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필드 마법]] [[유희왕]]의 필드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누메론)]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329px-NumeronNetwork-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누메론 네트워크'''|| || 일어판 명칭 ||'''ヌメロン・ネットワーク'''|| || 영어판 명칭 ||'''Numeron Network'''|| ||<-2> 필드 마법 || ||<-2>상대의 드로우 페이즈시에 자신 필드 위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발동할 수 있다. 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덱의 "누메론" 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을 선택하고, 그 카드의 효과를 얻는다. 그 후, 선택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누메론"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유희왕 ZEXAL]]에서 [[돈 사우전드]]가 사용. [[미자엘]]과의 듀얼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당시 듀얼 시작부터 발동된 상태였다. 그대로 패 소비 하나 없이 필드 마법이 발동된 유리한 상태에서 시작해서, 누메론 리라이팅 매직으로 미자엘을 자멸시켰다. 돈 사우전드 vs 유마 & 낫슈와의 듀얼 시작에서도 처음부터 발동된 상태로 시작한다.[* 다만 돈 사우전드의 패 수를 자세히 보면 5장이라 이 카드의 효과를 설명하지 않은 채 슬그머니 1번째 효과를 사용해 발동했을 가능성도 있다.] 지구 전체를 흡수해 누메론 코드의 힘을 사용하는 중추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인지 필드 마법임에도 필드에도 존재하지 않은 채 지구 안쪽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파괴되면 힘이 역류해 인간 세계가 파괴되어 버리기 때문에 가만히 당할 수도 없앨 수도 없던 상황이었으나 엘리파스가 대신 희생하며 파괴를 막을 수 있었고 이후 낫슈의 뎁스 이럽션에 의해 파괴되었다. 효과가 상당히 특이한데, 필드 마법 주제에 스펠 스피드 2의 카드 복사 효과를 가지고 있다. 사실상 1턴에 1번 덱에서 카드를 발동하는 거나 마찬가지인 엄청난 물건. 이러한 충격적인 성능 덕분에 [[엘리파스]]의 연속 샤이닝 드로우와 거의 동급으로 시청자들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다만 실적으로 따지면 방어 면에서는 묘하게 약하기도 하다. 효과의 발동 조건이 '''필드에 다른 카드가 없는 것이므로''' 공격은 아예 못 하고 방어는 이 카드 혼자서 해내야 한다. 거기에 상대가 시작하자마자 카드를 2장 이상 써서 이 카드를 파괴한다면 그대로 상황 종료. 또한 복사 효과는 1턴에 1번만 발동 가능하기 때문에, 본편에서도 [[낫슈]]가 이 맹점을 찔러 돈 사우전드가 봄 샤크 & [[아쿠아 제트]] 콤보를 먼저 막게 만든 뒤 바로 [[RUM-더 세븐스 원]]으로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를 소환해 맹공을 가했다. 유희왕의 날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보스듀얼|보스 듀얼]] 이벤트 버전은 더 사기인데 누메론 카드뿐만 아니라 '''모든 마법 / 함정이 가능하다!''' 거기에 1턴에 2번 파괴 무효 효과도 있고 1턴에 1번같은 발동 제한도 없어 대량으로 마법 / 함정 발동까지 가능한 막장 성능.[* 그러나 보스듀얼에서 보스 캐릭터의 덱은 정해져 있으니 사실 원작과 얼추 비슷하다.] === OCG === [[파일:ヌメロン・ネットワー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누메론 네트워크, 일어판명칭=ヌメロン・ネットワーク, 영어판명칭=Numeron Network, 필드=,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누메론" 일반 마법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마법 카드 발동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누메론" 엑시즈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지 않으며 발동할 수도 있다.)] 너무나도 사기적인 효과 때문에 어떻게 나올지 말이 많았지만 [[컬렉터즈 팩|컬렉션 팩 2020]]으로 드디어 OCG화되었다.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누메론 월에게 옮겨가고, 자신에 턴에만 ①의 효과를 쓸 수 있는 대신 덱에서도 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누메론 카드를 복사하는 효과는 발동이 아니라 적용이 되었으며, 자신 턴 메인 페이즈에 1번, 발동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일반 마법[* 현재 이 조건에 해당할 수 있는 카드는 [[누메론 다이렉트]], [[RUM-누메론 포스]], [[RDM-누메론 폴]], [[누메론 카오스 리츄얼]], 누메론 스톰으로 총 5장.]으로 한정되었다. 단, 이 효과 때문에 오히려 [[유령토끼]]에 의해 견제당할 수 있다. 대신 누메론 엑시즈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발동하는 효과를 소재 없이도 발동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는 그대로. 원작에선 서로 마주치지도 못했으나, [[게이트 오브 누메론]]뿐만 아니라 [[No.100 누메론 드래곤]]도 이 효과를 받기 때문에 소재가 다 떨어진 뒤에도 고랭크 엑시즈 몬스터를 잘 유지하면 계속 공격력을 폭등시킬 수 있다. [[돈 사우전드]]가 사용한 누메론 리라이팅 시리즈가 워낙 특이한 효과인 데다, "카드를 고쳐 썼다(書き換えた)"는 인상적인 대사까지 더해져서 상당한 인기와 기대를 끌고 있던 카드라 리라이팅 시리즈의 원작 재현이 불가능해진 점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가 많다.[* 누메론 시리즈의 발매가 확정되자 리라이팅 엑시즈로 소환된 [[간바라 나이트]]가 노멀 레어로 재록되지 않겠냐는 추측 겸 농담이 돌 정도.] 다만 필드 마법과 카운터 함정의 스펠 스피드 차이 문제로 인해 원작대로 리라이팅 카드를 OCG화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라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었을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コレクションパック 2020]] || CP20-JP026 || [[슈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컬렉션 팩]] 2020 || CP20-KR026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누메론(유희왕), version=183)] == 관련 카드 == === [[CNo.1 게이트 오브 카오스 누메론-시뉴니아]] === === [[누메론 월]] === === [[누메론 다이렉트]] === === [[누메론 카오스 리츄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