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뉴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코튼 시리즈)] [목차] || [[파일:뉴 코튼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파일:뉴 코튼-R 트랜스폼.gif]]|| || 트랜스폼 || == 개요 == 2013년 4월 18일 출시된 '''뉴 엔진 최초'''의 카트바디. [[코튼 SR]] 이후 코튼 시리즈의 두번째 전성기로 평가받는다.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뉴 코튼 || || '''획득 방법''' ||<(>일반 합성, 카트 기어 조각, 뉴 엔진 카트 카드 || === 중국 === || '''카트 명칭''' ||<(>New棉花糖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대만 === || '''카트 명칭''' ||<(>원어 명칭(음차 명칭)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여기에 카트 명칭과 획득 방법에 대한 서술을 해 주세요.]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성능 || 성능 || 성능 || || '''가속력''' || 성능 || 성능 || 성능 || || '''코너링''' || 성능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시간''' || 성능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충전량''' || 성능 || 성능 || 성능 || ||<-4> '''속도''' || || '''직선 속도''' ||<-3> 속도km/h || || '''부스터 속도''' ||<-3> 속도km/h || || '''출발 부스터''' ||<-3> 속도km/h || || '''헤어핀 감속''' ||<-3> 속도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중 / 하 || || '''접지력''' ||<-3> 상 / 중 / 하 || || '''몸싸움''' ||<-3> 상 / 중 / 하 || || '''무게중심''' ||<-3> 앞 / 중간 / 뒤 || 뉴 코튼의 경우 출시 당시 '''카트라이더 역사에 손꼽히는 사기 성능'''을 자랑했는데, 전 세대인 HT엔진에 비해 엄청나게 높아진 드리프트 탈출력, 코너가속 덕분에 [[톡톡이]]를 대중화하는데 일조하면서 주행 메타를 완전히 바꿔놓았었다. 출시 직후의 당시 성능은 전세대 엔진 최강 차량인 세이버 HT 풀파츠 및 출탈변 333[* 출발부스터 지속시간 +3, 드리프트 탈출력 +3, 변신부스터 가속력 +3. 당시 플로터 강화 중 최고로 꼽히는 옵션이었다.]을 순정 뉴 코튼이 쉽게 이길 수 있는 수준이었다. 덕분에 이전 엔진이었던 HT엔진의 대장차들은 뉴 코튼 출시 및 빌드 정립과 동시에 모조리 폐차당했다. 뉴 코튼의 사기적인 성능과 동시에 다른 라인업 카트바디들이 전부 부진했던 것도 뉴 코튼의 독주에 일조했다. 뉴 버스트는 보통 5대 시리즈 중 2번째로 나오던 것이 솔리드에게 출시 순서에서 밀린데다 심각하리만치 구린 성능으로 인해 '''버레기'''라는 멸칭이 붙었고[* 물론 이전에도 버스트 시리즈의 평가가 좋았던 적은 없었지만, 아예 쓰레기로 낙인찍힌 것은 뉴 엔진 때였다. 그리고 이 버레기 딱지는 [[버스트 V1]]까지 가서야 간신히 떨쳐낼 수 있었다.], 뉴 솔리드는 의외로 준수한 성능으로 출시되어 SR때부터 생긴 흙수저차이자 막자차라는 인식을 어느 정도 탈피하긴 했으나 다른 라인업들도 잠깐이나마 루찌로 판매되었다 보니 루찌차라 접근성이 좋다는 솔리드만의 장점이 희석되어 큰 주목을 못 받았으며, [[뉴 세이버]]는 성능이 나쁜 것은 아니나 HT 때에 비해 컨셉이 많이 바뀌어[* 세이버 HT는 평균 이상의 준수한 감속과 날카롭고 깔끔한 드립감이 특징이었는데, 뉴 세이버는 HT에 비해 드탈과 코너 가속이 증가한 대신 감속이 바이크보다 조금 나은 수준으로 매우 크게 너프를 먹고 드립감에 오버스티어 성향이 강해졌다.] 호불호가 갈리고 이전만큼 압도적인 위용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나마 [[뉴 마라톤]]이 좋은 평가를 받아 시리즈 역사상 첫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것도 뉴 코튼이 1212 패치의 핵너프로 몰락하고 나서야 재발견된 것. 5대 시리즈 외의 준 정규 라인업인 로디와 플라즈마의 경우 로디 알베르와 뉴 플라즈마 F가 뉴 코튼의 몰락 이후에 출시되었기에 경쟁 대상이 아니었다. 그나마 뉴 코튼과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플라즈마 HTF가 좋은 게충과 EXT 특유의 주행감으로 준수한 평가를 받긴 했으나 뉴 코튼을 밀어낼 수준은 아니었다. 게다가 당시 [[김진수]] 팀장이 뽑기 카트바디를 최대한 줄인 덕에 전성기가 매우 길었다. 이는 '1212 패치'라고도 불리는 [[카트라이더 2014]] 패치로 뉴 코튼이 떡너프를 맞고 몰락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 파생형 == === 일반 플로터 강화형 === 일반 플로터 강화가 되어 있는 파생형. 외형은 대기실에서 플로터가 뜨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 뉴 코튼과 동일하다. * 뉴 코튼 S * 뉴 코튼 B === 뉴 코튼 Black === 검은색 고정도색+성능 개량이 된 파생형. ==== 레어 플로터 강화형 ==== * 뉴 코튼 Black-S * 뉴 코튼 Black-B * 뉴 코튼 Black-H === 뉴 코튼 Orange === === 뉴 코튼 P-S/B === [[파일:중카뉴코튼P.gif]] [youtube(KFMu-wC6D-s)] PC방 전용 카트.색상은 보라색 고정도색이 되어 있었다. 현재는 구할 수 없다.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도 출시된 바 있다. === 뉴 코튼 White-C === === 뉴 코튼 9 === 9주년 기념으로 출시 된 뉴 코튼의 파생형이다. 이름 때문에 JIU엔진으로 착각할 수 있다. == 탑승 선수 == || 기준 || * 팀1: 선수(포지션), 선수(포지션) * 팀2: 선수(포지션), 선수(포지션) * 개인전: 선수1, 선수2 == 여담 == * 중국 및 대만 카트라이더에서 뉴 엔진의 명칭은 HT+이지만, 뉴 코튼 만은 한국과 같이 앞에 New 가 붙는다. == 관련 문서 == * [[뉴 코튼-R]]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게임 내 정보]]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뉴 코튼-R, version=71,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