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腦]][[下]][[垂]][[體]][* 뇌 아래 있는 장기] / Pituitary Gland}}} [[뇌]]의 바로 아래 터어키안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시상하부]], 솔방울샘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췌장]], 생식샘 등과 함께 대표적인 내분비샘이다. === 상세 === [[뇌]]의 바로 아래의 약 1cm 크기의 콩 모양으로 위로는 시신경, 옆으로는 해면정맥동과 동안신경, 활차신경 등 [[눈(신체)|안구]]를 움직이는 신경이 위치하고 있다. 인체에 필요한 모든 호르몬 분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 각 부위와 기능 == 뇌하수체는 각각 전엽, 중엽, 후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부위마다 분비하는 호르몬의 종류가 다르다. === 뇌하수체 전엽 === 뇌하수체 전엽은 신경조직이 아닌, [[상피조직]]에서 유래한 분비샘이다. * [[프로락틴]](PRL) * 갑상샘자극호르몬(TSH, 타이로트로핀) * 프로오피오멜라노코틴(Proopiomelanocortin, POMC) *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코르티코트로핀) * [[엔도르핀]] * 엔케팔린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 * [[성장호르몬]](GH, 소마토트로핀) * 여포자극호르몬(FSH) * 황체형성호르몬(LH) === 뇌하수체 중엽 ===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 뇌하수체 후엽 === 뇌하수체 후엽에서 방출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에서 만들어지며, 뇌하수체 후엽의 축삭말단에 저장되었다가 방출된다. * [[옥시토신]] * [[항이뇨 호르몬]]([[바소프레신]], [[ADH]]) == 질병 == 호르몬 분비기능이 약해지는 '뇌하수체 기능저하증'과 호르몬의 분비기능이 과도하게 강해지는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그리고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는 [[뇌하수체 종양]]이 있다. 또한 뇌하수체가 퇴화되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임의적으로 호르몬을 투여할경우 남성호르몬을 잘못 투여하면 성기능이 퇴화되면서 뇌하수체 또한 퇴화되어 사라질 수도 있다. 희귀질병으로 뇌하수체가 퇴화되어 사라지기도 한다. 이 경우 남성호르몬과 성장호르몬을 주기적으로 주사로 투여하며 갑상선호르몬과 부신호르몬을 경구투여한다. 또한 일반적인 사람과 달리 수명이 조금 짧다고 알려져 있다. 거기다가 피로회복이 더디며 늘 피곤하고 현재로는 병원비가 남성호르몬은 v코드 산재보험적용이 되지 않는다. [각주] [[분류:뇌]][[분류:내분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