왕의 아리아 ==== ||<#ffebcd,#211f1d> 곡명 ||<-4> '''魔笛より夜の女王のアリア[br]마술피리 중 밤의 여왕의 아리아''' || ||<-5> 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br]지옥의 복수가 내 마음속에서 끓고 있어 || || 작곡가 ||<-4> モーツァルト[br][[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76}}} || {{{#B97A00,#FFAD15 483}}} || {{{#BB1616,#EA4F4F 984}}} || {{{#BB1DB9,#E75FE3 1412}}} || ====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きらきら星変奏曲]] 작은 별 변주곡 ==== ||<#ffebcd,#211f1d> 곡명 ||<-4> '''きらきら星変奏曲[br]작은 별 변주곡''' || ||<-5> おなじみのメロディーが瞬くように姿を変えてキラキラ輝く変奏曲☆[br]익숙한 멜로디가 순식간에 모습을 바꿔 반짝반짝 빛나는 변주곡☆ || || 작곡가 ||<-4> モーツァルト[br][[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4}}} || {{{#B97A00,#FFAD15 501}}} || {{{#BB1616,#EA4F4F 765}}} || {{{#BB1DB9,#E75FE3 960}}} ||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s-5.3|水上の音楽よりホーンパイプ]] 수상음악 중 혼파이프 ==== ||<#ffebcd,#211f1d> 곡명 ||<-4> '''水上の音楽よりホーンパイプ[br]수상음악 중 혼파이프''' || ||<-5> 王宮の優雅な舟遊びで演奏された華やかな宮廷音楽[br]왕궁의 우아한 뱃놀이에서 연주된 화려한 궁중음악 || || 작곡가 ||<-4> ヘンデル[br][[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헨델]]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27}}} || {{{#B97A00,#FFAD15 536}}} || {{{#BB1616,#EA4F4F 960}}} || {{{#BB1DB9,#E75FE3 1333}}} || ==== [[니벨룽의 반지#s-4.3.2|ワルキューレの騎行]] 발퀴레의 기행 ==== ||<#ffebcd,#211f1d> 곡명 ||<-4> '''ワルキューレの騎行[br]발퀴레의 기행''' || ||<-5> 天翔ける女神たちの歌声は高く響き渡る[br]하늘을 나는 여신들의 노랫소리는 높이 울려 퍼진다 || || 작곡가 ||<-4> ワーグナー[br][[리하르트 바그너|바그너]]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231}}} || {{{#B97A00,#FFAD15 586}}} || {{{#BB1616,#EA4F4F 1294}}} || {{{#BB1DB9,#E75FE3 1637}}} || ==== [[동물의 사육제#s-3.7|動物の謝肉祭より第7曲「水族館」]] 동물의 사육제 제7번 '수족관' ==== ||<#ffebcd,#211f1d> 곡명 ||<-4> '''動物の謝肉祭より第7曲「水族館」[br]동물의 사육제 제7번 '수족관'''' || ||<-5> 神秘的に揺れ動く陽光に誘われて[br]신비롭게 요동치는 햇빛에 이끌려 || || 작곡가 ||<-4> サン=サーンス[br][[카미유 생상스|생상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2}}} || {{{#B97A00,#FFAD15 5}}}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197}}} || {{{#B97A00,#FFAD15 438}}} || {{{#BB1616,#EA4F4F 1208}}} || {{{#BB1DB9,#E75FE3 1708}}} || ==== [[교향곡 제9번(드보르자크)#s-3.4|交響曲第9番"新世界より"第4楽章]]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제4악장 ==== ||<#ffebcd,#211f1d> 곡명 ||<-4> '''交響曲第9番"新世界より"第4楽章[br]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제4악장''' || ||<-4> 蒸気機関車に乗り、この新しい世界を駆け抜けろ!![br]증기기관차를 타고, 이 새로운 세계를 달려라!! || || 작곡가 ||<-4> ドヴォルザーク[br][[안토닌 드보르자크|드보르자크]]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254}}} || {{{#B97A00,#FFAD15 479}}} || {{{#BB1616,#EA4F4F 1142}}} || ==== [[피가로의 결혼#s-2|フィガロの結婚序曲]] 피가로의 결혼 서곡 ==== ||<#ffebcd,#211f1d> 