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개기레기썅년 마귀새끼 최병호 종북좌파빨갱이새끼 북조선 정은이 기쁨조해라 01093905416 ||<-4>
<#fff> [[파일:뉴스토마토 제호.svg|width=100%]] || ||<-2>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 '''정식명칭'''}}} ||뉴스토마토 || ||<-2> {{{#fff '''영문명칭'''}}} ||NEWSTOMATO || ||<-2> {{{#fff '''모기업'''}}} ||토마토그룹 || ||<-2> {{{#fff '''본사'''}}} ||[[서울특별시|서울시]] [[마포구]] 양화진4길 32, 이토마토빌딩 || ||<-2> {{{#fff '''설립일'''}}} ||[[2006년]] || ||<-2> {{{#fff '''창간일'''}}} ||[[2006년]] [[10월 13일]](온라인)[br] [[2015년]] [[5월 11일]](종이신문) || ||<-2> {{{#fff '''상장여부'''}}} ||[[비상장 기업]] || ||<-2> {{{#fff '''대표자'''}}} ||정광섭 || ||<-2> {{{#fff '''직원수'''}}} ||94명 ^^(2023. 5)^^ || ||<-2> {{{#fff '''기업규모'''}}} ||[[중소기업]] || ||<-2> {{{#fff '''홈페이지'''}}} ||[[https://www.newstomato.com/|홈페이지]] || ||<|4>{{{#fff '''유튜브'''}}} || {{{#fff '''링크'''}}} ||[[https://www.youtube.com/@newstomatoT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 {{{#fff '''구독자'''}}} ||28.0만명 ^^(2023. 6. 23)^^ || || {{{#fff '''조회수'''}}} ||92,769,546회 ^^(2023. 6. 23)^^ || || {{{#fff '''가입일'''}}} ||[[2018년]] [[8월 29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문재인|사람이 먼저]]'인 [[시장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스토마토 사시 사진.png|width=100%]]}}} || || {{{#fff,#191919 '''뉴스토마토 홈페이지와 신문 창간호 1면에 게시된 사시'''}}} || 뉴스토마토(Newstomato)는 [[신문]]과 [[인터넷 신문|인터넷뉴스]], [[방송]]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언론사]]다. == 상세 == [[1990년대]] ~ [[2000년대]] [[닷컴버블]]이 한창일 때 이토마토[* [[금융]]·[[투자]] 정보 제공과 금융·투자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유사투자자문업 등을 하는 곳이다. 이토마토는 1994년 11월 설립됐다.]가 증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토마토TV]]를 시작한 것이 시초다. 이토마토는 [[2006년]] 인터넷뉴스인 토마토뉴스를 출범시켰으며, [[2008년]]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를 표방하면서 제호를 '뉴스토마토'로 변경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토마토TV는 이후 별도의 계열사로 분리됐다.] [[2015년]] [[경제신문]]인 뉴스토마토를 창간했다. 현재 대표 겸 발행인은 정광섭이다. [[크레딧잡]][* [[국민연금]]에서 제공받은 자료를 기반으로, 전국 42만개의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에 의하면, 2023년 6월 기준으로 뉴스토마토 평균 [[연봉]]은 약 4,813만원(월 세전 약 401만원)이다. 이는 업계 상위 20%에 해당한다. 올해 입사자의 평균 연봉은 3,315만원이라고 한다. 전체 인원 수는 94명이다. 매출액은 93.2억원이다. 이토마토는 나중에 토마토그룹으로 발전했고, 현재는 뉴스토마토의 [[모기업]]이 됐다. 토마토그룹은 [[케이블TV]]인 [[토마토TV]]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뉴스토마토와 토마토TV는 합정동의 토마토그룹 본사 사옥에 같이 있다.] 문화예술전문 채널인 아르떼TV도 계열사로 두고 있었으나 2021년 [[한국경제신문]]에 매각했으며, 해당 채널은 한경아르떼TV로 바뀌었다. 토마토그룹은 2022년 9월부터 문화예술전문 채널인 토마토클래식[* 토마토클래식은 2022년 12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과학·문화 분야 공익채널로 선정됐다.]을 다시 론칭했다. == 성향 == 경제전문 인터넷뉴스로 출발해 경제신문을 창간했고, 현재는 종합 [[일간지]]를 지향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 경제신문 또는 일간지와 성향이 다소 다르다. [[중도좌파]] 성향의 논조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친기업보다 [[경제민주화]]와 [[재벌]][[개혁]]을 옹호하며 [[진보주의|진보]]언론임을 표방한다. 