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니가타현 제1구}}}}}}'''[br]{{{-1 {{{#ffffff 新潟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Niigata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34,016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니가타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니가타시]] [[주오구(니가타)|주오구]], [[히가시구(니가타)|히가시구]], [[니시구(니가타)|니시구]],[br][[코난구(니가타)|코난구]], [[키타구(니가타)|키타구]], [[미나미구(니가타)|미나미구]] (이상의[br]모든 지역에서 옛 니가타시 및[br]쿠로사키마치 지역만 해당)}}}||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니시무라 지나미]]|| [목차] [clearfix] == 개요 == [[니가타현]] [[니가타시]] [[주오구(니가타)|주오구]], [[히가시구(니가타)|히가시구]], [[니시구(니가타)|니시구]], [[코난구(니가타)|코난구]], [[키타구(니가타)|키타구]], [[미나미구(니가타)|미나미구]]의 시정촌 대합병 이전 옛 니가타시 및 쿠로사키마치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한마디로 니가타시 시내를 관할하는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간사장 [[니시무라 지나미]]. == 상세 == 니가타시의 시내 중심지를 관할하는 선거구로, 니가타현청과 니가타시청, [[니가타역]]과 [[니가타 공항]] 등이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한다. * [[1994년]] ~ [[2002년]]: [[니가타시]] 전역 * [[2002년]] ~ [[2013년]]: [[니가타시]] 전역 ([[2001년]] (구) 니시카마바라군 쿠로사이마치가 니가타시에 편입되면서 관할 면적이 커졌다) * [[2013년]] ~ 현재: 니가타시 주오구/히가시구/니시구/코난구/키타구/미나미구 (이상의 모든 지역에서 옛 니가타시 및 쿠로사키마치 지역만 해당) 원래는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영향으로 초기에는 자민당이 우세를 보였다. 하지만 [[2003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니시무라 지나미]] 후보가 10% 차이로 깜짝스럽게 여유있는 승리를 한 것을 기점으로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는 지역구로 변화했다. 물론 46, 47회 총선 때는 자민당이 워낙 전국적으로 압승을 하는 바람에 이 지역구도 이겼으나, 47회 총선거 때는 민주당 니시무라 지나미가 석패율제로 구제될 만큼 득표했으며, 48회 총선거 때는 니시무라 의원이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면서 지역구를 탈환했다. 49회 총선에서는 니시무라가 표 차이를 더 벌리며 당선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니가타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요시다 로쿠자에몬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3> [[니시무라 지나미]] ||<|3>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2> 이시자키 도루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2> 니시무라 지나미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로쿠자에몬''' || '''87,88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2.66%'''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세키야마 노부히코 || 81,037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신진당)],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추천] || 39.3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마타 유키오 || 22,36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86% || 낙선 || ||<|2><#2E6D31> {{{+1 {{{#fff 市民}}}}}} || 나카야마 히토시 || 14,725표 || 4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6D31,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시민신당 니가타)] || 7.1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6,015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로쿠자에몬''' || '''98,95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1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세키야마 노부히코 || 80,54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5.13%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와사키 슌스케 || 26,215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1.4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마타 유키오 || 23,58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9,292표 ||<|2> '''투표율'''[br]60.39%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119,29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1.08%'''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로쿠자에몬 || 96,10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1.15%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마타 사치오 || 18,13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3,538표 ||<|2> '''투표율'''[br]57.02% || || 선거인 수 || 418,701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136,39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67%'''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로쿠자에몬 || 117,65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2.85%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마타 사치오 || 20,54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4,584표 ||<|2> '''투표율'''[br]66.62% || || 선거인 수 || 421,723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169,38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60.15%'''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로쿠자에몬 || 90,62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2.1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케다 가쓰토시 || 17,91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36%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마쓰모토 고지 || 3,690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3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1,624표 ||<|2> '''투표율'''[br]67.48% || || 선거인 수 || 425,45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시자키 도루''' || '''97,01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0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78,28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5.56% || 낙선 || ||<|2><#fff>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우치야마 고 || 27,74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12.6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케다 가쓰토시 || 17,07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0,113표 ||<|2> '''투표율'''[br]53.20% || || 선거인 수 || 428,456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주오구 일부, 히가시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코난구 일부,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시자키 도루''' || '''92,65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6.9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84,57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87%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치다 아키히로 || 20,03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3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7,266표 ||<|2> '''투표율'''[br]46.97% || || 선거인 수 || 430,046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주오구 일부, 히가시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코난구 일부,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128,045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자유당(2016년))] 니가타현 연합 추천] || '''53.11%'''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사자키 도루 || 113,04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6.89%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41,090표 ||<|2> '''투표율'''[br]56.14% || || 선거인 수 || 438,808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1구}}}}}}'''[br]{{{#fff 니가타시 주오구 일부, 히가시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코난구 일부,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니시무라 지나미]]''' || '''127,365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니가타현 연합 추천] || '''52.57%'''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쓰카다 이치로 || 96,59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9.87% || 비례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이시자키 도루 || 18,33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7.5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2,289표 ||<|2> '''투표율'''[br]57.25% || || 선거인 수 || 434,016인 || || [youtube(tK91P1YPbOY)] || || 선거 당시 니가타 1구 관련 뉴스 영상 || || [youtube(PYgC0fvrmFs)] || || 당선 확정 후 환호하는 니시무라 지나미 진영 || 현역 입헌민주당 니시무라 치나미 의원이 재출마한다.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에서 니시무라에게 밀렸던 자민당 이시자키 도루 의원이 비서 폭행 등의 혐의로 출마가 어려워지면서, 자민당에서는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낙선한 쓰카다 이치로 전 참의원의원(2선) 및 국토교통부대신을 차기 후보로 추대했다.[[https://www.jiji.com/jc/article?k=2020071800328&g=pol|#]] 그런데 이시자키가 현직 국회의원으로서 차기 총선거에도 니가타 1구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 보수 분열의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423cdcb8ce37ecfd88a31e099b0dca85158f5336|#]] 결국 이시자키 의원은 폭행 혐의로 약식 기소하였다.[[https://www.jiji.com/sp/article?k=2020101900807&g=soc|#]] 최종적으로 [[https://www.jiji.com/sp/article?k=2020103000789&g=soc|벌금 20만엔이다.]] 이후 2020년 10월 22일, 이시자키는 자민당을 탈당했다. 일본 유신회 옹립 후보 출마 설이 나오고 있다.[[https://www.niigata-nippo.co.jp/news/politics/20210916642046.html|#]] 2021년 10월 1일 이시자키 도루가 일본 유신회 후보로의 출마가 확정되었다. 자민당 입장에서는 자당 출신 후보가 유신회로 건너가버려 보수 분열이 생겼기에 악재이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 니시무라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은 지난 선거에 비해 표차가 더 벌어졌는데, 이시자키 의원이 유신회로 이적해 출마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이시자키 의원의 표까지 합치면, 입민 52 : 자민+유신 48로 지난 선거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자민당 쓰카다 후보는 소속 정당이 비례대표에서 선전한 덕분에 석패율 구제로 간신히 당선되었다. 유신회 이시자키 후보는 비례대표 당선의 최저선인 10% 득표도 못하고 참패했다. 폭행 혐의로 이미지가 너무 나빠진 것이 결정타였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니가타시]] [[주오구(니가타시)|주오구]], [[히가시구(니가타시)|히가시구]], [[코난구(니가타시)|코난구]]를 제외한 니가타시 지역이 다른 선거구로 옮겨지고 2구에 있던 [[사도시]]가 붙도록 조정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니가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