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카트의 R시리즈 버전, rd1=뉴 코튼-R)]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뉴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코튼 시리즈)] [목차] || [[파일:뉴코튼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파일:뉴 코튼-R 트랜스폼.gif]]|| || 트랜스폼 || > '''카트의 새로운 시대!''' > '''뉴코튼으로 "새로움"에 도전해 보십시오.''' == 개요 == 2013년 4월 18일 출시된 '''뉴 엔진 최초'''의 카트바디. [[코튼 SR]] 이후 코튼 시리즈의 두번째 전성기로 평가받는다.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뉴 코튼 || || '''획득 방법''' ||<(>일반 합성, 카트 기어 조각, 뉴 엔진 카트 카드 || === 중국 === || '''카트 명칭''' ||<(>New棉花糖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대만 === || '''카트 명칭''' ||<(>舒適HT+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여기에 카트 명칭과 획득 방법에 대한 서술을 해 주세요.]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750 || 성능 || 성능 || || '''가속력''' || 755 || 성능 || 성능 || || '''코너링''' || 1075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시간''' || 840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충전량''' || 600 || 성능 || 성능 || ||<-4> '''속도''' || || '''직선 속도''' ||<-3> 속도km/h || || '''부스터 속도''' ||<-3> 속도km/h || || '''출발 부스터''' ||<-3> 속도km/h || || '''헤어핀 감속''' ||<-3> 속도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중 / 하 || || '''접지력''' ||<-3> 상 / 중 / 하 || || '''몸싸움''' ||<-3> 상 / 중 / 하 || || '''무게중심''' ||<-3> 앞 / 중간 / 뒤 || 뉴 코튼의 경우 출시 당시 '''카트라이더 역사에 손꼽히는 사기 성능'''을 자랑했다. 말 그대로 모든 스피드전의 밸런스를 부숴먹었다. 출시 직후의 당시 성능은 전세대 엔진 최강 차량인 [[세이버 HT]] 풀파츠 및 출탈변 333[* 출발부스터 지속시간 +3, 드리프트 탈출력 +3, 변신부스터 가속력 +3. 당시 플로터 강화 중 최고로 꼽히는 옵션이었다.]을 '''순정''' 뉴 코튼이 쉽게 이길 수 있는 수준이었다. 순정이 이정도인데, 출탈변 333 강화를 거친 뉴 코튼이나 미리 플로터 강화가 되어 있는 상태로 출시된 뉴 코튼 강화형[* 특히 레어 플로터 강화형인 Black, 그중에서도 Black-H형.]들은 어땠을지 말할 필요도 없다. 덕분에 이전 엔진이었던 HT엔진의 대장차들은 뉴 코튼 출시 및 빌드 정립과 동시에 모조리 폐차당하고 뉴 코튼이 스피드전을 지배하게 된다. 거기에 주행 메타까지 완전히 바꿔놓았다. 전 세대인 HT엔진에 비해 엄청나게 높아진 드리프트 탈출력[* 드리프트 탈출력이 무려 '''105'''였다. 현재 단위로 변환 시 1050. '''X 레전드 바퀴 10, V1 레어 바퀴 5'''에 해당하는 수치다.], 코너가속 덕분에 살짝 최적화만 치고 드리프트를 유지만 해줘도 톡톡이 구사가 굉장히 쉬워진데다 계속 끌어주면 직선 속도를 뛰어넘는 엄청난 가속력이 나오면서 이전에는 톡톡이를 사용하지 않았던, 심지어는 유턴 코너에서까지 톡톡이를 구사하기 시작했다. '''[[톡톡이]]'''를 대중화하는데 일조한 것이다. 뉴 코튼의 사기적인 성능과 동시에 다른 라인업 카트바디들이 전부 부진했던 것도 뉴 코튼의 독주에 일조했다. [[뉴 버스트]]는 보통 5대 시리즈 중 2번째로 나오던 것이 솔리드에게 출시 순서에서 밀린데다 심각하리만치 구린 성능으로 인해 '''버레기'''라는 멸칭이 붙었고[* 물론 이전에도 버스트 시리즈의 평가가 좋았던 적은 없었지만, 아예 쓰레기로 낙인찍힌 것은 뉴 엔진 때였다. 그리고 이 버레기 딱지는 [[버스트 V1]]까지 가서야 간신히 떨쳐낼 수 있었다.], [[뉴 솔리드]]는 의외로 준수한 성능으로 출시되어 SR때부터 생긴 흙수저차이자 막자차라는 인식을 어느 정도 탈피하긴 했으나 다른 라인업들도 잠깐이나마 루찌로 판매되었다 보니 루찌차라 접근성이 좋다는 솔리드만의 장점이 희석되어 큰 주목을 못 받았으며, [[뉴 마라톤]]은 좋은 평가를 받아 시리즈 역사상 첫 전성기를 맞았다지만 이것도 당시엔 코튼에 묻혀 저평가받다가 뉴 코튼이 몰락하고 나서야 재발견된 것이다.[* [[뉴 세이버]]와 5대 시리즈 외의 준 정규 라인업인 로디(로디 알베르),플라즈마(뉴 플라즈마 F)의 경우 뉴 코튼의 몰락 이후에 출시되었기에 경쟁 대상이 아니었다.] 뉴 코튼과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플라즈마 HTF는 좋은 게충과 EXT 특유의 주행감으로 준수한 평가를 받긴 했으나 뉴 코튼을 밀어낼 수준은 아니었다. 그나마 [[벌쳐(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벌쳐]]가 사기적인 성능으로 대장 자리를 다투긴 했으나, 이쪽은 다른 스펙은 뉴 코튼을 능가했지만 낮은 안정성과 약한 몸싸움 때문에 멀티에서는 선호도가 낮았다. 게다가 당시 [[김진수]] 팀장이 뽑기 카트바디를 최대한 줄인 덕에 전성기가 매우 길었다. 하지만 뉴 코튼의 전성기는 '1212 패치'라고도 불리는 [[카트라이더 2014]] 패치로 벌쳐와 사이좋게 떡너프를 맞고 관짝으로 처박히며 끝나게 된다. == 파생형 == === 일반 플로터 강화형 === 일반 플로터 강화가 되어 있는 파생형. 