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ImportantDeafeningFastExperience, 합의사항1='니시안리안' 리다이렉트를 존치하기, 토론주소2=TastefulGreatSassyShade, 합의사항2=표제어를 니 시아리안으로 변경)] ||<-2> '''{{{+1 니샤롄}}}[br]Ni Xia Lian | 倪夏莲'''[* 한국식으로는 예하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니시아렌.jpg|width=100%]]}}} || ||<|2> '''출생''' ||[[1963년]] [[7월 4일]] ([age(1963-07-04)]세) || ||[[상하이시]] || || '''국적'''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룩셈부르크|[[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5]] 룩셈부르크]][* [[1991년]]에 [[귀화]]했다.] || || '''신체''' ||157cm, 58kg || || '''종목''' ||[[탁구]] || || '''전형''' ||왼손 / 펜홀더 || || '''랭킹''' ||43위[* 2023년 9월 26일 기준.[[https://www.ittf.com/rankings/|#]] ] || || '''가족''' ||[[배우자]] [[https://www.imago-images.com/photos/ni-xialian-tommy-danielsson|토미 다니엘손]] ^^([[1959년]] [[1월 29일]] 생)^^[* Tommy Danielsson. 스웨덴 출신이며 룩셈부르크 탁구대표팀 코치다. 도쿄올림픽 경기 도중 그녀에게 콜라를 건네주는 사람이 바로 토미 다니엘손이다.] || || '''SNS''' ||[[https://instagram.com/nixialian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룩셈부르크]]의 [[탁구]] 선수이자, 감독. 중국계 룩셈부르크인이다. == 생애 == [[중국]] [[상하이시]]에서 태어났다. [[1982년]] 탁구선수 데뷔 이후 1980년대 초중반에 [[중국]]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1989년]]에 [[독일]]로 이민을 갔다가, 룩셈부르크인인 토미 다니엘손과 결혼해 룩셈부르크 국적을 취득했다. [[1991년]]에 [[룩셈부르크]]로 귀화한 이후로는 룩셈부르크 국가대표팀 코치로 부임했으나 후술할 이유로 룩셈부르크 탁구 국가대표팀 현역 선수로 다시 복귀해 활약하고 있다. 선수 복귀 이후 룩셈부르크 대표팀 코치직은 남편인 토미 다니엘손이 수행 중이다. == 선수 경력 == === [[1983년]]~[[2020년]] === 탁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선정되기 전인 '''[[1983년]] 세계선수권 여자 복식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으며, 이외에도 아시안 컵 등 여러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중국 국가대표 시절 세계 랭킹 6위까지 올라갔던 최상위권 실력자 중 한 명이었다. 룩셈부르크 국적으로 [[2000 시드니 올림픽]]부터 [[2020 도쿄 올림픽]]까지 20년 동안 [[2004 아테네 올림픽]]을 제외하고 꾸준히 [[올림픽]]에 출전하고 있다. 은퇴하거나 [[감독]]을 맡아도 이상하지 않은 나이로, 원래는 룩셈부르크 코치로 부임하였으나 '''룩셈부르크에 니샤롄 코치보다 잘하는 선수가 없어서''' [[2021년]]에도 58세의 나이로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단순히 룩셈부르크가 탁구 후진국이라 그런 게 아니고, '''[[노익장|58세의 나이임에도 세계랭킹 42위]]'''를 기록하고 있는 실력자였기 때문이다. === [[2020 도쿄 올림픽]] === >신유빈이 정말 좋은 경기를 했고, 다시 만났는데 정신적으로 더 강해졌군요. 그녀는 새로운 스타입니다. >'''오늘의 나는 내일보다 젊습니다. 계속 도전하세요. 즐기면서 하는 것도 잊지 말고요.''' >---- >She played good and she coming back mentally very strong and she is new star. >'''Today is younger than tomorrow. Challenge continue and don't forget. Enjoy continue.''' >---- >- 니샤롄 {{{-1 (64강전 직후 인터뷰 中)}}} [[2017년]]에 맞대결을 펼쳐서 [[신유빈]]을 이긴 적이 있는 니샤롄은 다시 한번 신유빈과 [[https://youtu.be/6eSd-dY2jr8|맞붙었다.]] 둘의 나이 차는 무려 41살이었는데, 이번 맞대결은 신유빈의 [[https://youtu.be/ISzXaGYmz14|승리]]로 막을 내렸다. 