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477_f00_s0.png|width=40]] 0477 [[야느와르몽]] || [[파일:icon0478_f00_s0.png|width=40]] '''0478 {{{#000,#fff 눈여아}}}''' || [[파일:icon0479_f00_s0.png|width=40]] 0479 [[로토무]]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호연도감 목록|{{{#ffffff 호연도감(ORAS)}}}]]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180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181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63MS.png]] 182 [[데굴레오]]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신오도감 목록|{{{#ffffff 신오도감}}}]]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207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208 {{{#000,#fff 눈여아}}}''' || [[파일:359새2박스아이콘.png]] 209 [[앱솔]]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알로라도감 목록|{{{#ffffff 알로라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썬·문|SM]]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247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248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15MS.png]] 249 [[포푸니]]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울트라썬·울트라문|USUM]]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324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325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15MS.png]] 326 [[포푸니]]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080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081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43MS.png]] 082 [[오뚝군]]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왕관설원도감(DLC)|왕관설원]]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026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027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15MS.png]] 028 [[포푸니]] || ||<-3> [[히스이도감|{{{#FFFFFF 히스이도감}}}]] || || [[파일:362스위치아이콘.png]] 206 [[얼음귀신]] || [[파일:478스위치아이콘.png]] '''207 {{{#000,#fff 눈여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08MS.png]] 208 [[두개도스]]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362MS.png|width=40]] 358 [[얼음귀신]] || [[파일:478MS.png|width=40]] '''359 눈여아''' || [[파일:615MS.png|width=40]] 360 [[프리지오]]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북신도감(DLC)|북신]] || || [[파일:362MS.png|width=40]] 173 [[얼음귀신]] || [[파일:478MS.png|width=40]] '''174 눈여아''' || [[파일:602MS.png|width=40]] 175 [[저리어]]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478 눈여아.png|width=50%]] || || 눈여아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478_f00_s0.png|width=40]][br]'''눈여아''' [br] ユキメノコ(유키메노코) [br] Froslass || 전국: 0478[br]호연: 181^^ORAS^^[br]신오: 208^^Pt^^[br]알로라: 248^^SM^^ / 325^^USUM^^[br]가라르: 081^^본토^^ / 027^^왕관설원^^[br]히스이: 207[br]팔데아: 359^^본토^^ / 174^^북신^^ || [include(틀:얼음타입)][br][include(틀:고스트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ㄴ#눈숨기|눈숨기]] || 날씨가 [[싸라기눈(포켓몬스터)|싸라기눈]], [[설경]]일 때 회피율이 1랭크 오른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저주받은바디|저주받은바디]] || 공격당하면 상대방이 30%의 확률로 [[사슬묶기]]에 걸린다.[* 접촉기에만 발동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기술이든 피격당하면 발동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6>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478 눈여아 || [[설국]] 포켓몬 || 1.3m || 26.6kg || 7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암컷: 100% || 요정, 광물 || 20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6dd3f5><-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6dd3f5><|2> {{{#FFFFFF 진화}}} ||<|2>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snorunt.gif]] [br]0361 [[눈꼬마]] || 레벨 42[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glalie.gif]] [br]0362 [[얼음귀신]] || || [[파일:각성의돌.png|width=24]] 각성의돌(암컷 한정)[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froslass.gif]] [br]0478 눈여아 || [anchor(앵커-방어 상성)] ||<-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악타입)] ||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478_f00_s0.png|width=40]][br]눈여아 || 70 || 80 || 70 || 80 || 70 || 110 || 48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478_f00_s0.png|width=40]][br]{{{#FFFFFF 눈여아}}}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478_f00_s0.png|width=40]][br]{{{#ffffff 0478 눈여아}}} || || 디아루가/펄기아/BDSP ||<|3>마이너스 50도의 냉기를 뿜어 상대를 얼려버린다. [[낚시(인터넷 용어)|몸통 같은 부분은 실제로는 빈 공간이다.]][* 이 몸통 같은 부분을 빼고 보면 전체적으로 얼음귀신과 생김새가 닮아있다. 특히 뿔 한 쌍과 이마의 마름모 구멍.]|| || X || || 오메가루비 || || 기라티나 ||<|3>마이너스[* 바이올렛 한정 영하.] 50도의 숨결을 뿜어서 얼린 먹이를 비밀장소에 장식해둔다고 전해진다.|| || BW/BW2 || || 바이올렛 || || HGSS ||<|3>설산에서 조난당한 여성이 다시 태어난 것이라고 하는 전설이 눈이 많은 토지에 남아있다.|| || Y || || 알파사파이어 || || 썬 ||<|2>[[루자미네|마음에 든 인간과 포켓몬을 냉기로 얼린다음 보금자리에 가져가서 장식한다.]]|| || 스칼렛 || || 문 ||설산에서 조난당한 여성의 영혼이 고드름에 옮겨붙었다. 남성의 영혼을 좋아한다.|| || 울트라썬 ||설산에 등산 온 남자를 얼려버려 집으로 가지고 간다. 미남만 노린다.