곡명 ||<-4> '''フィガロの結婚序曲[br]피가로의 결혼 서곡''' || ||<-5> モーツァルトが贈る、ドタバタ愛憎劇の幕が開く…![br]모차르트가 선사하는 좌충우돌 애증극의 막이 열린다…! || || 작곡가 ||<-4> モーツァルト[br][[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376}}} || {{{#B97A00,#FFAD15 732}}} || {{{#BB1616,#EA4F4F 1379}}} || {{{#BB1DB9,#E75FE3 1788}}} || [[https://youtu.be/zFifiSwBHdw|Expert 초견 영상]] [[https://youtu.be/1xdgo-pe3wU|Real 초견 영상]] Real 난이도는 처음부터 끝까지 트릴로 밀어붙이는 채보이다. 중반에 등장하는 오른손 데님은 덤. BPM 268의 8비트라는 애매한 속도로 등장하여 굉장히 말리기 쉽다. ==== [[교향곡 제5번(차이콥스키)#s-2.4|交響曲第5番第4楽章]] 교향곡 제5번 제4악장 ==== ||<#ffebcd,#211f1d> 곡명 ||<-3> '''交響曲第5番第4楽章[br]교향곡 제5번 제4악장''' || ||<-4> 苦悩から解放され 運命に打ち勝つ交響曲[br]고뇌에서 해방되어 운명을 이겨내는 교향곡 || || 작곡가 ||<-3> チャイコフスキー[br][[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 || 수록된 버전 ||<-3><#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1}}} || || 노트 수 || {{{#008761,#00CC94 321}}} || {{{#B97A00,#FFAD15 604}}} || {{{#BB1616,#EA4F4F 1331}}} || [[https://youtu.be/95Amt1XgfCg|Expert Pianist 영상]] 4악장의 재현부 Moderato assai e molto maestoso부터 피날레까지의 부분을 수록했다. 연주 중간에 템포가 Presto로 바뀌면서 BPM이 4배가 되며, 연속으로 나오는 오른손 7~6계단이 난관. ==== 交響詩「はげ山の一夜」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 ||<#ffebcd,#211f1d> 곡명 ||<-4> '''交響詩「はげ山の一夜」[br]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 || ||<-5> 夏至の夜に現れる魔物たちの 一夜限りの大騒ぎ[br]하지 밤에 나타나는 마물들의 하룻밤 소동 || || 작곡가 ||<-4> ムソルグスキー[br][[모데스트 무소륵스키|무소륵스키]]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34}}} || {{{#B97A00,#FFAD15 644}}} || {{{#BB1616,#EA4F4F 1527}}} || {{{#BB1DB9,#E75FE3 1909}}} || [[https://youtu.be/uI3b_yEigAk|Expert 풀콤보 영상]] ==== 幻想交響曲第4楽章「断頭台への行進」 환상교향곡 제4악장 '단두대로의 행진' ==== ||<#ffebcd,#211f1d> 곡명 ||<-4> '''幻想交響曲第4楽章「断頭台への行進」[br]환상교향곡 제4악장 '단두대로의 행진' ''' || ||<-5> 朦朧とした意識の中 自らの処刑に立ち会う夢を見ている[br]몽롱한 의식 속 자신의 처형에 입회하는 꿈을 꾸고 있다 || || 작곡가 ||<-4> ベルリオーズ[br][[엑토르 베를리오즈|베를리오즈]]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433}}} || {{{#B97A00,#FFAD15 773}}} || {{{#BB1616,#EA4F4F 1849}}} || {{{#BB1DB9,#E75FE3 2156}}} || === [[노스텔지어 시리즈/MISSION BINGO|MISSION BINGO 해금곡]] === ==== [[왕벌의 비행|熊蜂の飛行]] 왕벌의 비행 ==== ||<#ffebcd,#211f1d> 곡명 ||<-4> '''熊蜂の飛行[br]왕벌의 비행''' || ||<-5> 高速で飛来する熊蜂の羽音を君は弾きこなすことができるか!?[br]고속으로 날아오는 왕벌의 날갯소리를 너는 연주해낼 수 있을까!? || || 작곡가 ||<-4> リムスキー=コルサコフ[br][[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림스키코르사코프]]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3}}} || {{{#B97A00,#FFAD15 8}}}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3}}} || || 노트 수 || {{{#008761,#00CC94 218}}} || {{{#B97A00,#FFAD15 562}}} || {{{#BB1616,#EA4F4F 964}}} || {{{#BB1DB9,#E75FE3 1255}}} || 원래 노스텔지어 코나스테의 2021년 5월 배달곡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아케이드는 미션빙고 해금곡으로 추가. 