거의 대부분의 경제신문이 [[보수]][[우파]] 논조를 표방하고 친기업적 기사를 쓰는 것과 비교하면, 뉴스토마토의 성향은 언론산업계 내에서 매우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물론 언론사 논조와 달리 개별 기자들의 정치적 성향은 다양하다.] 뉴스토마토 논조와 성향은 이 언론사가 출범할 당시 정치적 상황과 구성원들의 성향에서 기인한다.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교체된 후,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검찰 수사를 받다가 사망하자]] 노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친노]] 언론인들과 [[참여정부]] 인사들이 뉴스토마토에 모여들게됐다. 이들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한나라당]] 등에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뉴스토마토는 [[중도좌파]], [[경제민주화]], [[재벌]][[개혁]] 성향을 가지게 됐다. == 역대 제호 == ||
[[파일:news11.png|width=80%]] || [[파일:news12.png|width=80%]] || [[파일:뉴스토마토 제호.svg|width=80%]] || || [[2008년|{{{#fff '''2008년'''}}}]] {{{#fff '''~'''}}} [[2011년|{{{#fff '''2011년'''}}}]] || [[2011년|{{{#fff '''2011년'''}}}]] {{{#fff '''~'''}}} [[2017년|{{{#fff '''2017년'''}}}]] || [[2017년|{{{#fff '''2017년'''}}}]] {{{#fff '''~'''}}} [[현재|{{{#fff '''현재'''}}}]] || == 사옥 == [[파일:1209.jpg|width=700]] 사옥은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서울)|합정동]] [[합정역]] 인근이다. 합정역 7번 출구에서 [[양화대교]] 방향으로 쭉 직진하면 사옥이 나온다. 사옥은 2009년 건립됐으며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다. 지하 1층엔 토마토TV 방송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 소극장 규모의 콘서트홀이 있다. 콘서트홀에서는 종종 [[클래식(음악)|클래식]] 연주회와 가수 [[콘서트]], 강연회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및 국정개입 의혹 보도 == 2023년 2월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및 개입 의혹 논란]]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4927|(단독)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 "남영신 육참총장 '천공·김용현, 공관 둘러봤다' 말했다"]]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4934|(단독)부승찬 "천공 공관 방문 사실, 당일 일기로 남겼다"]]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9030|(단독)천공 최측근 신경애 "바이든 방한 전 허창수 미팅…보고서 만들어 대통령께"]]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9870|(단독)천공, 태권도협회에도 관여?…호주서 '천공컵 무도대회' 개최]] 해당 논란은 [[윤석열]] 대통령이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후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를 용산으로 이전하던 과정]]에서 [[천공]]이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옛 외교부 장관 공관]]과 [[육군참모총장]] 공관 등을 방문했고, 관저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또 2022년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는 것에 맞춰서 천공이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을 접촉해 '[[난민]] 프로젝트' 문건을 전달했으며, 이런 일을 대통령실에 보고하는 식으로 국정에 개입하려고 했다는 의혹을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해당 보도를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으며, 기사를 작성한 기자 3명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에 따른 [[명예훼손]] 등으로 [[고발]]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대통령실이 현직 기자를 고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KTV 국민방송|KTV]] 영상제공 중단에 대한 [[대통령실]] 외압 의혹 === 2023년 5월 2일 [[KTV 국민방송|KTV]]는 뉴스토마토에 영상제공 중단을 통보했다.