|| || 울트라문 ||<|2>심하게 눈보라 치는 밤에 사람이 사는 마을에 내려온다고 한다. 노크해도 문을 열어줘선 안 된다.|| || 포켓몬 GO || || 소드 ||설산에서 죽은 여자의 원념에서 태어난 포켓몬. 얼린 영혼을 즐겨 먹는다.|| || 실드 ||마이너스 50도의 냉기를 뿜어 먹이를 얼린 뒤 거처로 가져가서 가지런히 나열한다.|| || PLA ||원한을 품고 설산으로 사라진 여인의 혼이 깃든 포켓몬.[br]품행이 나쁜 남자를 저주해 죽인다는 오싹한 전승이 있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4세대에서 대거 추가된 기존 포켓몬들의 새로운 진화형 중 하나로, [[얼음귀신]]으로만 진화하던 [[눈꼬마]]에게 주어진 암컷만 존재하는 포켓몬이다. 모티브는 [[유키온나|설녀]]로, 일본풍 전통 의상을 입은 듯한 수려한 디자인이 특징. 성능은 중간 정도지만 네임드 NPC들의 엔트리로 자주 등장하는 포켓몬. Pt에서는 얼음 타입 체육관 관장 [[무청(포켓몬스터)|무청]]이 앞의 눈설왕이 설치한 싸라기눈으로 특성 눈숨기를 발동시키고 회피율을 더 올리는 악랄한 전술로 유명했다. HG/SS에서는 2차전의 [[류옹]]이 기용하는데, [[헤롱헤롱]]으로 운켓몬을 걸어오므로 가능하면 암컷 포켓몬으로 상대할 수 있도록 하자. B/W에서는 리그 2차전에서 고스트 타입 사천왕 [[망초(포켓몬스터)|망초]]의 멤버로 등장. XY는 건너뛰고 OR/AS에서는 얼음 타입 사천왕 [[미혜]]가, 썬/문에서는 고스트 타입 사천왕 [[아세로라]]가 사용한다. 소드/실드에선 [[올리브(포켓몬스터)|올리브]]가 사용한다. 전국도감 기준으로 0461번 [[포푸니라]]부터 0478번 눈여아까지는 전부 이전 세대 포켓몬의 새로운 진화 형태의 포켓몬들이다. == 스토리 == ||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Pt, ORAS, SM, USUM, SwSh, BDSP || || {{{#ffffff 포지션}}} ||매우 높은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고속 특수 어태커 || || {{{#ffffff 장점}}} ||다양한 견제기와 변화기 보유, 높은 스피드, 돌 진화 시스템의 개편으로 부담없는 조기진화 가능(8세대) || || {{{#ffffff 단점}}} ||애매한 화력, 많은 약점, 부실한 내구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저주의부적, 녹지않는얼음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나무킹, 번치코, 대짱이, 토대부기, 초염몽, 엠페르트, 어흥염, 누리레느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냉동빔(필수)/섀도볼(필수)/10만볼트/사이코키네시스 || || {{{#ffffff 포획지[* 단,눈여아 자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야생으로 나오지 않고,이 목록에 있는 방법들은 모두 눈꼬마 포획 방법이다. 8세대에서는 와일드에리어에서는 출현하지 않았으나, 왕관설원 업데이트 이후로 야생으로 포획 가능하게 되었다.] }}} ||[[여울의 동굴]](호연지방)[br][[216번도로]], [[217번도로]], [[예지호수 근처]][* DP 한정 포켓트레 필요.], 예지호수[* PT 한정](신오지방)[br][[라나키라마운틴]], 카푸마을(알로라지방)[br]와일드에리어 터검니호 서부, 동부(눈 날씨 한정)(가라르지방) || 추천 기술배치는 자속 고화력기인 섀도볼/냉동빔을 필수로 넣고 추가로 다양한 적의 약점을 찌르기 위한 사이코키네시스/10만볼트를 쓰는 것. 특수공격이 썩 높지 않기 때문에 화력이 낮은 기술을 넣으면 정말로 대미지가 안 나온다. 사실 눈여아는 공격/특공 모두 80인 썩 좋지 않은 밸런스식 분배가 되어 있어, 굳이 특수공격기를 쓰는 것도 이쪽이 그나마 기술 화력이 세서 그런 것이다. 그것도 자속 90짜리 냉동빔이 한계. 4세대 포켓몬이지만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DP시리즈]]에서는 전국도감을 획득한 뒤에나 등장해서 사용 불가.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Pt]]에서는 후반부에 [[눈꼬마]]와 각성의돌을 입수할 수 있어, [[포푸니라]]처럼 고스핏 드래곤 슬레이어로 키우면 된다. 화력으로 보나 기술로 보나 포푸니라가 훨씬 뛰어나기는 하지만, 자력기가 더 우수하고 진화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것이 장점. 