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 군주)] ||<-3> '''{{{#ece5b6 노(魯)나라 27대 국군[br]{{{+1 애공}}}[br] 哀公}}}''' || ||<-2> '''[[성씨|{{{#ece5b6 성}}}]]''' ||<-2> 희(姬) || ||<-2> '''[[본관|{{{#ece5b6 씨}}}]]''' ||<-2> 노(魯) || ||<-2> '''[[휘|{{{#ece5b6 휘}}}]]''' || 장(將) || ||<-2> '''{{{#ece5b6 아버지}}}''' ||<-2> [[노정공]](魯定公) 희송(姬宋)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46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494년 ~ [[기원전 46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나라]]의 제27대 [[군주]]. [[노정공]]의 아들. [[노도공]]의 아버지.[* 노도공 때 가서는 [[삼환]]의 권력이 절정을 찍었다.] 이때 공자가 죽었는데, [[노은공]] 때부터 이때까지의 일을 [[공자]](孔子)와 그 제자들이 [[춘추#s-4춘추]]에 기록해 남겼다. 즉 춘추는 노애공 시대에서 끝이 난다.[* 그래서 춘추의 저자는 근본적으로 공자이나 그 뒤의 일이 기록된 것은 바로 공자의 제자들이 노애공 때까지의 일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 때는 노나라 군주의 힘이 삼환보다 약하지 않았으나 그가 죽고 노도공 때에는 삼환보다 낮아진다.[* 그 원인은 후술.]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 노애공 5년(기원전 490년), [[제경공(26대)|제경공]](齊景公)이 죽었다. 노애공 6년(기원전 489년),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전걸]](田乞)]]이 [[안유자]]를 죽이고 양생을 올리니 그가 바로 [[제도공]]이다. 노애공 7년(기원전 488년), 오왕 [[부차]]는 제나라를 쳐서 증나라에 이르렀다. 그리고 노나라로부터 돼지, 소, 양 등을 300마리를 바쳤다. 계환자의 아들 계강자는 위기감을 느끼고 공자의 제자 자공을 보내 오왕 [[부차]]와 태재 [[백비]]를 설득하게 했으나 실패했다. 노애공 8년(기원전 487년), 오나라가 추나라와 함께 노나라를 치니 노나라에서 회맹을 요청해 부차가 받아들였다. 오나라의 공격은 면했으나 제나라가 노나라를 쳐서 3개 읍을 빼앗았다. 노애공 10년(기원전 485년), 그 복수를 위해 노나라가 제나라 남쪽을 쳤다. 노애공 11년(기원전 484년), 제나라가 노나라를 치자 계강자가 공자의 제자 염유를 등용해 공을 세우니 계씨는 공자를 [[위나라|위(衛)나라]]에서 불러내 등용했다. 노애공 14년(기원전 481년), 제나라의 [[전항|전상(田常)]][* 원래 이름은 전항(田恒)이나 [[한문제]]의 이름인 유항(劉恒)을 피휘해 이것으로도 유명하다. 같은 사례로 [[조운]]의 고향인 상산은 원래 항산이었다.]이 [[제간공]]을 시해하고, [[제평공]]을 세우자 공자가 노애공에게 토벌하자고 했으나 거절되었다.[* 아마 노애공의 뜻이 아닌 삼환씨의 뜻이었을 것이다. 실권이 그들에게 있으니 말이다.] 노애공 15년(기원전 480년), 자복경백을 사신으로, [[자공]]을 부사로 삼아 제나라로 보내니 전상은 노나라로부터 빼앗은 땅을 돌려주었다. 그 이유는 바로 전상이 재상이 되어 제후들의 지지를 얻어 힘을 키워 결국 제나라를 먹을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노애공 16년(기원전 479년), 공자가 죽었다.[* [[자로]]가 죽은 충격 때문이다.] 노애공 22년(기원전 473년), 월왕 [[구천]]이 [[오(춘추시대)|오(吳)나라]]를 멸했다. 노애공 27년(기원전 468년), 계강자가 죽었다. 노애공이 이틈을 타 삼환씨를 제거하려 했다. 월왕 구천의 힘을 빌려 제거하려 했으나 일이 누설되는 바람에 실패하여, 노애공은 위(衛)나라, 추나라, [[월나라]]로 갔다가 다시 노나라로 돌아왔는데, 노애공은 유산씨의 집에서 죽었다. 그리고 그 아들 희녕(姬寧)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노도공(魯悼公)이다. == 후일담 == 노도공이 즉위했을 때 그 권력이 삼환씨만도 못했다. 그런데, 노원공 때 삼환씨의 권력이 약해지더니[* 기록이 적어 그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약간 짐작을 보태보면 삼환이 실정을 저지르거나 혹은 그 자손이 어리석은 짓을 하여, 권력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된게 아닌가 싶다. 아니면 민심이 그들로부터 떠나가거나. 개혁의 여파로 갈려나가거나.] [[노목공]] 대에 이르러 공의휴를 재상으로 삼는 등 권력을 행사할 정도로 삼환이 약해져버렸다. 그러나 노나라는 노목공 때 중흥한 이후로 점점 약해져 소국으로 전락했다가 결국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고열왕]]에게 멸망해 노나라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각주] [[분류:노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46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