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이저 리그 사커)] ---- ||<-4>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width=100]][br] ,,'''{{{#23326a New York Red Bulls}}}''',, || || [[뉴욕 레드불스|{{{#fff 뉴욕 레드불스}}}]] || [[뉴욕 레드불스 II|{{{#fff 뉴욕 레드불스 II}}}]] || [[뉴욕 레드불스 U-23|{{{#fff 뉴욕 레드불스 U-23}}}]] || [[뉴욕 레드불스 아카데미|{{{#fff 뉴욕 레드불스 아카데미}}}]] || ---- ||<-2>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height=270]] || ||<-2> '''{{{+1 뉴욕 레드불스}}}''' || ||<-2><#23326a> '''{{{+1 New York Red Bulls}}}''' || || '''[[축구단 별명|{{{#fff 별칭}}}]]''' ||'''{{{#ed1e36 Red Bulls (레드불스), Metros (메트로즈)}}}''' || || '''약칭''' ||'''{{{#ed1e36 RBNY}}}''' || || '''창단''' ||[[1994년|{{{#000,#ddd 1994년}}}]] [[6월 15일|{{{#000,#ddd 6월 15일}}}]]^^([age(1994-06-15)]주년)^^[* [[https://twitter.com/newyorkredbulls/status/1272650091766169601?lang=ca|#]]][* 원년 구단] || || '''리그 참가''' ||[[1996년|{{{#000,#ddd 1996년}}}]]^^([age(1996-01-01)]주년)^^ || || '''소속 리그''' ||[[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 || '''소속 컨퍼런스''' ||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 || '''연고지''' ||[[뉴욕주]] [[뉴욕시|뉴욕]][* [[뉴욕 자이언츠]]와 [[뉴욕 제츠]]처럼 이름만 뉴욕이고 경기장은 뉴저지 해리슨에 있다.] || || '''홈구장''' ||자이언츠 스타디움 (Giants Stadium, 1996~2009)[* [[NFL]] [[뉴욕 자이언츠]]와 [[뉴욕 제츠]]와 공용][br]'''[[레드불 아레나|{{{#ed1e36 레드불 아레나}}}]]''' (Red Bulls Arena, 2010~) || || '''소유주''' ||[[레드불 유한회사]] || || '''감독''' ||공석 || || '''공식 웹사이트 및 SNS[br][미국]''' ||[[http://www.newyorkredbulls.com|[[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height=3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wYorkRedBulls,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NewYorkRedBul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newyorkredbull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newyorkredbull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redbullnewyork|[[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2><#23326a>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 || '''MLS컵'''[br](0회) ||- || || '''컨퍼런스'''[br](1회) ||2008 || || '''서포터즈 실드'''[br](3회) ||2013, 2015, 2018 || || [[US 오픈컵|{{{#fff '''US 오픈컵'''}}}]][br](0회) ||- || || '''MLS컵 플레이오프'''[br](22회 / 최다) ||1996, 1998, 2000, 2001,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br]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br] 2020, 2021 || ||<-2><#23326a> '''팀 컬러 / 유니폼''' || ||<-2><^|1><#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ed1e36> '''{{{#fff 팀 컬러}}}''' || ||<-4> 빨강색{{{+5 {{{#ed1e36 ■}}}}}} 네이비{{{+5 {{{#23326a ■}}}}}} 금색{{{+5 {{{#fabb23 ■}}}}}} 회색{{{+5 {{{#c6ccd2 ■}}}}}} 흰색{{{+5 □}}} || }}}}}}}}}}}} || ||<-2><#23326a> '''클럽 기록''' || || '''최다 출장''' ||루이스 로블레스, 206경기 (2012~2019) || || '''최다 득점''' ||브래들리 라이트-필립스, 106골 (2013~2019) || ||<-4> '''{{{#ffffff 2022 시즌 유니폼}}}''' || || '''HOME''' || '''AWAY''' || '''메인 스폰서''' || '''유니폼 메이커''' || || [[파일:RBNY 2021 Home.jpg|width=100%]] || [[파일:RBNY 2022 Away.jpg|width=100%]] || [[레드불|[[파일:레드불 로고.svg|width=100%]]]] || [[아디다스|[[파일:아디다스 로고.