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니가타현 제2구}}}}}}'''[br]{{{-1 {{{#ffffff 新潟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Niigata2.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88,107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니가타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니가타시]] [[니시구(니가타시)|니시구]]/[[미나미구(니가타시)|미나미구]]/[[니시칸구]], [[산조시]], [[카모시]], [[츠바메시]], 니시칸바라군, 미나미칸바라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호소다 겐이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니가타현]]의 [[니가타시]] [[니시구(니가타시)|니시구]]/[[미나미구(니가타시)|미나미구]]/[[니시칸구]], [[산조시]], [[카모시]], [[츠바메시]], 니시칸바라군, 미나미칸바라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호소다 겐이치. == 상세 == 카시와자키카리와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해 있으며, 아이자와 화력 발전소, 요시이 히가시카시와자키 가스전 등 중요 에너지 시설들이 선거구 관내에 밀집해 있다. 또한 관내에 [[파나소닉]], [[부르봉]], 트윈 버드 공업 등 여러 기업들의 공장들이 있어 니가타현 굴지의 공업 지대가 형성된 지역구다. 이 때문에 발전소와 공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 층이 많아졌고, 전체적으로 자민당세가 니가타현에서 약해진 것과 맞물려, 2010년대에 들어서는 자민당과 민주당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지역구다. 발전소가 있고 공업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여야가 2000 - 2010년대에 들어서 경합을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 [[당진시(선거구)|당진시]]와 매우 비슷하다. 다만 현역 의원인 [[와시오 에이이치로]]는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의원 시절부터 평균적인 자민당 의원만큼 보수적이었고, 결국 야권분열 속에서 자민당에 입당했다. 와시오 에이이치로가 자민당으로 이적하는 바람에, 이후 치러진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민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니가타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사쿠라이 신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3> 곤도 모토히코 || [include(틀:무소속)]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와시오 에이이치로]]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2> 호소다 겐이치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와시오 에이이치로 || [include(틀:무소속)][* 무소속 당선 후 [[철새(정치)|자유민주당으로 이적했다.]]]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호소다 겐이치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미시마군,[br]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쿠라이 신''' || '''94,20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77%'''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곤도 모토히코 || 89,044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8.54%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카즈미 || 17,335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7.5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노자키 히로시 || 13,88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01% || 낙선 || ||<|2><#6eb92b> [[신사회당|[[파일:신사회당 흰색.png|width=50]]]] || 이나무라 토시오 || 12,503표 || 5위 || || [include(틀:신사회당)] || 5.41%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니시카와 오사무 || 4,093표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7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1,061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미시마군, 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곤도 모토히코''' || '''123,811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9.09%'''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쿠라이 신 || 100,22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9.7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라야마 후미히코 || 24,17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58%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카와하라 이사무 || 4,009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2,212표 ||<|2> '''투표율'''[br]75.85%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곤도 모토히코''' || '''95,39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93%'''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후지시마 마사유키 || 56,002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5.79% || 낙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카가미 도미오 || 49,382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2.7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네야마 요코 || 12,22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6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니시카와 오사무 || 4,132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9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7,132표 ||<|2> '''투표율'''[br]69.50% || || 선거인 수 || 321,636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곤도 모토히코''' || '''113,9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9.68%'''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시오 에이이치로]] || 101,63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33%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소이 요시오 || 13,72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9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9,280표 ||<|2> '''투표율'''[br]73.54% || || 선거인 수 || 327,018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시오 에이이치로]]''' || '''122,68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2.26%'''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곤도 모토히코 || 86,96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7.04%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요네야마 노보루 || 