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 군주)] |||||| '''{{{#ece5b6 노(魯)나라 13대 국군[br]{{{+1 혜공}}}[br] 惠公}}}'''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노(魯) || |||| '''[[휘|{{{#ece5b6 휘}}}]]''' || 불녈(弗涅), 불황(弗湟) || |||| '''{{{#ece5b6 아버지}}}''' || [[노효공]](魯孝公) 희칭(姬稱) || |||| '''{{{#ece5b6 아내}}}''' || 성자(聲子)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723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68년 ~ 기원전 7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나라]]의 13대 [[군주]]. 노효공의 아들. [[노은공]], [[노환공]]의 아버지. 휘는 불황(姬弗湟). == 생애 == === [[춘추]]의 기록[* 정확히는 좌전의 내용이다.] === [[주평왕]] 연간에 [[진문공(영성)|진문공]]이 천자의 예로 천제에게 제사를 지내자 그걸 핑계로 노혜공은 주 평왕에게 천제에게 제사 지내게 해달라고 했으나 주 평왕은 그것을 들어주지 않았다. 이에 노혜공은 분노하여, 멋대로 시행해버렸다. 이때, 주 천자는 마땅히 그것을 벌하거나 문책해야 했으나 동천으로 인해 힘과 권위가 떨어져 막을 수 없었다고 한다. === [[사기(역사책)|사기]]의 기록 === 노혜공은 아버지 노 효공이 재위 27년 만에 죽고 그 뒤를 이었다. 노혜공 30년(기원전 739년), [[진소후]]의 신하인 반보(潘父)가 진 소후를 살해하고 [[곡옥환숙]]을 끌어들였으나 진나라 사람들이 그것에 불복하여 들고 일어나 실패하여 곡옥 환숙은 내쫓기고 반보는 처형되었다. 노혜공 45년(기원전 724년), [[곡옥장백]]이 [[진효후]]를 살해했다. 노혜공 46년(기원전 723년), 노혜공이 죽고 서장자 희식고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노은공이다. 은공 원년부터 [[춘추#s-4|춘추]]의 기록이 시작된다. === 아들의 탄생 스토리 === 노은공은 본디 천한 첩인 성자(聲子)의 아들이다. 노은공이 장성하여 원래 [[송무공]]의 딸과 결혼하기로 되어있었다. 그런데, 노혜공은 송무공의 딸의 미모에 반해 빼앗아 차지한 뒤 아들을 낳으니 그가 바로 훗날 노환공이 될 희궤다. [각주] [[분류:노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72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