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라의 고분문화, rd1=고분문화, paragraph1=4)] [include(틀:신라의 고총 고분군)] ||[[파일:1626384.jpg|width=100%]]|| || 누암리 고분군 전경[* 출처: [[문화재청]] [[https://m.cha.go.kr/mobileApp/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ccbaKdcd=13&ccbaAsno=04630000&ccbaCtcd=33®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Cncl=&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cbaLcto=&ccbaGcode=&ccbaBcode=&ccbaMcode=&culPageNo=1&returnUrl=&ccbaCpno=1333304630000&tabGubun=img|홈페이지]]] ||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463호}}}''' || || {{{+1 {{{#fff '''충주 누암리 고분군'''}}}}}} {{{-1 {{{#fff 忠州 樓岩里 古墳群}}}}}} {{{-1 {{{#fff }}}}}}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41 외 일원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 || '''{{{#fff 면적}}}''' || 56,305㎡ || || '''{{{#fff 지정연도}}}''' || 2005년 3월 25일 || || '''{{{#fff 제작시기}}}''' || 6세기 중엽 이후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41, 너비=360)]}}}}}}}}} || [목차] == 개요 == 樓岩里 古墳群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일대에 위치한 [[신라]]의 고분군이다. 2005년에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463호로 지정되었다. 최근에는 [[누암리 고분군]]으로 불리고 있지만, 옛날에는 루암리 고분군이라고도 표기하였으며 지금도 몇몇 표지판에는 여전히 루암리 고분군으로 되어 있다. == 조사 내용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 루암리 고분군, 높이=224px, 너비=100%)]|| 누암리 고분군은 [[경상도]] 밖에서 가장 밀집도가 높게 형성된 [[신라]]의 고분군이다. 1992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지표 및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누암리 고분군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고분들이 석실(石室)이라는 점은 이 고분군의 중심연대가 6세기 즈음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6~7세기를 중심으로하는 고분군이라는 점에서 충주 [[9주 5소경|중원경(중원소경)]]과 관련이 있는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석실을 위시한 늦은 시기의 부장품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서 출토 [[신라토기]]의 기종은 짧아진 형태의 중 고배인 단각고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장경호류의 경우에도 부가구연장경호[* 또는 이중구연장경호라고도 한다.]라고 불리는 각진 아가리를 갖는 장경호가 같이 부장되는 등 아주 전형적인 6세기 이후의 토기유물군이 확인되고 있다. 더 늦은 시기의 유물로는 인화문토기도 확인되고 있다. [[파일:누암리형 대금구, 이한상 사본.jpg]] 5세기 대의 화려한 금, 금동, 은 재질로 만든 삼엽문(三葉紋) 대금구 패용문화에서 6세기 중엽부터는 위의 도면처럼 비교적 단촐한 장식성을 갖는 소위 누암리형 대금구로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관등제와 복식체계의 정비와 불교적 영향으로 화장 및 박장(薄葬)이 실시되기 때문에 정형화되고 간소화된 장식의 대금구가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의 도면과 같은 버클형태를 이 누암리 고분군에서 확인된 것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소위 누암리형 대금구라고 부른다. 정형화된 누암리형 대금구가 유행을 지나면서 7세기 이후부터는 점차 [[황룡사]]형 대금구로 유행이 변화한다. 이러한 신라의 대금구의 큰 변천을 보면 원삼국시대의 곡봉형 대금구에서 출발하여 진식대금구 - 삼엽문형 대금구 - 누암리형 대금구([[♡|역심엽형]] 대금구) - [[황룡사]]형 대금구([[당나라|당식]] 대금구) 로 변화한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충주_누암리_고분군|한국어 위키백과: 충주 누암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1384&cid=46619&categoryId=4661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충주누암리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4831&cid=51896&categoryId=53983|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충주 누암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7953&cid=43065&categoryId=43065|고고학사전: 누암리 고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915&cid=42840&categoryId=42853|답사여행의 길잡이 12 - 충북: 중원(충주) 누암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3712&cid=40942&categoryId=33541|두산백과: 충주 누암리 고분군]] == 사적 제46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4630000,33&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충주 누암리 고분군 (忠州 樓岩里 古墳群)]] >신라말기에 조성된 이 고분군은 신라 진흥왕이 충주지방까지 그 영역을 확대한 후 중원소경을 설치하고자 귀척(貴戚)들을 이주시켜 한강유적을 경영하고자 하였던 사실을 증명하는 유적으로서, 누암리 일대에만 230여기의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 >발굴된 26기의 고분 가운데 주류를 이루는 것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이고 앞트기식돌덧널무덤(橫口式 石槨墳) 2기, 소형의 구덩식돌덧널무덤(竪穴式 石槨墓) 3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외방무덤(單室墳)임이 확인되었다. > >출토된 유물로는 짧은굽다리접시, 바리, 합, 항아리 등의 후기신라양식 토기류와 쇠손칼(鐵刀子), 덩이쇠(鐵鋌) 등의 철기루, 청동제띠끝장식(靑銅制帶端金具丘), 금동제귀고리 등의 장신구류, 가락바퀴(紡錘車) 등의 토제품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충청북도 충주시의 문화재)] [[분류:고분]][[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충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