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양서류 뉴트, rd1=영원(동물), other2=영화 에이리언 2의 등장인물, rd2=레베카 "뉴트" 조든, other3=메이즈 러너 시리즈의 등장인물, rd3=뉴트(메이즈 러너 시리즈), other4=전 프로게이머 Newt, rd4=김진(프로게이머))]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wikia.com/SlateWarrior-DOR-EN-VG-NC.png|width=100%]]}}} || || 모델링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뉴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ニュート, 영어판명칭=Slate Warrior, 레벨=4, 속성=바람, 종족=구신족, 공격력=1900, 수비력=400, 효과1=활동: 배틀로 앞면으로 뒤집히면\, 자신의 구신족을 500 포인트 강화!, 효과2=사망: 배틀로 파괴되면\, 1칸 범위 내를 바이러스 지형으로 변화!)] 본 게임의 오리지널 카드로 처음 등장한 [[구신족]] 몬스터 중 하나. 해당 게임에서는 모든 카드는 일단 뒷면 표시로 필드에 나오는데다, 리버스 효과가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했으므로 실질적으로 공격력 2400인 강력한 몬스터가 된다. 기괴한 디자인들이 많은 [[구신족]]들 가운데 그나마 디자인이 멀쩡한 편에 속한다. 모티브라 단언할 정도는 아니지만, [[크툴루 신화]] 요소와 몇 가지 공통점이 존재한다. 일러스트상로는 창백한 가면과 노란 옷을 두른 [[노란 옷의 왕]]과 유사점이 보이며, 이는 바람 속성을 가진 [[그레이트 올드 원]] [[하스터]]의 화신이라고 한다. 또한 첫 출연한 게임인 진 듀얼몬스터즈2에서는 '[[구신족]]'으로 나오는데다, [[니알라토텝]]을 연상시키는 대사까지 있다. 상기의 요소를 고려하면 [[크툴루 신화]]에서 몇 가지 이미지를 모아 섞은 디자인이라 볼 수도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ニュート.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lateWarrior-BP03-EN-R-1E.png|width=99%]]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리버스=, 효과=, 한글판명칭=뉴트, 일어판명칭=ニュート, 영어판명칭=Slate Warrior, 레벨=4, 속성=바람, 종족=악마족, 공격력=1900, 수비력=400,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내린다.)] 리버스했을 경우에 자체 강화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자신을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의 능력치를 약체화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리버스(유희왕)|리버스]] 효과 몬스터. 진DM2의 효과를 어느 정도 구현해낸 편. 자신의 턴에 반전 소환만 할수만 있다면 단박에 2400이 되어 상급과도 맞짱이 가능. 또한 파괴당해도 리버스 효과와는 별도로 상대 몬스터의 능력치를 감소시키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다만 수비력이 약해서 상대 턴에 리버스하면 대부분 패하기 일쑤며, [[말살의 사도]]에 취약한 것과 악마족에는 드문 바람 속성이라는게 조금 흠. 두 효과 모두 강제 발동 효과로, 뒷면 수비 표시 상태로 꺼내 전투로 파괴되면 두 효과가 각각의 체인 블록을 형성하여 발동한다. 따라서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의 무효화 효과를 2번 소비시킬 수 있다. 또한 뒷면 수비 표시 상태의 이 카드가 공격받았을 경우, 수비력 900이 아닌 400으로 데미지 계산을 실행한다. ①의 효과 발동은 데미지 계산 후에 적용된다. [[섀도르#섀도르 비스트|섀도르 비스트]]의 등장 이전까지는 발매 후 12년 동안 리버스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카드였다. 하급 몬스터로 한정하면 [[섀도르#섀도르 드래곤|섀도르 드래곤]]과 더불어 여전히 가장 높다. 일본 등장 당시에는 공격력 1900짜리 어태커의 전성기였는데, 거기다 메리트 효과만 두 가지를 달고 나온 이 카드는 순식간에 환경권의 톱 어태커로 군림했다. 대회 상위 덱에는 이 카드를 3장 풀 투입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었는데, 무작위로 동봉되는 게임 부속 카드 특성상 시세 가격은 어마어마한 수준이었다. 2002년 5월 1일자로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으나 1년 후 2003년 4월 10일자로 도로 제한 해제, 그러나 그 직후 [[혼돈의 지배|혼돈을 지배하는 자]] 팩에서 [[분노 유인원]]과 '''[[카오스(유희왕)|카오스]]''' 테마가 등장하면서 이 카드는 환경권으로부터 밀려나게 되었다. 그래도 상대 몬스터를 약화시킨다는 점을 주목받아 쇠사슬 비트 덱에 투입되는 경우도 드물게 있었다. 일본에서는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의 부속 카드로 등장하여 구하기 상당히 힘들었었으나,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열풍의 패왕]]에서 복각되면서부터 구하기 쉬워졌다. [[파일:external/images.wikia.com/SlateWarrior-JP-Anime-DM-NC.png|width=400]]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인게임 디자인을 충실히 재현한 모습으로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카이바 노아]]와의 듀얼 중 사용했던 몬스터로 처음 등장했으며, 소환 후 노아의 [[카이바 노아#성신 아레스|성신 아레스]]를 공격해 파괴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턴 [[카이바 노아#대홍수|대홍수]]의 효과로 제거된 후 노아의 덱 마스터인 [[기적의 방주]]에 거둬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에서는 듀얼 컴퓨터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 [[종족 장착 마법|드래곤의 보물]]로 강화된 [[어둠의 유우기]]의 [[사파이어 드래곤]]에게 자폭해 능력치를 갉아먹었다. 공격명은 '그래비턴 펀치(グラビトン・パンチ)'로, 게임에서와는 달리 지팡이가 아닌 펀치로 공격한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서는 [[잭 아틀라스]]가 사용하는 카드로 구성된 팩에 수록되었다. 잭과는 전혀 인연이 없는 이 카드가 여기 수록된 이유는 아무리 봐도 '''잭이 니트인 걸 까기 위해서'''로 보인다. 저 뉴트(ニュート)란 이름에서 한 글자만 빼면 '니트(ニート)'가 되니까. 근데 이 게임에서 잭은 악마족을 소재로 요구하는 싱크로 몬스터인 [[데몬 카오스 킹]],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를 채용하기 때문에 고성능 비튜너 악마족인 이 카드와 잭의 덱 간에 궁합이 실제로도 좋은 편.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1-09-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2-03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遊戯王真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2 継承されし記憶]]'''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6-03-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8-JP005 | [[열풍의 패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烈風の覇者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0-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9-JP011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ヴァイロン降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1-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X-JPY12 | [[듀얼리스트의 영광|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闇遊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D07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仮面魔獣デス・ガーディウ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2-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WC4-003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3|Yu-Gi-Oh! World Championship Tournament 2004 Bundl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6-04-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8-EN003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6-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8-EN005 | [[열풍의 패왕|STRUCTURE DECK LORD OF THE STOR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5-EN011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5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121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3-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2-EN027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R)] || ||<(> 2014-08-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3-EN013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H)] || ||<(> 2007-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8-KR005 | '''[[열풍의 패왕|스트럭처 덱 - 열풍의 패왕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3-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X-KRY12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관련 카드 == === [[리그라스 리퍼]] === === [[잭 트레이거 마그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