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 펜듈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 타 소환법 펜듈럼 몬스터)] ||<#24386D>
<:>'''{{{#!html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o4dyolMUtg1shfh62o7_1280.jpg|width=100%]]}}}|| ||<#28609A><:>{{{#F7DE45 평온한 시간의 저편에서, 널리 세계에 빛을 비추며, 되살아나라! 싱크로 소환! 나타나라, 레벨 10! 열반의 초마도검사, '''{{{#!html니르바나 하이 팔라딘!}}}'''[br]平穏なる時の彼方から、あまねく世界に光を放ち、蘇れ!シンクロ召喚!現れろ、レベル10!涅槃の超魔導剣士、'''{{{#!htmlニルヴァーナ・ハイ・パラディン!}}}'''}}}|| ||<#28609A><:>{{{#F7DE45 평온한 시간의 저편에서, 널리 세계에 빛을 퍼트리며, 되살아나라! 싱크로 소환! 등장하라, 레벨 10! 열반의 초마도검사! '''{{{#!html니르바나 하이 팔라딘!}}}'''}}}[* 듀얼링크스에서 유야 대사]|| [목차] == 원작 == [[파일:NirvanaHighPaladin-JP-Anime-AV.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일어판명칭=涅槃の超魔導剣士(ニルヴァーナ・ハイ・パラディン), 영어판명칭=Nirvana High Paladin,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레벨=10, 공격력=3300, 수비력=2500, P스케일=8, P효과1=①: 이 턴에 자신이 펜듈럼 소환한 레벨이 가장 낮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그 전투로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또한 그 데미지 계산 후\,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P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대상으로 한 몬스터의 전투 후\,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1 높은 몬스터 1장을 새로운 대상으로 하여 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레벨의 합계가 10이 되도록 자신 필드에서 싱크로 몬스터 1장과 펜듈럼 소환된 펜듈럼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고르고 릴리스하는 것으로\,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소환 취급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유희왕 ARC-V]] 97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잭 아틀라스(유희왕 ARC-V)|잭 아틀라스]]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 "열반의 초마도검사"라고 쓰고,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이라고 읽는다. OCG와는 달리 소환 조건이 효과 외 텍스트가 아닌 ①의 효과로 되어있고, 릴리스해서 특수 소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에 따라 유우야는 레벨 8 [[엔라이트멘트 파라딘]]과 레벨 2 [[EM(엔터메이트)|EM 치어몰]]을 릴리스해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싱크로 소환을 할 경우 "(튜너 이외의 몬스터 이름)에 (튜너 몬스터 이름)을 튜닝!"이라는 대사를 외치는데, 이 카드의 경우 엔라이트멘트 파라딘이 튜너 몬스터 이름 자리에 언급되었으므로 원작 묘사 상으로는 [[액셀 싱크로 소환]] 마냥 싱크로 몬스터가 튜너로 취급된 셈이다.] 그리고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를 공격하지만 함정 몬스터 [[킹 스카레트]]의 효과로 파괴에 실패. 이후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의 효과로 파괴되어 펜듈럼 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음 유우야의 턴에는 이미 [[마술사(유희왕)|곡예의 마술사]]와 이 카드가 세팅되어 있었기에 [[마술사(유희왕)#s-3.11|각검의 마술사]], [[EM(엔터메이트)#s-2.4.20|EM 래디시 홀스]], EM 버블독, EM 고무고무톤,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총 5장의 몬스터가 펜듈럼 소환되었다. 소환된 몬스터들의 레벨이 각각 3, 4, 5, 6, 7이었기 때문에 이 카드의 펜듈럼 효과를 4연속으로 발동할 수 있었고, 끝에는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데미지 2배 효과로 피니시를 냈다. 공격명은 '''트루스 스카바티(Truth Scavati)'''[* 스카바티: 극락정토. 즉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를 뜻한다.]. 대검에 에너지를 모아 칼날을 전개한 후 초록색+보라색의 나선형 광선을 둘러 적에게 내려친다. 펜듈럼 효과명은 불명이나 일단 [[곤겐자카 노보루]]가 '''스트레이트 펜듈럼(Straight Pendulm)'''이라고 명명하긴 했다.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이라는 이름은 유우야가 드디어 [[열반|깨달음을 얻었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마침내 [[사카키 유우쇼|남]]에게서 빌려온 듀얼이 아닌 [[펜듈럼 소환|자신만의 듀얼]]을 하기 시작했다는 뜻.