섀도볼도 210번 도로에서 입수 가능. 59레벨에 배우는 길동무까지 채용해서 귀찮은 상대를 빠르게 뚫을 수도 있다. 자속 얼음 타입의 존재는 상당히 커서, [[태홍]]만 해도 [[돈크로우]], [[크로뱃]]을 일격에 뚫고 10만볼트가 있다면 갸라도스까지 처리할 수 있다. 확정적인 스피드 추월과 화력 보완을 위해 레벨 노가다가 조금 필요하니 주의. 사천왕의 경우 [[메깅]]을 제외한 [[들국화(포켓몬스터)|들국화]]의 엔트리를 편하게 격파할 수 있으며, [[오엽]]도 동탁군을 제외하면 간단한 상대 뿐이다. 무엇보다 최강의 상대인 난천의 한카리아스 상대로 선공을 잡을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포켓몬으로, 자속 냉동빔으로 한카리아스를 돌파하면 그 뒤는 간단하다. 다만 유리한 상대가 아니면 내구나 상성이나 매우 부실하므로 얌전히 뺄 것. 6세대 ORAS에서도 스토리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각성의돌 입수는 기본적으로 리그 입성 직전이라 상당히 늦지만, 슈퍼트레이닝을 적극적으로 플레이하면 스토리 진행과 무관하게 빠른 시점에 얻을 수 있다. 기술머신도 구하기 힘든 버전이지만, 6세대다운 편한 레벨업 덕분에 큰 문제 없이 육성이 가능하다. 7세대에는 카푸마을에서 눈꼬마를 잡을 수 있지만, 이쪽도 돌 입수가 문제. 포켓리조트를 꾸준히 돌리자. 8세대에서는 와일드에리어 터검니호 서부, 동부 모두 눈이 내리면 눈꼬마를 얻을 수 있고 구멍파기 형제에게서 각성의 돌을 얻으면 눈여아로 조기진화가 가능하다. 진화 하자마자 [[병상첨병]]을 배우며 [[눈싸라기]] - [[얼어붙은바람]] - [[얼음숨결]] -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 기술레코드 필요.]순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면 자속기는 문제없다. 또는 왕관설원 설중 계곡에서 고정 심볼로 눈여아가 등장한다. 쫓아오려는 [[얼음귀신]]과는 반대로 플레이어에게 우호적인데, 도감설명처럼 희생양을 유혹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BDSP에서는 봉신마을 진입 후 [[지하대동굴]]에서 눈꼬마를 포획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얼음 포켓몬 자체가 맘모꾸리 계열을 제외하면 느린 편이긴 하니 스토리에서 기용은 충분히 고려할만하다. LA에서도 후반 필드인 순백 동토에서 등장한다. 일반 출현은 밤에만 나오는데 확률이 극도로 낮어서 눈꼬마에게 각성의돌을 주거나 우두머리를 노리는 편이 낫다. === 번외 === 데뷔작인 DP부터 전국도감 이후에나 포획이 가능해 1회차부터 운용하려면 전국도감을 해금한 다 DP 소프트웨어나 216번 도로에 진입한 PT 작품군과 교환해야 한다. 각성의돌은 그냥 처음부터 사용해 진화시킨채로 보내거나, 같이 보내서 얼음엄니를 배우는 레벨에 진화시켜서 잠깨움뺨치기까지 습득시키는 것도 좋다. 강석은 꼬마돌과 롱스톤이 특방이 낮고 얼음에 약점을 찔려 두개도스 상대로만 교체를 하면 좋지만, 1타에 끝내지 못하면 이쪽이 당한다. 유채는 상성 상 유리하고, 자두는 격투 기술을 무효로 받긴 하지만 근육몬의 암석봉인과 루카리오의 메탈크로우가 꽤 아프다. 맥실러는 번개라도 가르쳐두면 갸라도스와 플로젤은 어찌저찌 상대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갸라도스의 물기와 플로젤의 따라가때리기에 치명타를 입는다. 멜리사는 죽창 싸움이고, 동관은 타입 상성부터 밀린다. 이후는 pt와 비슷하다. HGSS의 경우 비상전, 호일전에서 상당히 유리하지만, 꼭두의 경우 밀탱크의 구르기에 약점을 찔리는데다 짓밟기도 배짱 특성 때문에 무효로 받지 못한다. 유빈전의 경우 죽창 싸움인데, 사전에 미리 섀도볼이나 섀도크루를 가르쳐두지 않은 한 불리한 편이다. 사도의 경우 유리한 편이고, 규리전에서는 많이 불리하다. 류옹전은 전기기술을 사전에 가르쳐두지 않았다면 쥬쥬와 쥬레곤을 처리하기가 다소 성가시다. 메꾸리는 1배 싸움이라 무난한 편. 이향전의 경우, 신뇽 2마리는 얼음 기술로 처리하고, 갸라도스는 전기 기술을 가르쳐뒀다면 편한데, 킹드라가 성가시다. == 포획 == [[얼음귀신]] 참조. == 대전 == 종족치 합은 얼음귀신과 동일. 