코나스테에서는 Real 3레벨의 플레이가 불가능하므로 난이도가 해금되었다는 메세지만 뜨고 아케이드 수록시에 플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Expert의 경우 계단이 적절하게 나눠진 패턴이나, 속도가 빨라 정확하게 치기는 어려운 편. Real 난이도는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제1악장, 여름 3악장에 이은 극단적인 계단 채보. 계단의 넓이도 좁아지고 속도가 매우 빨라 긁어서 치기도 힘들다. S랭크까지의 스코어링은 역대급이나 양손을 전부 다 활용하는 발광패턴은 없기 때문에 990k 이상의 스코어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최상급 곡들보다는 나을 것이다. ~~물론 그게 가능하면 KAC에 얼굴을 비췄을 것이다...~~ 난이도 공통으로 노트수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곡의 길이가 상당히 짧고 고속계단 위주의 패턴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체력 소모량이 크다. ==== [[물의 유희|水の戯れ]] 물의 유희 ==== ||<#ffebcd,#211f1d> 곡명 ||<-4> '''水の戯れ[br]물의 유희''' || ||<-5> Dieu fluvial riant de l'eau qui le chatouille.[br]자신을 간지럽히는 물을 보고 웃는 강신. || || 작곡가 ||<-4> ラヴェル[br][[모리스 라벨|라벨]]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1}}}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94}}} || {{{#B97A00,#FFAD15 557}}} || {{{#BB1616,#EA4F4F 898}}} || {{{#BB1DB9,#E75FE3 1078}}} || ==== [[스케르초 2번(쇼팽)|スケルツォ第2番 Op.31]] 스케르초 제2번 Op.31 ==== ||<#ffebcd,#211f1d> 곡명 ||<-4> '''スケルツォ第2番 Op.31[br]스케르초 제2번 Op.31''' || ||<-5> 華々しさと叙情の交錯する諧謔曲の傑作[br]화려함과 서정이 교차하는 해학곡 걸작 || || 작곡가 ||<-4> ショパン[br][[프레데리크 쇼팽|쇼팽]]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7}}} || {{{#BB1616,#EA4F4F 12}}}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301}}} || {{{#B97A00,#FFAD15 659}}} || {{{#BB1616,#EA4F4F 1274}}} || {{{#BB1DB9,#E75FE3 1790}}} || ==== [[랩소디 인 블루|ラプソディ・イン・ブルー]] 랩소디 인 블루 ==== ||<#ffebcd,#211f1d> 곡명 ||<-4> '''ラプソディ・イン・ブルー[br]랩소디 인 블루''' || ||<-5> 摩天楼に鳴り響く クラシックとジャズが融合した狂詩曲[br]마천루에 울려 퍼지는 클래식과 재즈가 융합된 광시곡 || || 작곡가 ||<-4> ガーシュウィン[br][[조지 거슈윈|거슈윈]] || || 수록된 버전 ||<-4><#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노스텔지어 Op.3}}}]] || ||<|2> 난이도 || {{{#008761,#00CC94 '''Normal'''}}} || {{{#B97A00,#FFAD15 '''Hard'''}}} || {{{#BB1616,#EA4F4F '''Expert'''}}} || {{{#BB1DB9,#E75FE3 '''Real'''}}} || || {{{#008761,#00CC94 4}}} || {{{#B97A00,#FFAD15 6}}} || {{{#BB1616,#EA4F4F 10}}} || {{{#BB1DB9,#E75FE3 ◆2}}} || || 노트 수 || {{{#008761,#00CC94 271}}} || {{{#B97A00,#FFAD15 538}}} || {{{#BB1616,#EA4F4F 944}}} || {{{#BB1DB9,#E75FE3 1322}}}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스텔지어/클래식·재즈, version=3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스텔지어 Op.2/클래식·재즈, version=1)] [[분류:노스텔지어 시리즈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