외형은 대기실에서 플로터가 뜨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 뉴 코튼과 동일하다. * 뉴 코튼 S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3'''의 S 타입 강화 2종이 기본 장착된 형태. 리그에서 사용되었다. * 뉴 코튼 B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게이지 충전량 +3'''의 B 타입 강화 2종이 기본 장착된 형태. === 뉴 코튼 Black === 검은색 고정도색+성능 개량이 된 파생형. 전부 뽑기로만 출시되었다. 다른 기본 5대 시리즈(솔리드,버스트, 마라톤)의 Black 파생형은 레어 플로터 강화가 되어 있는 S,B,H형만 출시되었지만, 뉴 코튼의 경우 플로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뉴 코튼 Black이 기본형이다. ==== 레어 플로터 강화형 ==== * 뉴 코튼 Black-S Black-S[* S 타입 강화 3종 기본 장착 -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3, 최고속도 +2]강화가 적용된 형태. * 뉴 코튼 Black-B Black-B[* B 타입 강화 3종 기본 장착 -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게이지 충전량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2] 강화가 적용된 형태. * 뉴 코튼 Black-H Black-H[* H 타입 강화 3종 기본 장착 -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드리프트 탈출력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2] 강화가 적용된 형태. === 뉴 코튼 Orange === 이름대로 주황색 고정도색이었다. 일반 뉴 코튼과 달리 출시 초기부터 상점에서 루찌로 판매되었으며, 플로터 강화가 불가능했다. * 뉴 코튼 Orange * 뉴 코튼 Orange B * 뉴 코튼 Orange S === 뉴 코튼 N === === 뉴 코튼 P === [[파일:중카뉴코튼P.gif]] [youtube(KFMu-wC6D-s)] PC방 전용 카트.색상은 보라색 고정도색이 되어 있었으며, S형과 B형 두가지[* 각각 P-S, P-B.]가 존재했다. 현재는 구할 수 없다.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도 출시된 바 있다. === 뉴 코튼 White-C === 드리프트 탈출력 +3,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2, 변신 부스터 가속도 +2의 C 타입 강화 3종이 기본 장착된 형태. 이름대로 흰색 고정도색이었다. === 뉴 골든 코튼 === 중국에서는 플로터 강화형으로 S,B,H형 역시 출시되었다. === 뉴 코튼 9 === 9주년 기념으로 출시 된 뉴 코튼의 파생형이다. 이름 때문에 JIU엔진으로 착각할 수 있다. === 뉴 코튼 Blue === [[파일:중카뉴코튼블루.gif]] 해외 서버 한정 모델.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출시되었으며, 다른 뉴 코튼 파생형들과 마찬가지로 플로터 강화형으로 S,B,형도 존재했다. 대만 서버에서는 플로터 강화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 뉴 코튼 Red === 중국 서버에서 국경절 기념으로 출시한 뉴 코튼의 파생형. == 탑승 선수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 로얄]]에서 뉴 코튼 S가 리그 카트바디로 선정된 바 있다.두 경기 모두 스위퍼 포지션 선수들이 탑승했다.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기준 || * CJ 레이싱: 노종환 * E-Rain: [[조성제]], 김성록 * Team 106: 홍석현(IA) * 인제스피디움: 한주성 * SL 모터스포츠: 김강산(IA) *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이은택]](IA) * 팀 챔피언스: 신현준(IA) * Motortime: [[박천원]](IA) 시즌 제로에서는 이미 뉴 코튼 너프 이후라 특출난 장점이 없기에 큰 두각을 보이진 못했다. 대신 조작이 쉽다는 점 때문에 4인 팀전에서 스피드 주행 실력이 부족한 아이템 에이스 선수들이 주로 탑승했으며, 3인 팀전에서는 신인 선수들 위주로 탑승했다. 감속이 좋다는 점 때문에 빌리지 손가락 같은 헤어핀 구간이 많은 맵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 여담 == * 중국 및 대만 카트라이더에서 뉴 엔진의 명칭은 HT+이지만, 뉴 코튼 만은 중국 서버 한정 뉴엔진 초창기에 한국과 같이 앞에 New가 붙었다. 이후 뉴 스펙터가 출시되었을 때도 중국서버에서 New가 붙었다. * 전작인 [[코튼 HT]]의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따랐다. 차이점이라면 크기가 뉴 코튼이 더 작고 고정도색이 적용된다는 정도. * 이후 2020년에 [[뉴 코튼-R]]이라는 R 시리즈 카트바디 형태로 다시 복각되어 등장했다. *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 울트라 코튼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 관련 문서 == * [[뉴 코튼-R]] * [[코튼 HT]] * [[카트라이더 2014]] * [[톡톡이]]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분류:2013년 이전 출시된 카트바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뉴 코튼-R, version=71,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