22,866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9.74%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스가와라 사토시 || 2,257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9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4,769표 ||<|2> '''투표율'''[br]75.78% || || 선거인 수 || 318,884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료츠시, 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사도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호소다 겐이치''' || '''81,53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5.52%'''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시오 에이이치로]] || 69,38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8.74%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와타나베 히데아키 || 18,169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0.1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시노 카즈오 || 10,04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6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9,137표 ||<|2> '''투표율'''[br]60.24% || || 선거인 수 || 309,710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니가타시 니시칸구, 미나미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사도시, 나가오카시 일부,[br]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호소다 겐이치''' || '''70,58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2.96%'''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시오 에이이치로]] || 70,48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90%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와타나베 히데아키 || 11,801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7.1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시노 카즈오 || 11,43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9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4,311표 ||<|2> '''투표율'''[br]55.27% || || 선거인 수 || 304,858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니가타시 니시칸구, 미나미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사도시, 나가오카시 일부,[br]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와시오 에이이치로]]''' || '''97,808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1.60%'''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호소다 겐이치 || 81,70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3.10%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가라시 다케히코 || 10,05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3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9,568표 ||<|2> '''투표율'''[br]63.82% || || 선거인 수 || 302,713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니가타현 제2구}}}}}}'''[br]{{{#fff 니가타시 니시칸구, 미나미구 일부, 니시구 일부,[br]카시와자키시, 츠바메시, 사도시, 나가오카시 일부,[br]니시칸바라군, 산토군, 카리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호소다 겐이치''' || '''105,42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9.91%''' || '''당선'''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타카쿠라 사카에 || 37,157표 || 2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21.1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이라 아야코 || 33,39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니가타현 연합 추천] || 18.9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982표 ||<|2> '''투표율'''[br]62.66% || || 선거인 수 || 288,107인 ||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야권에 재합류하지 않고 자민당으로 옮긴 [[와시오 에이이치로]] 의원과, 와시오에게 패한 뒤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의원으로 당선된 호소다 겐이치 의원 모두 차기 총선의 자민당 공천을 받기 위해 경쟁했다. [[2021년]] 10월 11일 발표된 자민당 1차 공천결과, 호소다 의원이 공천을 받았고 와시오 의원은 비례 호쿠리쿠 신에쓰 블록으로 이동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고, 대신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이 타카쿠라 사카에 전 니가타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은 다이라 아야코 전 니가타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호소다 겐이치 후보가 압승했다. 반면 와시오 의원이 자민당으로 이적하는 바람에 강한 후보를 구하지 못한 야권의 득표율은 매우 저조했다. 이번 총선에서 선전한 국민민주당도 이곳에서만큼은 매우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야권 후보였던 와시오 의원의 지지기반이 모두 자민당으로 가버린 것이 주효했다. 그러나 간신히 공천 경쟁에서 승리하였고 본선에서도 압승하였던 호소다 겐이치 의원은 2022년 중의원 선거구 획정안에 따르면 최악의 결과를 받았다. 1석이 줄어드는 니가타현은 2구가 분할되어, 사도시는 1구로 카시와자키시는 신4구로 이동했으며, 나머지 2구 지역은 4구의 가모시와 산조시와 합쳐지면서 신2구가 되었다. 호소다 의원은 사도시가 있는 1구와 2구에 출마를 해야하는데 1구의 경우에는 츠카다 이치로 의원과 경쟁해야하며, 2구로 갈경우에는 10년 가량 산조시장을 지냈던 쿠니사다 이사토 의원과 경쟁해야 하기에 고심이 클것으로 보였지만 당에서 2구 지부장으로 임명함에 따라 한 시름 덜게 되었다. 와시오 의원의 경우에는 비례로 당선되었지만, 선거구가 합쳐질것을 예측하고 자신의 기반인 카시와자키시가 이동한 신4구 출마를 결심하였으며, 나가오카시에 사무소를 차려 지역 활동을 하고있어, 이즈미다 의원과 지반 경쟁이 치열하던 와중 이즈미다 의원이 자민당 현의원으로부터 현금청탁을 요청받았으며, 이에따라 현련의 사이가 매우 극악상태로 되던 와중 현련에서는 와시오 의원을 지부장으로 선임해줄것을 요청하였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니가타시]] 지역은 구 경계에 맞춰 [[니시구(니가타시)|니시구]], [[니시칸구]], [[미나미구(니가타시)|미나미구]] 전체를 관할하게 되었고 [[츠바메시]]와 니시칸바라군을 제외한 남부 지역과 [[사도시]]가 빠지고 동쪽에 위치한 [[산조시]], [[카모시]], 미나미칸바라군을 관할하게 되면서 위 아래로 길쭉한 모양새가 오히려 옆으로 길어졌다. 자민당에서는 상술했듯이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와시오 의원은 신 4구로 지역구가 옮겨진 대신 쿠니사다 의원과 지역 기반이 겹치게 됐지만 호소다 의원이 2구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쿠니사다 의원은 비례대표 상위 순번을 배정받을 확률이 높다. 입헌민주당에서는 기존 4구 기반의 [[기쿠타 마키코]] 의원의 주 기반이 카모시인 만큼 이 곳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사회복지사 출신인 이노우에 모토유키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니가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