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2년 개교]][[분류:덕양구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고등학교)] ||이 문서에 사용된 사진들의 저작권은 모두 능곡고등학교에 있습니다.|| ||<-2> '''{{{#white {{{+1 능곡고등학교}}}[br]陵谷高等學校[br]NUNGGOK HIGHSCHOOL}}}''' || ||<-2> [[파일:능곡고 로고.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 고양능곡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62년]] [[3월 1일]]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정찬호 || || {{{#white '''교감'''}}} || 김계향 || || {{{#white '''교훈'''}}} || 성실, 근면, 봉사 || || {{{#white '''교화'''}}} || 목련 || || {{{#white '''교목'''}}} || 은행나무 || || {{{#white '''교수'''}}} || [[호랑이]] || || {{{#white '''관할 교육청'''}}} ||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도로 76 (토당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www.nunggok.hs.kr/wah/main/index.htm|능곡고등학교 공식 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Achieve your dream in Nunggok!!'''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 [* [[경기도]] [[시흥시]]에도 능곡고등학교라는 동명의 학교가 있는데, 위 문서의 학교와의 구별을 위해 '''시흥능곡고등학교'''로 부른다.] [[1962년]]에 개교하였다. == 연혁 == * [[1961년]] [[12월 3일]] 초대 이환 [[교장]] 취임 * [[1962년]] [[1월 27일]] 능곡고등학교 설립 인가 * [[1962년]] [[3월 1일]] 개교 (6학급 인가) * [[1967년]] [[10월 5일]] 능곡[[공업고등학교]]로 학칙 변경 * [[1972년]] [[11월 30일]] 전자과 3학급 증설 인가 * [[1972년]] [[12월 1일]] 능곡[[고등학교]]로 학칙 변경 * [[1976년]] [[12월 26일]] 능곡종합고등학교로 학칙 변경 * [[1979년]] [[10월 30일]] 보통과 9학급, 상업과 9학급으로 증설 인가 * [[1997년]] [[3월 1일]] 능곡고등학교로 학칙 변경 [* [[인문계 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 [[1997년]] [[12월 5일]] 교실 증축 공사 * [[1998년]] [[12월 30일]] 급식소 증축 공사 완공 * [[2004년]] [[12월 19일]] 신관 증축 공사 완공 * [[2012년]] [[9월 1일]] 17대 마영호 교장 선생님 취임 * [[2015년]] [[3월 2일]] 18대 송민영 교장 선생님 취임 * [[2021년]] [[3월 1일]] 21대 정찬호 교장 선생님 취임 == 상징 == === 비전 === >{{{+3 '''도전하는 나, 존중받는 너, 함께하는 우리, 모두多 행복한 능곡인'''}}} === 교표 === >{{{+1 '''다이아몬드'''}}} : 높은기상 >{{{+1 '''백색'''}}} : 진리, 정의, 창조 >{{{+1 '''청색'''}}} : 이상, 꿈 >{{{+1 '''게자리'''}}} : 새로운 시작 === 교화 === * [[목련]] === 교목 === * [[은행나무]] === 교수 === * [[호랑이]] === 교가 === [[파일:external/www.nunggok.hs.kr/hneun_06.jpg]] 능곡중학교 교가와 동일하다. == 시설 == 운동장을 가운데에 두고 ㄷ구조로 건물이 들어서 있으며 크게 본관(1962년), 신관(2004년), 체육관(2015년) 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관은 3학년과 일부 1학년 학급이 사용하고 신관은 1학년과 2학년이 나누어 사용한다. 본관 주요 시설은 행정실, 교장실, 교무실, 본교무실, 급식실, 3학년 자율학습실, 도서관이 있고 신관은 시청각실(목련홀), 1~2학년 자율학습실, 보건실 등이 있다. 신관 3층 열린마당을 2020년에 새단장했는데 굉장히 좋다. 한쪽은 스터디카페 분위기가 나고, 다른 쪽에는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두었다. 본관과 신관 사이 연결통로가 있는데 신관 4층과 본관 3층, 신관 5층과 본관 4층이 연결되어 있다. 본관이 4층으로 5층인 신관보다 한 층 더 적다. 때문에 층이 헷갈릴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교실마다 4자리의 교실번호가 붙어있다. 첫째자리는 1과 2로 나뉘는데, 1은 본관, 2는 신관을 나타낸다. 둘째자리는 층, 마지막 두자리는 교실번호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2403이면 신관 4층 3번교실을 가리킨다. 생각보다 유용한 시스템이다. 