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在哲, Jae-chul Roh [[1961년]] [[1월 18일]] ~ ([age(1961-01-18)]세) [목차] == 개요 == 노재철은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前 정당인이다. [[https://www.facebook.com/nohjc2012|노재철 페이스북]] == 생애 == [[1961년]] [[1월 18일]] [[경상남도]] [[진양군]]에서 태어났다. 대온국민학교(14회)[* 이후 진성초등학교 대온분교로 통폐합되었으나, 1995년 3월 1일 폐교되었다. 진성초등학교로는 35회 졸업생이 된다.], 반성중학교(23회), [[진주고등학교]](49회), [[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 2월 [[부산대학교 대학원|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도시정책학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184980|노인의 생활실태조사를 통한 삶의 질의 제고 방안 :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중심으로]](1999. 2).]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2009년 12월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보장법 및 정책 전공으로 [[법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1960807|外國人勤勞者(외국인근로자)의 法的地位(법적지위)와 權利保護(권리보호)에 관한 硏究(연구)]](2009. 12).]를 취득했다. 병역은 [[대한민국 육군|육군]]에서 [[병장]]으로 만기전역했다. 부산대학교 재학 시절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 명장시장 지하실에서 '무궁화야학'을 열어 활동했다. 부산대학교 졸업 후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에 입당했고, [[노무현]] [[국회의원]] 정책보좌관, 위천국가산업단지 저지대책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이후 [[한나라당]]이 창당되자 입당해 [[동래구 갑]]지구당 위원장에 취임했으나 이후 탈당했고, 노무현노동법률상담소에서 실장으로 근무했다. 석사 학위 취득 후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부산광역시 조직위원회 회장을 지냈고, 이후 노무현노동법률상담소 간사, [[선린대학교]] [[겸임교수]], [[APEC]] 부산유치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직속기관|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열린우리당]] 중앙위원 등을 지냈다. 2004년 12월에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사립학교교직원연금관리공단]][* [[사학연금]]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상임감사를 지냈다. 이후 [[호서대학교/학과|호서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사회복지학부]] [[교수]]에 부임했다. == 이래도 동래구의 터줏대감 하지만... == [[영도구]]의 [[김비오]], 중구-동구의 [[이해성(정치인)|이해성]]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출마했지만 [[동래구]]의 보수세에 막혀 낙선을 여러번 했다.[* 송철호는 울산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신한국당]] [[박관용]]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부산광역시 [[동래구청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이규상]]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동래구(선거구)|동래구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박관용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이재웅(정치인)|이재웅]]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새누리당]] [[이진복]]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렇듯 노재철은 제15·16·17·19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 총 5차례 선거에 출마했지만 단 한 번을 제외하면 20% 초반-30% 중반의 득표율로 번번히 낙선했다, 참고로 상대는 신한국당 박관용(15,16)과 이재웅(17), 이진복(19)이였다. --상대가 너무 강했다.-- 이 때문에 20대 총선 이후로 출마 자체를 아예 하지 않았다. 아마 19대 총선 이후 정계와 담을 쌓은 걸로 추정된다. 대신 대학시절부터 선후배관계와 정치적 동지로 이어진 [[조경태]] 의원과의 인연은 현재 동생인 [[노재갑]]의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래구 갑]])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5,876표 (23.67%) ||<|2> 낙선 (2위) ||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동래구청장]]) || [include(틀:무소속)] || 19,847표 (21.73%)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래구(선거구)|동래구]])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5,666표 (13.44%) || 낙선 (3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래구)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8.964표 (36.76%) ||<|2>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래구)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1,231표 (33.10%) || || [[분류:1961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진주시 출신 인물]][[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분류:부산대학교 출신]][[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분류:부산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