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 ---- [include(틀:역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 ||<-2> '''{{{#fff 대한민국 제27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br]{{{+1 노정환}}}[br]盧正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정환(6).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 ||[[경상남도]] [[창녕군]]|| || '''학력''' ||[[경원고등학교(대구)|경원고등학교]] {{{-2 (졸업 / 7회)}}}[br][[경찰대학]] {{{-2 (학사 / 6기)}}}[br][[한양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박사)}}} || || '''현직''' ||변호사 || || '''약력''' ||제36회 [[사법시험]] 합격[br]제26기 [[사법연수원]] 수료[br][[주 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법무협력관[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외사부 부장검사[br][[수원지방검찰청]] 형사3부 부장검사[br][[서울북부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br][[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장[br][[인천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br][[대전고등검찰청]] 차장검사[br][[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br][[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br][[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br][[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법조인)|검사]]이자 현직 변호사. == 생애 == 1967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대구광역시]]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경원고등학교(대구)|대구 경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찰대학]] 법학과(6기)에 수석으로 입학하여 1990년 졸업하였으나, 1992년 파출소장을 마지막으로 퇴직하고 사법시험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1994년 제36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6기. 1997년에 연수원을 수료하고 [[검사(법조인)|검사]]에 지원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검사로 재직하며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중앙지검 특수3부, 주중대사관 법무협력관, 서울중앙지검 외사부장, 수원지검 및 북부지검 형사부장, 창원지검 통영지청장, 인천지검 제2차장을 거쳤다. 공안, 특수, 외사, 기획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3년 울산지검 재직시 [[증인보호 프로그램]], 피해자대기실 및 조사실, 범죄피해자전담관 등 범죄피해자지원제도를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시행함으로써 이듬해 [[범죄피해자 보호법]] 제정을 거쳐 오늘날의 범죄피해자지원제도가 정착됨에 있어 큰 기여를 하였다.(범죄피해자지원센터 15년사, 도서출판 동강) 2003-2004년 중국 북경정법대학 방문학자 과정을 수료하고, 2007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 7월,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대전고등검찰청]] 차장검사로 영전하였다. 2020년 1월에는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으로 전보되었고, 4월에는 인권부장을 겸직하게 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발령받아, [[정정순]] 의원 구속수사 및 [[F-35 도입 반대 운동 간첩 개입 사건]]을 지휘하였다. 2021년 6월,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전보되어 [[월성 원전 감사 논란]] 관련 사건을 지휘하였다. 2022년 6월 검찰 인사에서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이동하여 중대재해처벌법 해설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https://viewer.moj.go.kr/skin/doc.html?rs=/result/bbs/182&fn=temp_1655883371496100|검찰 인사 보도자료]], [[https://viewer.moj.go.kr/skin/doc.html?rs=/result/bbs/182&fn=temp_1655883371563100|인사이동 내역]]] 2023년 8월 24일, 검찰 내부망(이프로스)에 사직 글을 올렸다. [[https://www.lawtimes.co.kr/news/190616|#]] 이후 검찰에서 퇴직하였다. 2023년 10월, 변호사로 개업하였다. == 여담 == * '''[[경찰대학]] 출신 첫 번째 검사장'''으로 우리나라 형사소송법 외에도 중국법 관련 논문과 서적을 다수 발표하였다. * 논문으로 구속전피의자심문제도에 관한 연구(석사), 한중 피의자 인신구속제도에 관한 연구(박사), 수사절차독립성론, 현행 압수수색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수사조건론, 진술거부권의 내용 및 고지, 현행 피의자신문제도의 문제점 고찰, 수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법적 지위, 중대산업재해치사상죄에 대한 실무적 고찰 등 다수 논문을 발표하였다. * 주요 저서로는 중국대륙의 심장으로 들어가다(2005. 나무와숲), 검찰제도론(2011. 공저. 법문사), 사례로 풀어보는 중국법(2012. 공저. 주중대사관), 번역서로 중국민법(2007. 삼성경제연구소), 중국노동법(2008. 삼성경제연구소) 등이 있다. [[분류:1967년 출생]][[분류:창녕군 출신 인물]][[분류:검사장]][[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경원고등학교(대구) 출신]][[분류:경찰대학 출신]][[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