특징을 보자면, 얼음귀신보다 스피드가 30 높은 대신 HP, 방어, 특방이 10 낮아서 얼음귀신과 종족값 자체는 같은데, 속도는 110으로 자속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을 쓸 수 있는 포켓몬 중에서는 [[개굴닌자]] 다음으로 높지만 공격/특공이 동등하게 80이고, 둘 모두 높은 수치는 아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그다지 좋은 종족치를 가진 포켓몬은 아니다. 게다가 동일한 공격형 기배와 130이라는 우월한 특공 종족치를 가지고 있는 [[팬텀(포켓몬스터)|팬텀]]이라는 1세대부터 쭈욱 내려온 [[사기 포켓몬]]이 버티고 있기 때문에 스위퍼로서의 기용은 조금 애매하다. 팬텀보단 약간 튼튼하지만, 얼음 타입이 섞인 탓에 약점이 늘어나서 따지고 보면 오십보백보. 깔짝/보조형으로 나가볼려고 해도 방어쪽 종족치도 높지 않고 약점도 은근히 많아서 애매하다. 대신 [[압정뿌리기]], [[트릭(포켓몬스터)|트릭]] 및 고스트 타입 특유의 다양한 보조기를 배울 수 있고 고스트 타입이라서 [[고속스핀]]을 무시하면서 압정을 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얼음이라는 방어면에서 잉여한 타입의[* 강철, 불꽃, 바위, 격투라는 메이저한 공격 타입들에게 아주 크게 털린다.] 큰 약점 중 하나인 격투를 고스트 타입이 커버해 주는 점은 큰 메리트. 특성인 눈숨기도 반짝가루를 쥐어주고 싸라기눈을 뿌려준 다음 [[그림자분신]]을 써주면 단숨에 회피율이 3랭크가 올라간다. 눈팟에선 팬텀 비슷하게[* 똑같이 겁쟁이일 시 눈여아의 [[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가 팬텀의 [[섀도볼]]보다 약간 화력이 높다.] 굴릴 수도 있으니 눈팟이 좋다면 취향껏 써먹어보자. 덕분에 이유로 일반팟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눈팟에서 주로 기용되는 녀석이다. 무엇보다 고스트 타입이라 눈팟의 약점 중 하나인 격투 포켓몬의 견제용으로 기용되곤 한다. 대부분의 격투 포켓몬이 가지고 있는 [[스톤에지]]에 두 배인 점이 걸리지만, [[길동무]]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해 격투 포켓몬과 함께 동반자살 하는 것만으로도 눈 파티에는 크게 기여하게 된다. 얼음의 약점인 격투, 강철, 바위, 불꽃 중에서 가장 까다로운건 격투와 바위니까.[* 불꽃은 [[씨카이저]]나 [[라프라스]] 같은 물 타입이 있는 복합타입이 견제할 수 있고 [[맘모꾸리]]의 지진으로도 견제할 수 있다. 강철 또한 마찬가지.] 똑같은 특성인 [[글레이시아]]는 공격과 방어가 눈여아보다 강하고, 속도는 눈여아보다 한참 느리다. 덤으로 글레이시아는 기술폭도 좁으니 각자 일장일단이 있는 셈.[* 글레이시아에게 없고 눈여아에게 있는 서브웨폰으로 [[사이코키네시스]], [[10만볼트]], [[번개(포켓몬스터)|번개]], [[웨더볼]] 정도가 있다.] 같은 포지션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닮은 점이 없다는 것이 특이하다. 다만 눈여아에게는 일격기가 없다. 일단 [[절대영도(포켓몬스터)|절대영도]]는 다른 버전인 얼음귀신만 보유하고 있고, 눈꼬마 이전에 배울 수도 없는데다 이 일격기는 유전시킬 방법도 전혀 없어서 일격기 얻겠다고 무작정 레벨업을 시키면 뼈빠지게 고생한다.[* 사실 얘가 절대영도를 배우면 [[프리지오]]가 암울해진다. 스피드도 이쪽이 5 빠른데, 특수내구는 좀 부실하지만 물리내구는 비교도 안 되게 높다. 물론 프리지오가 낮은 거지만. 따라서 얘가 절영 배우면 프리지오는 나락으로 떨어진다. 망나뇽한테 안 털린다는 장점도 있고.] 참고로 얼음귀신이 절대영도를 배울 레벨에 눈여아는 길동무를 배운다. 눈팟이건 눈팟이 아니건 멀티스케일 [[망나뇽]] 사냥이 적합하다. 기본적으로 고스트 타입이기 때문에 [[신속(포켓몬스터)|신속]]은 무효이며[* 이를 고려한 망나뇽은 간혹 [[아쿠아제트]]를 배워 두기도 한다.], 눈팟이 아니라면 기띠를 넣어줘 냉동빔으로 쓰러뜨리려 할 것이다. 눈팟이면 눈보라를 쓰거나 대타출동 등으로 회피할 수 있다. OR/AS에서 얼음귀신이 메가진화를 얻었음에도 눈여아는 이렇다할 상향이 없다. 얼음귀신은 배우는 [[프리즈드라이]]도 못 배운다. 그 대신 자력기로 추가된 기술은 [[드레인키스]]다. 같은 각성의 돌로 진화하는 [[엘레이드]]가 메가진화를 얻었기 때문에 눈여아에게도 가능성은 있었지만 7세대 들어서 제작진이 메가진화를 팽해버리고 Z기술을 들여오면서 신규 메가진화의 꿈도 멀어졌다. 현재 화력을 담당하는 종족값이 80밖에 안 되고, 화력을 올려주는 특성조차 없기 때문에 치명적이기에 좋은 특성과 적절한 종족값 분배를 가진 메가진화가 절실한 상황. 