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魯豊 == [[박정희]]정부 시절 개발된 [[통일미]]계 [[벼]]의 품종이다. [[박정희]] 정부 시절 쌀증산정책을 펴며 연구하던 중 개발되었다. 이름은 1977년 박정희가 농림수산부에 새로운 벼품종에 연구한 사람의 이름을 붙일것을 지시하여 익산(당시 이리)의 호남작물시험장장 박노풍의 이름을 땄다. 당시 1단보(300평, 10아르와 비슷)에 450kg의 벼가 생산이 됐는데 노풍벼는 750kg이나 생산이 되었다. 이 수치는 오늘날의 벼품종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보급 이전에는 이리 327호라고 불렀다. 1978년 하필이면 보급된해에 바로 도열병이 격발하여 피해가 있었다. 한편 같은 통일계품종으로 영남작물시험장에서 개발된 밀양29호는 시험장장 박래경의 이름을 따 내경벼로 1977년 보급되었는데 1978년 통일계 벼의 [[도열병]] 피해에 내경벼도 노풍벼에 버금가는 피해를 내어, 연구자·과학자에 명예를 주려던 박정희의 계획대신 희대의 불명예를 안겼다. 노풍 파동은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당시 호남작물시험장장이던 박노풍씨는 이리327호(노풍벼)가 도열병에 약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시험재배를 먼저 할 것을 상급기관에 건의하였으나 묵살되었다고 밝혔다. 참고로 박정희가 사망한 다음해인 1980년에는 농민들이 도열병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였는데 하필 냉해에 취약한 관계로 역사상 최악의 흉작을 보게 되었다. == [[盧]]風 == [include(틀:노무현)]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 [[노무현]]의 [[지지율]]이 폭등한 현상을 가리킨 말이다. 16대 대선 당시 제1야당인 [[한나라당]]의 [[이회창]]이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었고,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서는 확실한 대항마가 없는 상태였다. 그나마 지지율이 가장 높던 [[이인제]]도 이회창과 가상대결 여론조사를 해 보면 지는 걸로 나왔다. 그런데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 선출 경선이 시작된 후, [[노무현]] vs 이회창 양자 구도에서 노무현의 지지율이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결과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 이회창을 이길 사람은 [[노무현]] 뿐이라는 심리가 작용함과 동시에 경선 과정에서 [[노사모]]가 급성장하며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등 노무현 돌풍을 일으켜 PK출신인 노무현이 광주에서의 압도적 1위를 시작으로 호남에서 승리를 거두는 파란을 일으켰고, 유력 경선 후보였던 [[이인제]]를 경선에서 누르고 대권후보가 되었다. 때마침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월드컵]]과 거리응원 열풍은 젊은층의 적극적 사회참여를 부추겼고 [[대한축구협회]] 회장 [[정몽준]]이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노무현과 후보단일화를 하면서]] 노풍은 월드컵 열기까지 흡수하였다. 정몽준이 대선 전날 단일화 파기를 선언하는 등 곡절도 있었으나 온라인을 통한 빠른 이슈전파와 투표독려 활동으로 결국 노무현을 대통령에 당선되게 만들었다. 즉 노풍을 있게 한 주요 3요소는 '''민주당 지지층의 [[전략적 투표]]+월드컵 열풍+온라인 공론장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노무현의 대통령 당선은 [[민주당계 정당]]의 정체성을 크게 바꾼 계기가 되었다. [[동교동계]]를 위시한 기존의 민주당과 확연히 다른 색깔을 지닌 노무현의 부상은 [[새천년민주당]]의 분당과 [[열린우리당]]의 창당으로 이어졌고, 장기간의 이합집산과 내홍 끝에 결국 민주당계 정당의 주도권을 친노의 사실상의 후신인 [[친문]]이 가져가는 데에 성공하게 되며, 이후 [[문재인]]의 대통령 당선으로 이들은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는다. 한편 생애 첫 투표를 [[16대 대선]]에서 노무현에게 한 20대들은 15년 뒤 [[19대 대선]]에서도 대부분 [[문재인]]의 든든한 지지 기반이 되어 주었으며, 이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의 원흉이 MB와 검찰이라고 간주, 민주당의 콘크리트 지지층을 이루고 강성 반MB, 반검찰 의식을 갖고 있다. == 路風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106권, 성종 10년 7월 15일에 나오는 단어으로 "聞此'''路風'''濤險惡"으로 " 풍파(風濤)가 험악(險惡)하고" 으로 쓰였다.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007015_004|#]]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