[* 뉴스토마토와 KTV는 2021년 2월 19일 KTV 영상자료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뉴스토마토는 [[윤석열 정부]] 출범한 이후 뉴스토마토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계속 비판적인 보도를 했고, [[https://newstomato.com/readNewspaper.aspx?no=1186460|방미 성과 '자화자찬'...태영호마저 '찬물']] 기사를 쓰면서 KTV의 영상을 활용한 것 때문에 [[대통령실]]에서 KTV에 영상제공을 중단하도록 입김을 넣었다는 의혹을 주장했다. 같은 시기 [[윤석열 정부]]에 비판적인 [[시사IN]]과 [[오마이뉴스]] 역시 KTV 영상제공이 중단됐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0017]]][*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26272]]][* [[https://www.youtube.com/watch?v=1lZ4WqDlbTk]]] 그러자 KTV는 5월 8일 정책브리핑 [[사실은 이렇습니다]]를 통해서 뉴스토마토에 영상제공을 중단한 것은 뉴스토마토가 KTV 영상으로 불법행위를 저지르고 이용[[약관]]을 위반한 것에 따른 정당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에 뉴스토마토는 KTV [[실무자]]와의 [[통화]] [[녹취]]를 공개하고, KTV의 입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https://www.youtube.com/shorts/SRx3RDBuD_U]]] 뉴스토마토의 [[통화]] [[녹취]] 공개에 관해 KTV는 별도 해명을 못하고 있는 상태다. == 기타 == * [[2015년]] 창간된 [[IT전문매체]] [[아웃스탠딩]]은 뉴스토마토에서 [[IT]]를 담당하던 기자들이 회사를 퇴사한 후 독립해 창업한 매체다. 아웃스탠딩은 현재 [[삼프로TV]]에 인수됐다. * [[진보주의|진보]] 성향 방송인인 [[노영희(법조인)|노영희]] [[변호사]]가 뉴스토마토 [[https://www.youtube.com/@newstomatoTV|유튜브 채널]]에서 <노영희의 뉴스인사이다>라는 코너를 진행하고 있다. 평일 오전 7시 30분부터 한시간 정도 진행된다. 뉴스토마토와 노영희 변호사의 정치적 성향 때문에 방송 내용은 [[윤석열 정부]]에 매우 비판적이다. 게스트로는 [[신장식]] 변호사, [[최진봉(교수)|최진봉]] 교수 등 진보 [[논객]]인사들이 주로 출연하고 있으며, '타도 [[윤석열]]'을 외치는 [[변희재]]도 종종 출연한다. * [[2019년]]부터 르몽드코리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콘텐츠 및 인력교류, 공동 행사 주최 등을 하고 있다.[[https://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03|#]] 르몽드코리아는 [[프랑스]] 권위지 [[르몽드]][* 르몽드는 프랑스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좌파적 논조의 언론사 유명하다.]의 국제뉴스 월간지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을 발행하는 곳이다. *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토마토와 협업해 매주 정치권과 사회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해 보도한다. * [[2023년]]부터 종이신문 [[판형]]을 [[타블로이드]]로 변경했다. 또 온라인과 지면을 포함한 모든 기사를 [[경어체]]로 작성하고 있다. 경어체는 '~ 했다'를 '~ 했습니다'로 바꾸는 식이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932|#]] == 역대 주요 간부 == === 대표이사 === * 김형식(2006년 ~ 2008년) * 최성범(2008년 ~ 2010년) * 정동철(2010년 ~ 2011년) * 박동석(2011년 ~ 2014년) * 김형식(2014년 ~ 2019년) * 정광섭(2019년 ~ ) === 편집국장 === * 최성범(2006년 ~ 2008년) * 박동석(2008년 ~ 2011년) * 정광섭(2011년 ~ 2019년) * 이승국(2019년 ~ 2020년) * 이승형(2020년 ~ 2023년) * 김기성(2023년 ~ ) [[분류:대한민국의 미디어 기업]][[분류:한국의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