현재는 공격 상성으로 어떻게 차별화 자체는 가능하지만 좋다고 보기는 힘들다. 차라리 특공과 같은 공격 80의 종족값을 특공과 스핏에 더 몰아줬었다면 4세대 당시의 한카리아스처럼 쓰기 어려운 특성은 그냥 무시하고 일반 파티의 고속 스위퍼로 활약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얼음타입이 섞여 있었기 때문에 그동안 배우지 못했던 [[도깨비불#s-3]]을 7세대에서 배울 수 있게 되어 폼체인지한 [[로토무#s-5.3|프로스트로토무]]와 [[큐레무#s-3.2.3|화이트큐레무]]을 제외하면 가라르 불비달마와 더불어 몇 안되는 얼음 타입 불꽃 타입 기술 사용자가 되었다. 하지만 길동무가 연속 사용 시 무조건 실패하도록 하향되어 눈여아 역시 약간의 타격을 입었다. 소드ㆍ실드에서 존재 가능한 포켓몬 중 하나. 더불어 [[다이맥스]]를 사용 시 80이라는 부족한 특공 수치를 고위력기로 바꿔 메워줄 수 있다. 하지만 이건 다른 포켓몬들도 가능한 전술이며, 오히려 다른 포켓몬들이 상향평준화되고 기상천외한 버프를 받아 기세등등한 와중에 눈여아는 나아진 게 거의 없어 전망이 좋지 않다. 이후 8세대 DLC인 [[갑옷의 외딴섬]]에서 특이한 방향으로 상향을 받았는데, 상황은 한정적이지만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위력을 낼 수 있는 자속 물리기로 [[폴터가이스트#s-5]]와 [[트리플악셀]]을 동시에 받았기 때문에 물리형도 활로가 트였다. 물리 쪽으로 강화된 만큼 자속 선공기인 [[얼음뭉치]]도 활용하기 편해졌다. 공격 종족치 자체는 상향을 받지 않았고, 칼춤도 여전히 배울 수 없어서 어태커로서의 활용은 여전히 쉽지 않지만 기존의 특수형보다는 그나마 조건부로 위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약점을 찌르는 포켓몬들을 확실히 잡아낼 수 있으며 부족한 화력을 [[얼어붙은바람]], [[도깨비불]], [[전기자석파]], [[빛의장막]], [[리플렉터]], [[신비의부적]], [[애교부리기]], [[거짓울음]], [[사이드체인지]] 등으로 보강하여 서포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형태도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눈여아만이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콤보가 하나있는데, 바로 길동무 + [[눈사태(포켓몬스터)|눈사태]] 콤보. 눈여아보다 느린 상대에게 선공 길동무을 걸고 바로 쓰러지지 않았을 경우, 다음 턴 눈사태를 사용해서 길동무 상태 해제를 노린 상대가 선공하도록 유도해 억지로 끌고 가는 전략이다. 주로 기점형 눈여아들이 사용하는 편.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어둠/하늘 탐험대에서는 2부 스토리 이후에서 습득 가능하며, 진화 전인 눈꼬마는 눈보라 섬, 크레바스 동굴, 사태 산, 눈여아나 [[얼음귀신]]은 큰 수정 길에서 동료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레바스 동굴'의 보스로 등장하며, 실종된 탐험가 [[핫삼]]을 얼린 장본인으로 등장한다. 타입이 타입이고, 능력치도 시원찮은 편이라 화력전으로 나간다면 상대하기는 어렵지 않다. 여기에서는 격투도 통하기 때문에 물리방어가 취약하므로 격투 타입 기술로도 쉽게 보낼 수 있다.[* 참고로 탐험대에서의 무효는 1/4로 처리되기 때문에, 눈여아는 실질적으로 격투에 1/2의 피해를 받는다.] 다만 회피형 전술 + [[괴상한바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빨리 처리하지 못하면 공격이 계속 빗나가기만 해서 짜증을 불러일으킨다. 거기다 괴상한바람으로 능력치가 올라갈 수도 있으니 유의. 이기면 ~~비명을 지르며~~ 사라진다. [[밀탱크]]처럼 처음에 신속하게 못 죽이면 짜증을 유발한다. 사건 해결 뒤 불러오기 화면에는 왠지 눈여아가 아닌 [[핫삼]]의 아이콘이 들어와 있다. 성능은 [[지능스킬]] 그룹이 A. 다재다능, 컬렉터, 공간 파악, 관통 던지기 같은 좋은 스킬들이 있어서 나쁘진 않다. 무엇보다 고스트타입 중 유일하게 컬렉터를 얻는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하지만 고스트타입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육체가 존재하기 때문인지 이동타입이 통과형이 아닌 공중형이라는 게 아쉽다. 