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뉴로링커}}}'''[br]ニューロリンカー[br]Neurolink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Neuro-Link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facbec48.png|width=100%]]}}} || || 설정화 || 착용한 모습[* 착용자는 [[흑설공주(액셀 월드)|흑설공주]].]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이트 노벨]] [[액셀 월드]]에서 등장하는 5세대 VR 머신.[* 작가인 [[카와하라 레키]]가 2012년 12월 25일 [[트위터]]에서 언급했다.] 목 뒤에 장착하는 형태의 소형 [[PC]]라고 보면 된다. 넥밴드형 [[블루투스]] [[이어폰]]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카와하라 레키|같은 작가]]가 쓴 [[소드 아트 온라인]]에 나오는 VR 기기인 [[너브기어]]는 [[개인용 컴퓨터|PC]]와 이 뉴로링커의 중간 단계에 놓인 물건이라 할 수 있다.[* [[소드 아트 온라인]]의 주 내용이 '가상 세계의 [[데스 게임]]에 [[정신]]이 사로잡힌 사람들의 생존'과 '가상 세계를 활용한 [[강인공지능]]의 개발'이고, 이 두 요소는 후속작 격인 [[액셀 월드]]에서도 다소 변형된 형태로 부분적인 [[계승]]이 이루어졌다.] == 성능 == 기존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웨어]] 입력 장치 시스템을 탈피, [[신경]]을 통해 뉴로링커가 [[대뇌]]로 직접 가상 [[정보]] 신호를 보내는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사용자의 눈에만 증강현실 형태로 보이는 홀로그램 데스크탑 시스템]]'''을 탑재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이미 1인당 보급율이 1대 수준에 도달한 일본 내에서는 아예 광고 전단지를 뉴로링커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나누어 주는 메이드가 [[아키하바라]] 거리를 활보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시력을 자동으로 보정해줄 수도 있기 때문에 [[액셀 월드]] 세계관에서는 [[안경]]의 역할도 뉴로링커가 대신하고 있어서 [[다리 따위는 장식입니다|안경 따위는 장식에 불과하다]]. 직접 입과 귀를 통해 대화를 나누지 않고서도 마치 [[텔레파시]]를 하는 듯이 단순히 생각만으로 타인과 음성정보·화상정보·문자정보를 주고 받으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도 있는데, 특히 이 기능을 통해서 타인에게 입을 통하지 않고서 목소리를 들려 주는 것을 '사고발성' 또는 '사념발성'이라 한다. 그 외에도, ''''다이브''''라 불리는 [[가상현실]] 기능도 있는데, [[액셀 월드]]의 메인 소재인 [[브레인 버스트]]가 이 다이브 시스템을 이용한 [[PvP]] 대전 [[어플리케이션]]이다. 다이브를 할 경우, 사람의 오감을 일부 또는 완전히 차단할 수가 있으며, 후자를 ''''풀 다이브''''라 부른다. 사용자가 풀 다이브 상태에 놓이면 잠을 자는 것 처럼 눈을 감고 가만히 멈춰 있게 된다. 심지어 [[주인공]] [[아리타 하루유키]]는 배고픔을 잊기 위해서 풀 다이브를 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현실로 따지면 [[교통카드]]의 기능을 비롯한 모든 [[화폐]] 지불 수단이 이 뉴로링커를 통해 이루어 진다. 각 뉴로링커 마다 가상 계좌에 [[화폐|돈]]을 넣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지어 집의 도어락도 뉴로링커로 해제한다. 말마따나 최고의 [[PDA]] 내지는 [[스마트폰]]인 셈. 못하는게 없다. == 위험성 == 기능이 뛰어난 만큼 그 위험성도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 뉴로링커는 [[멜트다운(보안 취약점)|사람 대뇌의 기억 영역까지 침입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묘사가 나오기도 한다. 또한 단순한 기억의 수집과 복사 외에도, 사람의 기억을 프로그램이 임의로 조작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거나 하는 등 [[MK 울트라|고도의 기억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이 암시된다. 이런 작중 묘사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뉴로링커를 사용하는 도중에는 뇌를 [[해킹]]당할 위험성이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 외에도 작중에서는 타인의 사생활 감시를 위한 [[백도어]] 프로그램 등과 같은 뉴로링커의 악용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 == 기타 == * 5권 시점에서 [[CPU]]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보다 크고 아름다워진 대형 뉴로링커가 시판될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처음에는 '무조건 작게'였다가 시간이 흐르니 지나서 크기를 키워 성능을 높이는 점이 [[핸드폰]] 발전사와 비슷하다. * [[액셀 월드]]가 애니화된 이후, 애니판을 통해 입문한 시청자들 중에는 뉴로링커를 보면서 [[공각기동대]]의 [[전뇌]]를 연상한 사람들도 있었다. 전반적인 설정도 그렇고[* [[증강현실]] 기능과 [[가상현실]] 기능이 특징이라는 점이나 직접 입과 귀를 통해 대화를 나누지 않고서도 마치 [[텔레파시]]를 하는 듯이 단순히 생각만으로 타인과 음성정보·화상정보·문자정보를 주고 받으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을 포함해서 여러모로 전반적인 설정에 있어 [[공각기동대]]의 [[전뇌]]의 영향이 느껴진다. 무선통신이 기본이지만 유선통신을 할 수도 있고 또 이렇게 유선통신을 할 때에는 목덜미에 플러그를 연결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는 개념이 적용되어 있는 것도 여러모로 공각기동대의 영향이 느껴지는 부분. 사용하는 도중에는 뇌를 [[해킹]]당할 위험성이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는 점도 전뇌와 비슷하다.], 또 애니판에서의 뉴로링커에 대한 묘사가 여러모로 공각기동대의 전뇌를 어느 정도 오마쥬한 듯한 묘사였던 덕분.[* 단지 생각만으로도 모든 조작이 가능한 공각기동대의 [[전뇌]]와는 달리 생각을 통한 조작 외에도 음성인식과 시선인식·동작인식 등도 함께 병용해야 하는 것으로 묘사되고는 있지만, [[증강현실]]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눈에만 보이는 화면을 구현한다는 연출이 여러모로 [[전뇌]]를 연상케 한다. '사고발성'을 통해 마치 [[텔레파시]]를 하는 듯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도 딱 전뇌가 생각나는 연출.] 다만 [[공각기동대]]의 [[전뇌]]와의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공각기동대의 전뇌가 [[사람]] 머릿속에 [[컴퓨터]]를 직접 내장형으로 집어 넣는다는 개념인데 비해서 뉴로링커 쪽은 목 뒤에 넥밴드형의 웨어러블 컴퓨터를 외장형으로 부착시킨다는 개념인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초기에는 뇌에 직접 삽입하는 칩도 사용됐었다고 하는데 여러 문제로 사용 금지되고 현재의 외장형 기기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공각기동대의 수많은 전뇌 관련 범죄를 본다면 뉴로링커는 성능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그런 사태를 막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뉴로링커와 비슷한 디자인의 블루투스 이어폰이 몇 가지 있으므로 [[코스프레]]를 한다면 참고하자. 국내에 보급되는 제품 중에서 [[LG TONE 시리즈]]가 상당히 유사하다. 해당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 [[너브기어]] [[분류:액셀 월드/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