세계랭킹에서 40계단 가량 차이가 나는 42위 니샤롄을 꺾은 건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5&aid=0004583011|이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니샤롄의 능수능란한 플레이도 [[https://www.fmkorea.com/best/3780141247|화제]]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신유빈의 공격을 막아내는 재야의 은둔고수스러운 모습이 화제가 되면서 ''''탁구계의 [[고인물]]\', '탁구화석\', '탁구행보관\', '[[호나우두|호돈]]의 심정\''''[* 한 시대를 풍미한 [[축구]] 스타인 [[호나우두]]가 나이를 먹고 살이 찌면서 몸이 재능을 못 따라주는 모습을 보인 적이 있는데, 해당 상황에서 호나우두가 느끼는 심정과 같은 마음일 것이라 여긴 것에서 생겨났다.] 등 다양한 별명이 붙었다.[* [[https://www.fmkorea.com/best/3780284189|경기 직후]] [[https://www.fmkorea.com/best/3780295137|에펨코리아]]에서 [[https://www.fmkorea.com/best/3780289577|니샤렌]]에 대한 [[https://www.fmkorea.com/best/3780324814|재밌는]] [[https://www.fmkorea.com/best/3780343859|게시물]]들이 [[https://www.fmkorea.com/best/3780274875|올라왔었다.]]] 또한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경기 도중 [[http://mlbpark.donga.com/mp/b.php?p=2311&b=bullpen&id=202107250057809298&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pos=&sig=h4aRGY2gghTRKfX2h6j9Sl-A6hlq|오리지널 코카콜라를 마신 장면]]이 [[https://www.fmkorea.com/index.php?mid=best&listStyle=webzine&document_srl=3780267706&search_keyword=%EC%BD%9C%EB%9D%BC&search_target=title_content&page=1|화제]]가 되었다. 한편 경기 중반 이후부터 신유빈에게 경기 흐름을 빼앗겼을 때 니샤롄이 에어컨 바람을 문제 삼으며 일시적으로 경기가 중단된 것을 두고 방송 해설진과 네티즌 사이에서 부정적인 목소리가 일부 나왔다. 다만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상대에게 유리할 때 흐름을 끊으려는 게 으레 있는 일이라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심지어 [[축구]]처럼 접촉이 잦은 스포츠는 반칙이나 비매너적인 행동을 동원해서 경기 흐름을 바꾸기도 한다. [[유로 2020]] 결승전에서 [[조르조 키엘리니]]가 [[부카요 사카]]가 측면 돌파할 때 뒷목덜미를 세게 잡아채서 넘어뜨린 것도 이런 저런 말이 나올 수밖에 없는 플레이였으나, 승부의 세계에서 흔히 있는 일로 여겨져서 결승전 이후에는 부정적 목소리가 잠잠해졌다. 이때 키엘리니는 경고(옐로카드)를 받았다. 탁구는 접촉이 거의 없는 스포츠이기는 하나, 모든 스포츠는 심판이 제지하지 않거나 경고 정도로 그치는 ''''회색지대'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하는 선수가 거기에 말리면 자칫 패배로 이어지며, 팬들의 분노와 비난은 거기에 말린 선수에게 그저 위안에 그친다는 점을 생각하면 깊이 생각해볼 부분이다.] 이날 경기에서 니샤롄은 특별히 반칙을 동원한 것도 아니고 경기 내내 매너있는 플레이를 한데다가, 실제로 [[https://youtu.be/4Ii7KWA5gao?t=1699|영상]]을 보면 세워둔 공이 알아서 굴러가는 걸 보면 에어컨 바람이 플레이에 영향이 있었던 걸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경기중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코로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최대한 빨리 순환시키려고 일부러 에어컨과 환풍기를 최대강도로 작동시켜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현재 항공기에서도 감염예방을 위해 똑같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정작 당시 신유빈 본인은 당황하기는커녕 '아 바람이 센가 보다'하고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고. 다행히도 신예 신유빈이 경험 많고 노련한 니샤롄 상대로 밀리던 경기를 뒤집어 버리는 결과로 이어져서 그런 부정적인 기조가 잠잠해졌다. 