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로고(1995~2002).svg|height=240]] ||<:> [[파일: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로고(2003~2005).svg|height=240]] || ||<:> {{{#ffffff (1995년~2002년) }}} ||<:> {{{#ffffff (2003년~2005년) }}} || ||<-2><#000000> '''{{{#fccc07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의 로고 }}}''' || 뉴욕 레드불스 (New York Red Bulls)는 [[뉴저지]] 주 해리슨 (Harrison)에 연고지를 둔 축구 클럽이다. 1996년부터 1997년 동안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즈 (New York/New Jersey MetroStars)로 불렸고, 1997년부터 2005년 동안 메트로스타즈 (MetroStars)로 불렸다. 2006년 [[오스트리아]]의 회사인 [[레드불]]이 클럽을 인수하면서 클럽 명칭이 레드불 뉴욕으로 개칭되었다.[* MLS 규정상 기업이름이 팀 이름에 붙을수가 없다. 그리고 1년전 레드불의 [[레드불 잘츠부르크]] 인수 사건 때문에 기존 메트로스타스 서포터들이나 다른팀 서포터, 심지어 본거지 유럽지역에서도 반대시위를 했지만 결국 레드불의 자본공세에 인수와 개칭이 허락되고 말았다.] 그러나 실제로 경기하는 구단 이름은 뉴욕 레드불스라는 호칭이 사용된다. == 상세 == [[티에리 앙리]] 전과 후로 구분할 수 있는 구단이다. [[레드불]]의 구단 인수 이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하고 있는 티에리 앙리를 이적시켰고, 티에리 앙리는 레드불스의 공격을 이끄면서 화려한 공격력을 보여주던 구단으로 변모시켰다. 2014년에 티에리 앙리가 은퇴한 이후 팀의 포워드 자리는 [[잉글랜드]] 출신 [[브래들리 라이트필립스|브래들리 라이트 필립스]] (Bradley Edward Wright-Phillips)[* 1990년대 아스날의 전설적인 공격수인 [[이안 라이트]]의 친아들이자 [[숀 라이트 필립스]]의 이복동생이다. 형 숀 역시 현재 뉴욕 레드불스 소속이었다가 2021년부터 [[LAFC]] 소속이다.]가 이어나가고 있다. 정규시즌에는 상당히 강한 면모를 보여주지만, 플레이오프인 MLS컵에서 계속 덜미를 잡히면서 우승과는 인연이 먼 팀이다. 2020시즌 기준으로도 서포터즈 실드는 3회나 차지했지만, 우승컵은 한 번도 들어올리지 못했다[* 이런 와중에 2021년 시즌, 뉴욕 시티가 이들보다 먼저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말았다.]. 1995년 창단 이후 2013 시즌에 가장 좋은 성적인 17승 8무 9패 승점 59점을 기록,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하여 서포터스 실드를 차지했지만, 이후 돌입한 플레이오프에서는 휴스턴 다이나모에게 1차전에 2-2 무승부, 2차전에 1-2로 패하며 컨퍼런스 결승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새롭게 떠오른 지역 라이벌인 [[뉴욕 시티 FC]]와는 사이가 나빠지고 있다. 각 팀의 훌리건들이 길에서[[http://www.nydailynews.com/sports/soccer/video-fans-fight-newark-red-bulls-nycfc-article-1.2319990| 충돌]]한 적이 있고, 뉴욕 시티가 뉴욕의 관중들을 끌어 모아 동원에 성공하는등, 레드불스 입장으로 배 아픈 일이 연이어 터지고 있기 때문에, 뉴욕시티가 창단한지 얼마 안된 상황에서, 벌써부터 사이가 안 좋다[* 게다가 뉴욕 시티가 2021년 시즌 레드불스보다 먼저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려 그야말로 자존심에 큰 상처를 받았다. 레드불스 역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이스턴 컨퍼런스 준결승전이었던 [[필라델피아 유니언]] 원정경기에서 연장 후반 종료직전 필라델피아의 [[야콥 글레스네스]]에 통한의 역전골을 얻어맞고 탈락해 그 쓰라림이 더하다.]. == 선수 명단 == [include(틀:뉴욕 레드불스)] == 성적 == ||
'''{{{#fff 년도}}}''' || '''{{{#fff 리그 순위}}}''' || '''{{{#fff 플레이오프 성적}}}''' || '''{{{#fff 대륙컵 성적}}}''' || '''{{{#fff 컵대회 성적}}}''' || ||<-5> '''{{{#fff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즈}}}''' || || 1996 || 3위 (컨퍼런스), 7위 (리그) || 8강 || - || - || || 1997 || 5위 (컨퍼런스), 9위 (리그) || - || - || 준결승 || ||<-5> '''{{{#fff 메트로스타즈}}}''' || || 1998 || 3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준결승 || || 1999 || 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 || - || - || 16강 || || 2000 || 1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준결승 || - || 준결승 || || 2001 || 2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32강 || || 2002 || 4위 (컨퍼런스), 9위 (리그) || - || - || 8강 || || 2003 || 3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준우승 || || 2004 || 3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16강 || || 2005 || 4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16강 || ||<-5> '''{{{#fff 뉴욕 레드불스}}}''' || || 2006 || 4위 (컨퍼런스), 8위 (리그) || 8강 || - || 8강 || || 