그 대신 기술폭이 좋은 편이기 때문에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방 전체 공격기 괴상한바람, 눈싸라기, 눈보라 등, 필중기 전격파, 같은 파티원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는 2칸 공격기 얼음뭉치, 견제기로 쓸만한 잠깨움뺨치기 등... 동료로 만들어서 말을 걸어 보면 [[비퀸]]이나 [[가디안]]처럼 고풍스러운 극존칭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포켓몬스터 DP]] 116화에서 눈꼬마와 함께 사는 야생 눈여아가 등장. 초반에 [[로켓단 삼인방]]을 환영으로 속여[* 본인이 사는 동굴을 따뜻한 오두막집으로, 차가운 빙수를 따뜻한 스프로 보이게 만들었다. 그리고 따뜻한 목욕물을 내와서 포켓몬이 그 안에 들어가면 바로 얼려 인질로 잡는다.] [[나옹]]을 인질로 붙잡고 로사와 로이에게 눈꼬마를 찾아오라고 시켰으며, 뒤이어 [[한지우]] 일행에게도 같은 짓을 하여 [[팽도리]]를 인질로 삼아 같은 일을 시킨다. 이렇게까지 한 이유는 눈꼬마를 찾아와주겠다는 인간[* 눈꼬마를 잡아가려던 포켓몬 사냥꾼이다. 소유 포켓몬은 --하필--얼음귀신. 기술배치는 [[파괴광선]]/[[째려보기]]/[[방어(포켓몬스터)|방어]]/[[자이로볼]]]에게 속아 붙잡힐 뻔한 적이 있어서 인간을 믿을 수 없게 되어서였다. 물론 본인도 눈꼬마가 소중한 친구이고 인질로 잡은 나옹과 팽도리가 각자 로켓단과 지우 일행에게 소중한 친구인 걸 알기에 눈꼬마가 무사히 돌아온 후, 나옹과 팽도리를 풀어주면서 이 점에 대해 사과했다. 한편 로켓단은 [[배은망덕|이 둘이 방심하는 틈에 잡아가려다가]] 미끄러운 눈길에 발이 미끄러지는 바람에(...) [[인과응보|다 같이 거대한 눈덩이가 되에 절벽 아래로 굴러떨어진다.]] 뭔 일이 일어났나 하고 의아해하는 지우 일행과 눈여아는 덤. 해당 에피소드의 눈여아의 사용기술은 [[냉동빔]]/[[사이코키네시스]]/[[섀도볼]] 이후 신오리그 8강전에서 [[진철]]의 포켓몬으로도 나온다. [[싸라기눈(포켓몬스터)|싸라기눈]]을 시전하고는 눈숨기 특성을 이용해 지우의 [[피카츄(한지우)|피카츄]]를 농락했으며, 그 틈에 [[얼음뭉치]]를 날리는 속공 전술을 보였으나 피카츄가 [[볼트태클]]로 얼음뭉치를 뚫어버리면서 [[아이언테일]]로 머리를 내리치자 싸라기눈이 멈춰버렸다. 이후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으로 대항하는가 싶었지만 결국 이를 버텨낸 피카츄[* 참고로 피카츄는 이미 기선과의 시합에서 '''[[레지아이스]]'''의 냉동빔을 뚫고 나온 전적이 있었다.]의 [[볼트태클]]을 맞고 리타이어.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썬&문]] 117화에서는 [[말리에시티]]에서 가게의 [[웨이트리스]]로 일하는 여러 개체가 등장했다. 말리에시티 전체가 일본풍이어서 기모노 차림의 눈여아가 나오는 듯 하다.[* 또한 눈여아가 자체적으로 설녀를 모티브로 하기도 했으니.] == [[Pokémon GO]] == ||<-99><#68f2b6> '''478 눈여아''' || ||<-12> [[파일:pokemongo_478.png]] || ||<#CEFBC9><|3><-2> 명칭 ||<#CEFBC9> 한국어 ||<-9> 눈여아 || ||<#CEFBC9> 일본어 ||<-9> ユキメノコ || ||<#CEFBC9> 영어 ||<-9> Froslass || ||<#CEFBC9><-2> 분류 ||<-4> 설귀 포켓몬 ||<#CEFBC9><-2> 타입 ||<-4> [include(틀:얼음타입)][include(틀:고스트타입)] || ||<#CEFBC9><-2> 몸무게 ||<-4> 26.6 kg ||<#CEFBC9><-2> 키 ||<-4> 1.3 m || ||<#CEFBC9><-2> 설명 ||<-10><(> 심하게 눈보라 치는 밤에 사람이 사는 마을에 내려온다고 한다. 노크해도 문을 열어줘선 안 된다. || ||<#CEFBC9><-2> 진화 ||<-10> 눈꼬마(암컷) → 눈여아(100+신오의돌) || ||<#CEFBC9><|2> 기술 ||<#CEFBC9> 일반 ||<-10> * [include(틀:얼음타입)] [[눈싸라기]] (6) * [include(틀:고스트타입)] [[병상첨병]] (10) || ||<#CEFBC9> 특수 ||<-10> * [include(틀:얼음타입)] [[눈사태]] (2차징, 90) * [include(틀:고스트타입)] [[섀도볼]] (2차징, 100) * [include(틀:악타입)] [[깨물어부수기]] (3차징, 70) || ||<-2><|2> 종족치 ||<-3> 공격 ||<-3> 방어 ||<-4> 체력 || ||<-3> 171 ||<-3> 150 ||<-4> 172 || ||<|2> 전투력 || - ||<-2> 리서치 ||<-3> 알/레이드 ||<-2> 레이드+날씨 ||<-3> 최대 Lv || ||<#CEFBC9> CP ||<-2> 826 ~ 874 ||<-3> 1102 ~ 1166 ||<-2> 1377 ~ 1457 ||<-3> 2306 || ||<|2><-2> 획득 방법 ||<-2> 필드 ||<-3> 리서치 ||<-2> 알 ||<-3> 레이드 || ||<-2> O ||<-3> X ||<-2> X ||<-3> X || ||<-2><#CEFBC9> 포획률 ||<-10> 20% || ||<-2><#CEFBC9> 색이 다른 포켓몬 ||<-2> 있음 ||<-8><#fff> [[파일:pokemongo_478s.png|width=160px]] || 4세대 업데이트 이후, 눈여아가 추가되었다. 원작을 반영하여 [[엘레이드]]와 마찬가지로 성별 조건이 있다. 암컷 눈꼬마에게 눈꼬마 사탕 100개와 신오의돌 1개를 소모하여 눈여아로 진화시킬 수 있다. 레이드에서 사용하지 않으나 pvp에서는 눈싸라기, 깨물어부수기, 섀도볼 등의 우수한 기술들을 갖추고 있어 간간히 보이는 포켓몬이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적으로 낮은 종족치가 발목을 잡아서 메이저픽은 아니다. == 기타 == 성별이 100% 암컷이라는 것과 기모노를 입은 것 같은 디자인, 아름다운 외모 덕에 동인계에서 인기가 많다. 여담이지만 처음 봤을때는 머리에 쓴 흰 두건(?)의 모양새 때문에 톱니모양의 입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애니메이션 속에서나 [[포켓파를레]]를 할때 자세히 보면 아름다운 외모에 어울리는 조그만한 입을 가지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그래도 눈꼬마 계열이라 그 작은 입으로 깨물어부수기를 쓴다는 점에서 네타거리가 되기도 하는 편. 4세대 DPPt에서 [[선단시티]]로 올라가는 [[217번도로]]의 민가에 저주받은 부적을 주고 사라지는 여성 NPC가 있는데, 폭설이 내리는 주변 환경 때문에 이 여성의 정체가 눈여아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7세대부터 풍선을 단 눈여아는 모든 일격기에 면역이다. 고스트 타입으로 뿔드릴과 가위자르기 면역, 얼음타입으로 절대온도 면역, 풍선으로 땅가르기 면역이다. [[포켓파를레]]에서는 머리 위에 수정을 만지면 손이 얼어붙는다. 만지면 싫어하는 부위는 양팔로 도도하게 왜 만지냐는 듯한 자세를 취하는데 꽤 귀엽다. 등장할 때의 울음소리 이후에는 [[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가 부는 듯한 울음소리가 빠진다. 울트라썬에서 눈여아 도감 설명에 '''미남만 노린다'''는 문장 때문에 농담이 오가기도 한다. 가령 드립 식으로 '밤길이 위험할 것 같다'라는 식으로.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선 이벤트로 등장한 눈여아를 쓰러트리면 가지고 있던 일기를 볼 수 있는데, 내용이 일부 훼손되어 있지만 대략 [[설녀]] 설화 내용 그대로 눈여아와 결혼한 사람의 이야기로 추정된다.[* 뒷부분의 내용을 언뜻 보면 남자가 눈여아를 잊고 다른 여자와 결혼한 이후 우연히 눈여아의 존재를 안 아내가 남자에게 혐오감을 느껴 떠난 내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뒷부분의 아내가 눈만 남겨놓은 채 사라졌다는 내용이 앞부분의 모습과 너무 흡사한데다, 그 일기를 갖고 있는 게 하필이면 설녀 포켓몬인 눈여아라는 점에서 조금만 생각해 본다면 아내와 눈여아가 동일인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찢어진 일기를 마을의 존재조차 알음알음 전해지는 수준으로 오랜 세월이 흐른 작중 시점에서도 갖고 있는 걸 보면 서로 어지간히 사랑했던 듯 하다. [include(틀:2020 포켓몬 데이 총선거 신오)] 2020 POTY 총선거에서 신오 부문 23위를 기록했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478 눈여아 dex.png|width=50%]] || || '''눈여아''' || [각주] [[분류:4세대 포켓몬]][[분류:두 종류 이상 진화하는 포켓몬]][[분류:얼음타입 포켓몬]][[분류:고스트타입 포켓몬]][[분류:암컷만 있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