신축된 체육관에선 탁구, 농구, 배구, 배드민턴 등 다양한 체육활동이 가능하다. 시설이 크고 좋은 편이다. ~~여담으로 본관 계단은 연식이 오래돼서 높이가 불규칙하다. 다른 계단 내려가듯이 무빙치면 보건실행이다~~ +) 화장실 문제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2019년에는 신관 화장실 공사가 늦게 끝나서 한동안 운동장에 설치된 임시 화장실(컨테이너 모양이었다)을 썼다. 2021년에는 본관 화장실이 역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신관으로 화장실 가는 순간 쉬는 시간 10분은 순삭..! == 기타 == [[1962년]]에 개교를 하였으니 [[2022년]] 현재 개교 60년을 맞은 학교인 셈이다. ~~학교 본관 지하에 6.25 때 쓰던 불발탄이 묻혀있다는 소문이..~~ [[1990년대]] 중반부터 [[1기 신도시]] 계획으로 화정과 [[행신동]]에 아파트와 같은 주거단지와 [[고등학교]]가 생기기 전까지는[* 덕양구의 고등학교 대부분이 아파트가 건설되고 인구가 유입되며 자리를 잡아가던 시점인 [[1994년]] ~ [[2000년]] 사이에 개교하였다. 다만 [[서정고등학교]], [[고양일고등학교]] 등은 비교적 최근에 개교하였다.] 고양시에는 삼송동에 위치한 [[고양고등학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뀐 것은 [[2003년]]으로 이전까지는 고양농업고등학교 - 고양종합고등학교였다.]와 능곡고등학교, 그리고 [[일산고등학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뀐 것은 [[2008년]]으로 이전까지는 일산종합고등학교 - 일산공업고등학교였다.]밖에 없었다.[* 능곡고등학교와 [[고양고등학교]]의 위치가 상당하다. 자동차로 이동해도 25분 가량 소요된다. [[일산서구]]에 위치한 [[일산고등학교]]와의 거리는....] 바로 옆에는 능곡[[중학교]]가 위치해있다.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거리가 거리이다 보니 능곡중학교 대부분의 학생이 능곡고등학교를 지원한다. 아무래도 개교한지 굉장히 오래되었고, 구도심이 위치해 있다보니 학교 주변 상권이 [[화정고등학교]]나 [[화수고등학교]] 등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화정만큼 다양한 음식점들도 없고, 학원, 독서실, 엔터테인먼트 시설 역시 부족하다. 때문에 보통 능곡고등학교 재학생들은 일산이나 화정으로 학원을 다니거나 놀러나가는 편이다. 이 학교의 생활 규정은 주변 학교에 비해 상당히 엄격하고 빡쎈 편에 속한다. (용의복장이 심히 불량하면 집으로 돌려보낸다. 물론 무단지각 처리된다.) [[수능 끝난 고3]]에게도 용의복장 검사를 한다. [[김기덕(1960)|김기덕]]의 영화 <사마리아> 를 이 학교에서 찍었으며 극 중 여주인공 여진이 다니는 학교로 등장한다. [[소녀시대]]의 유리가 졸업한 학교로 학교 축제를 할 때 소녀시대 멤버들이 축전영상을 보내주기도 했다.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난 뒤 합창대회를 실시한다. 합창대회의 경우 1회, 2회 합창대회를 모두 어울림누리 대극장에서 실시하였고 3회 합창대회는 본교 체육관에서 실시하였다. 현재 2개의 영상이 유튜브에 게시되어 있다. 권역리그에서 2~3위, 전국대회에서 16강 정도에 드는 축구부가 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독일전]]에서 [[노이어]]의 공을 뺐어 [[손흥민]]의 골을 어시스트한 [[FC 서울]]의 [[주세종]]이 이 학교 출신이다. 이와 별개로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여자 아시안컵|아시안컵]]이나 [[여자 월드컵|월드컵]] 같은 주요 대회를 앞두고 호주, 유럽팀 등 피지컬과 스피드가 좋은 팀에 대비해 남자 고등학교 팀과 평가전을 치르곤 하는데 [[파주 NFC]]와 가까이 위치한 능곡고가 단골 상대다. 과거에는 능곡고가 압도적으로 이기는 경우가 많았으나 가장 최근 경기인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2019 프랑스 월드컵]] 직전의 평가전에서는 저학년 위주로 나온 능곡고를 여자대표팀이 3-0으로 이겼다. 2002년 평준화 배정 첫 시행 당시 능곡고등학교 배정 기피 논란으로 인해 경기도교육청이 능곡고등학교 포함 6개교 재배정을 실행하기로 능곡고등학교에 배정된 학생의 학부모들과 합의했던 적이 있었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4|#]] [* 세원고등학교 배정 기피 논란의 경우 경기도교육청이 세원고등학교 제외 9개교 균등배정을 실행하기로 세원고등학교에 배정된 학생의 학부모들과 합의했으나 세원고등학교가 학생들의 전학을 막으려고 계속 물고 늘어졌다.] == 출신 인물 == *[[김범용(축구선수)]] *[[민크스]] [* 본명 박민규] *[[박용우(1993)]] *[[유리(소녀시대)|유리]] *[[이남형(1951)]] *[[이영창(축구선수)|이영창]] *[[주세종]] *[[전소민]] *[[테스터훈]] [[https://youtu.be/5pso_94C3K0?t=3m46s|출처]] *[[허승민(축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