2007 || 3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8강 || - || - || || 2008 || 5위 (컨퍼런스), 8위 (리그) || 준우승 || - || 16강 || || 2009 || 7위 (컨퍼런스), 15위 (리그) || - || 조별라운드 || - || || 2010 || 1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8강 || - || 16강 || || 2011 || 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 || 8강 || - || 8강 || || 2012 || 3위 (컨퍼런스), 4위 (리그) || 8강 || - || 16강 || || 2013 ||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width=15]] '''{{{#fff 서포터즈 실드}}}''' || 8강 || - || 16강 || || 2014 || 4위 (컨퍼런스), 8위 (리그) || 4강 || 조별라운드 || 4라운드 || || 2015 ||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width=15]] '''{{{#fff 서포터즈 실드}}}''' || 4강 || - || 8강 || || 2016 || 1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8강 || 8강 || 16강 || || 2017 || 6위 (컨퍼런스), 9위 (리그) || 컨퍼런스 준결승 || 8강 || 준우승 || || 2018 ||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width=15]] '''{{{#fff 서포터즈 실드}}}''' || 컨퍼런스 준우승 || 준결승 || 16강 || || 2019 || 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 || 1라운드 || 8강 || 4라운드 || === 2017 시즌 === 정규리그에서 동부컨퍼런스 6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넉아웃라운드에서 컨퍼런스3위 [[시카고 파이어 SC]]를 무려 4대0으로 대파하며 컨퍼런스 준결승진출에 성공했다.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정규리그 우승팀 [[토론토 FC]]를 상대하여 종합스코어 2-2로 선전했으나 원정골 다득점에서 뒤져 탈락했다. US 오픈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스포팅 캔자스시티]]에 1-2로 패해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 2018 시즌 === [[파일:REDBULL NEWYORK 2018 SUPPORTERS SHIELD.png|WIDTH=100%]] 정규리그에서 3년 만에 서포터스 실드를 차지하며 MLS컵 첫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콘퍼런스 결승에서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에 도합 1-3으로 패하며 또다시 우승에 실패했다. 특히 원정 경기였던 1차전 브래들리 라이트필립스의 동점골이 VAR 판정으로 무효된 것이 레드불스로써는 두고두고 아쉬운 상황이 되었다. 동서부를 통틀어서 플레이오프에 최다 출전한 팀이 되었지만 또다시 무관에 그치며 뉴잉글랜드에 이은 새로운 콩라인으로 떠올랐다[* 이 두 팀의 입장에선 진짜 치욕스러운 게 같은 컨퍼런스의 원년 동기인 [[DC 유나이티드]]는 [[LA 갤럭시]]에 이은 MLS컵 최다 우승팀이다. 게다가 뉴욕 시티는 창단 후 여섯번째 플레이오프 진출만에 리그 컵을 받아들었다.]. 그러나 3년 후, 더욱 더 치욕적인 경험을 해야 했다. 2021 시즌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필라델피아 유니언]]에 연장 후반 종료 직전 통한의 결승골을 얻어맞으며 좌절당하고 그렇게 올라간 필라델피아는 뉴욕 시티에게 패한 것도 모자라 그렇게 올라간 뉴욕 시티는 자신들 보다 먼저 MLS컵 우승까지 해버려 2배로 모욕을 당했다. 이듬해인 2022 시즌에서도 뉴욕 시티에 이은 컨퍼런스 4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뤄냈으나 1라운드에서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한 [[FC 신시내티]]에 패해 또한번 치욕을 당하고 만다. 반면, 자신들의 철천지 웬수인 뉴욕 시티는 역시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한 [[인터 마이애미]]를 맞이해 3-0으로 제압, 2라운드로 진출했다. == 홈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드불 아레나)] [[파일:RedBullArenaMLS.png]] == 기타 == 과거 [[주니뉴 페르남부카누]], [[팀 하워드]], [[로타어 마테우스]], [[티에리 앙리]], [[팀 케이힐]] 등 유명 선수들이 이 팀에서 뛰었다. 영화배우 [[줄리아 스타일스]]가 이 팀의 팬이다. 한국과는 좋은 인연은 아닌데 [[2002 FIFA 월드컵 대한민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조별리그 한국전에서 선제골을 넣었던 미국 대표팀의 클린트 매티스가 이 팀의 전신이었던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소속이었다. 앞서 언급한대로 리그 창설 원년팀들 가운데 [[뉴잉글랜드 레볼루션]]과 더불어 MLS 컵을 들어보지 못한 팀이다. 하다못해 라이벌 뉴욕 시티도 먼저 컵을 들어올리는 경사를 맞이했다. == 같이보기 == [include(틀:레드불 풋볼)] [include(틀:레드불 산하 스포츠단)] [[분류:뉴욕 레드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