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1.jpg|widt=50%]]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금제-귀걸이-삼국-金製耳飾-三國-earring-one-of-a-pair/VwGR8IeRN7cCiw|Google Arts & Culture :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NY, Three Kingdoms period, Silla kingdom (57 B.C.–A.D. 676), Korea, early 6th century]],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4764|메트로폴리탄 박물관 공식 홈페이지]]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2.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ear-pendant/MgGk7aMBlH8TrA|Google Arts & Culture]]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3.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earring/mAFUsgFRfeNPhg|Google Arts & Culture]],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4812|메트로폴리탄 박물관 공식 홈페이지]]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4.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ear-pendant/mwHK_zvwfMzq5g|Google Arts & Culture]]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5.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ear-pendant/GwHxHqWDSj1UsA|Google Arts & Culture]] [목차] == 개요 == 현재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5세기~6세기 경 [[신라]]시대 금귀걸이 10여점. 모두 [[도굴]]되어 해외로 유출된 불법 문화재인지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 내용 ==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6.jpg]] [[파일: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7.jpg]] [[https://blog.naver.com/merryxo/221045862367|사진 출처 :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관람기 2 (한국,중국,일본 비교)]],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501|“해외 우리문화재를 만나다”… 美 소장 한국미술품 공개]] 1866년 7월 4일 개관하여 현재 [[세계 3대 박물관]] 중 하나로도 꼽히는 [[미국]] [[뉴욕]] [[센트럴 파크]]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국]]의 황금 유물로, 5세기~6세기 경 [[신라]]에서 만들어진 금귀걸이들이다.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의 소개에 따르면 유물들의 정확한 출토 장소 등의 사항은 불분명하고, 다만 해리스 브리스베인 딕 기금(Harris Brisbane Dick Fund)이 [[한국]]에서 구매한 것을 1943년에 기증하였다고 한다. [[한국]] 측에서는 [[도굴]] 문화재로 주장하고 있지만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측에서는 공식적으로 구매한 것이라며 한국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서로 민감한 사항이 얽힌 문제인지라 2013년 한국 [[국립중앙박물관]]과의 우호교류 확대를 위해 ‘황금의 나라, 신라’전을 특별기획했을 때 자체 소장하고 있던 이 문화재들은 양국의 협의 하에 전시회에 내놓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1,500~1,600여년 전 [[한국]]에서 만들어진 금귀걸이들로,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해외 소재 문화재]][[분류: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