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조선))] || [[파일:농사직설.png|width=100%]] || || '''농사직설''' || [목차] [clearfix] == 개요 == {{{+1 [[農]][[事]][[直]][[說]]}}} [[조선시대]]에 발간된 농서. [[세종(조선)|세종]]의 왕명으로 정초가 편찬하여 세종 11년([[1429년|1429]]) 간행. == 배경 == 정초, [[변효문]] 등이 왕명을 받아서 1책으로 편찬하였다. 당시 [[조선]]에는 [[1286년]] [[원나라]]에서 편찬한 [[농상집요]]와 같은 [[중국]]의 농서가 전부였고, [[24절기]]도 중국 [[화북]] 지방을 기준으로 되어 있어 [[농민]]들이 불편을 겪었기 때문에 우리 실정에 맞는 농서가 필요했다. 따라서 농사직설을 편찬하여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사기술을 수록하였다. 전국의 우수한 [[농사꾼]]들의 경험을 직접 지방관리들이 모아 편찬했다. [[여말선초]]에 쓰였던 중국의 [[농상집요]]에 수록된 농법은 화북식 농법을 바탕으로 하는, 밭농사와 조농사 중심의 농법이었다. 게다가 화북식 밭은 이랑이 좁고 높으며, 이랑과 고랑을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하지만 당시 [[고려]]와 [[조선]]의 밭은 이랑이 넓고 낮으며, 고랑과 구분이 미미하였다. 또한 조선에 와서 농법은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논]]농사, 즉 [[벼]]농사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농상집요]]의 농법을 조선의 풍토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조선에 맞는 농서를 편찬하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였다. == 내용 == 논밭갈이에 관한 내용과 종자의 선택과 저장법에 관한 내용 [[삼(식물)|삼(麻)]], [[벼]], [[기장(식물)|기장]]·[[조(식물)|조]]·[[수수]], [[피(식물)|피]], [[콩]]·[[팥]]·[[녹두]], [[보리]]·[[밀]], [[참깨]], [[메밀]]에 재배법에 관한 내용 총 10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뒤에는 밭작물의 파종법과 [[벼]]의 파종법, 경작방식에 관해 나온다. 조선 후기에야 성행했던 [[모내기]]법도 소개는 되어있다. 다만 모내기법은 상당한 저수량을 필요로 했기에 [[가뭄]]이 들면 망하는 농사법이었으므로 수리시설이 부족했던 조선 전기의 상황에 비롯하여 농사직설에서는 권장하지 않았다. (권장하지 않는 수준을 넘어, 조선 전기에는 모내기를 시도하는 것을 '''처벌'''했었다는 말도 있다.) == 의의와 한계 == 조선 초에 발간된 농서로 우리 실정에 맞게 내용을 꾸렸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실 농사직설에는 [[맹점]]이 존재했다. 농사직설은 삼남지방의 농법을 조사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농서였고, 권농관이 이를 토대로 농법을 농민에게 보급할 때, 북방지역에는 불만과 저항이 있었다. 그 이유는 농사직설을 편찬할 당시 조선의 농법은 남방식과 북방식으로 서로 달랐다.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이룬 남방식 농법은 한정된 집약적인 토지에 노동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방법이었고, 북방식 농법은 [[인구밀도]]가 적은 북방을 중심으로 한정된 노동력으로 많은 토지를 활용하는 방법이었다. 그래서 농사직설의 농법은 북방 현실에 맞지 않았기에, [[조선왕조실록]], 특히 [[세종실록]]에 [[함길도]][* [[함경도]]의 조선전기 명칭]와 [[평안도]]에 농사직설의 농법을 보급하기가 어려움이 여실히 나온다. 이후 개정과 증보를 거듭하여 여러가지 내용이 추가되었고 [[조선시대]]에 나오는 여러 농서에 영향을 주었다. == 시험 문제에서 == 농서의 3단 테크인 [[농상집요]]([[고려시대]] 후기)-농사직설(조선 전기)-[[농가집성]](조선 후기) 테크의 중간에 있어 [[국사]]를 공부하는 학생은 무조건 알아야 한다. 농상집요와 달리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게 서술되었다는 것이 포인트. 농사직설은 농민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종 시기 때 편찬된 대표적인 것으로 보기 1개를 차지하는 용도로 출제되며 오답형으로는 조선 전기 때 편찬된 농사직설을 조선 후기나 다른 왕 때 편찬됐다고 종종 출제된다. 편찬자도 구별해야 하는데 농상집요는 이암[* 편찬자가 아니라 원으로부터 들여온 사람], 농사직설은 정초, 농가집성은 신속이다. == 기타 == 농사 짓는 게임인 [[천수의 사쿠나히메]]가 나오면서 뜬금없이 주목받기도 했다. 작중 농사의 진행이 현대적인 농법과는 거리가 멀고 관련 용어나 농법 등이 전근대시기의 농법으로 되어있었기 때문. [[분류:조선(15세기)]][[분류:조선의 도서]][[분류:세종(조선)]][[분류:농업]][[분류:15세기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