만약 니샤롄이 신유빈을 이겼다면, 한국팬을 중심으로 그 '노회한 선수'를 두고 그녀의 인스타그램에 심각한 댓글 테러가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반적인 상황을 감안하면, 나올 수 있는 결과 중 최상의 결과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몇몇 한국인들이 니샤롄의 [[https://www.fmkorea.com/best/3780265742|인스타그램]]에 [[https://www.fmkorea.com/best/3780298132|악플]]을 남겼지만 대부분의 팬들은 그녀의 뛰어난 실력, [[노익장|노령에도 도전을 멈추지 않는 열정]]에 존경심이 담긴 [[https://www.fmkorea.com/best/3781275306|댓글]]을 남겼다. === 2021년 === 세계선수권에서는 여자단식 3회전까지 올랐고, 여자복식에서는 [[사라 데 누트]]와 짝을 이뤄 4강에 올라 4강에서 중국의 [[쑨잉사]]-[[왕만위]]조에 세트스코어 0대3으로 패배해 동메달을 획득하며 룩셈부르크로 귀화하고 첫 세계선수권 메달을 따냈고, 중국대표로 메달을 획득한 이후 36년만이다. == 수상 기록 == ||<-3>
'''{{{#white 룩셈부르크 대표로 참가한 대회}}}''' || ||<-3> {{{#white 세계선수권}}} || || 동메달 || 2021 휴스턴 || 여자 복식 || ||<-3> {{{#white 유러피언 게임}}} || || 동메달 || [[2019 민스크 유러피언 게임|2019 민스크]] || 단식 || ||<-3> {{{#white 유럽 팀선수권}}} || || 금메달 || 1999 에인트호번 || 단체전 || || 금메달 || 2002 자그레브 || 혼합 복식 || || 금메달 || 2002 자그레브 || 단식 || || 은메달 || 2000 브레멘 || 여자 복식 || || 은메달 || 2007 베오그라드 || 단식 || || 동메달 || 2018 알리칸테 || 여자 복식 || ||<-3> {{{#white 유럽 탑-12}}} || || 금메달 || 1996 샤를루아 || 단식 || || 금메달 || 1997 에인트호번 || 단식 || || 금메달 || 1998 할름스타드 || 단식 || || 은메달 || 2001 웰스 || 단식 || || 동메달 || 1999 스플릿 || 단식 || || 동메달 || 2000 알라시오 || 단식 || || 동메달 || 2002 로테르담 || 단식 || || 동메달 || 2012 리옹 || 단식 || ||<-3> {{{#white 유럽 소국 게임}}} || || 금메달 || 2009 키프로스 || 단체전 || || 금메달 || 2009 키프로스 || 여자 복식 || || 금메달 || 2009 키프로스 || 단식 || || 금메달 || 2011 리히텐슈타인 || 단체전 || || 금메달 || 2011 리히텐슈타인 || 여자 복식 || || 금메달 || 2011 리히텐슈타인 || 단식 || || 금메달 || 2013 룩셈부르크 || 단체전 || || 금메달 || 2013 룩셈부르크 || 여자 복식 || || 금메달 || 2015 아이슬란드 || 단체전 || ||<-3> '''{{{#white 중국 대표로 참가한 대회}}}'''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83 도쿄 || 단체전 || || 금메달 || 1983 도쿄 || 혼합 복식 || || 은메달 || 1985 예테보리 || 여자 복식 || || 동메달 || 1983 도쿄 || 여자 복식 || ||<-3> {{{#white 아시안 컵}}} || || 은메달 || 1984 뉴델리 || 단식 || || 동메달 || 1985 싱가포르 || 단식 || == 여담 == * 1982년 젊은 시절의 사진이 [[https://www.fmkorea.com/best/3780336822|화제]]가 되었다. * 중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니샤롄으로 표기하지만, 한국 언론과 방송에서는 '니시아렌'이나 '니시아리안', '니 시아 리안'이라는 표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중국 국적이 아니라 룩셈부르크 국적이라 로마자 표기를 그대로 읽은 쪽을 채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중국식 펜홀드 양면에 숏핌플과 롱핌플 러버를 트위들링 하여 플레이하는 보기드문 전형의 플레이어다. 왼손은 덤 [[분류:룩셈부르크의 여자 탁구 선수]][[분류:펜홀더]][[분류:1963년 출생]][[분류:상하이시 출신 인물]][[분류:중국계 룩셈부르크인]][[분류:룩셈부르크의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2012 런던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분류:룩셈부르크의 유러피언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5 바쿠 유러피언 게임 참가 선수]][[분류:2019 민스크 유러피언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3 크라쿠프·마워폴스카 유러피언 게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