[* 그러나 6기에서 유우야의 성장이 처음으로 돌아오는 바람에 상징성이 크게 하락했다.] 그리고 [[즈아크]]와 관련된 사천룡이나 [[별을 읽는 마술사]] / [[시간을 읽는 마술사]]를 소재로 하지 않고 소환된 유일한 엑스트라 덱 펜듈럼 몬스터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상징적 위치에 비해 작중 대우는 매우 좋지 않다. 첫 등장 시의 작화나 연출이 엔라이트멘트 파라딘보다도 나빴던 데다 첫 등장한 듀얼 이후로는 한 번도 언급되지도 쓰이지도 않았다. 첫 듀얼 후로는 126화에서 유우야가 덱을 떨어뜨렸을 때 [[스마일 월드]] 밑에 있었던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 등장. 더구나 레이지와의 마지막 듀얼에서는 이 카드의 스케일, 레벨 수치를 뒤집은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의 합체 몬스터인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이 대신 나오면서, 결과적으로 ARC-V 판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가 되어버렸다.--감독놈의 세살 버릇은 여든까지 간다-- 능력치와 소환 과정이 대놓고 [[슈팅 스타 드래곤]]을 오마주하고 있다. OCG와 비교하면 효과가 상당히 난잡하면서도 초라한 편이다. 펜듈럼 효과는 당시 상황에 맞추기 위해서인지 레벨이 다른 몬스터가 줄줄이 있을 때만 여러 번 쓸 수 있는 이상한 사양이며, 몬스터 존에서는 아예 능동적으로 쓸 수 있는 효과가 없다. 첫 등장 이후 공기가 된 것에는 활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기존 애니에서 했던 것처럼 그냥 OCG 사양의 라이프 절반 + 마법 카드 서치 효과를 주면 되는데 끝까지 안 그런 이유는 불명. == OCG == [include(틀:유희왕/OCG/9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涅槃の超魔導剣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일어판명칭=涅槃の超魔導剣士(ニルヴァーナ・ハイ・パラディン), 영어판명칭=Nirvana High Paladin,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레벨=10, 공격력=3300, 수비력=2500, P스케일=8, P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몬스터가 공격할 경우\, 그 몬스터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P효과2=②: 자신의 펜듈럼 몬스터가 공격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공격한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할 경우\, 자신 필드의 펜듈럼 소환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튜너로 취급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한 펜듈럼 몬스터를 튜너로 하고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LP를 절반으로 한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더 다크 일루전]]의 커버 카드. 엑시즈 / 펜듈럼인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에 이어서 등장한, '''엑스트라 덱에 뒷면으로 직접 투입하는 2번째 펜듈럼 몬스터'''인 동시에 '''최초의 싱크로 / 펜듈럼 몬스터 카드.''' 릴리스로 정규 소환이 가능했던 원작과 달리, 싱크로 소환 시 펜듈럼 소환된 펜듈럼 몬스터를 튜너 취급할 수 있는 [[효과 외 텍스트]]가 붙었다.[* 참고로 EM 치어몰도 펜듈럼 몬스터라, 이 조건으로도 원작 재현이 가능하다. 엔라이트멘트 파라딘과 EM 치어몰 중 어느 쪽이 튜너 취급인지가 다를 뿐.] 일단은 펜듈럼 몬스터라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놓일 수 있지만, 레벨이 10이나 되는지라 스케일 11 이상의 고스케일이 필요해 일반적으로는 펜듈럼 소환으로 꺼내기가 힘들다. 일단 정규 소환 이후 [[펜듈럼 리본]] 등의 카드로 소환할 수 있으므로 아예 재활용이 불가능하진 않다. 또한 원작의 효과가 상당히 부실했던 탓인지 OCG화와 함께 원작에 없던 강력한 효과를 2개나 얻었다. ①의 효과는 펜듈럼 소환한 펜듈럼 몬스터를 튜너로 쓰면 묘지의 카드 1장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 효과 외 텍스트의 방법대로 비튜너 펜듈럼 몬스터를 튜너로 써서 소환했을 경우는 물론, [[할로할로]]처럼 원래 튜너인 펜듈럼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해서 싱크로 소재로 써도 샐비지 효과를 쓸 수 있으며, 회수할 수 있는 카드의 범위도 마법 카드에서 모든 카드로 대폭 넓어졌다. 조건이 까다롭지만 조건이 충족되면 상당히 강력한 효과로 펜듈럼 몬스터가 아니라서 그냥 묘지에 묻히는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이나 [[엔라이트멘트 파라딘]], 또는 [[링크 몬스터]]를 재활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하기만 하면 상대 LP를 반토막내는데, [[데스티니 히어로 도그마 가이]]처럼 효과 데미지가 아니라 그냥 라이프를 절반으로 깎아먹기 때문에 효과 데미지 대응 카드들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공격력도 무려 3300으로, 상급 마법사족들 중 몇 안되게 3000을 넘기는 몬스터라 효과 발동 난이도도 낮다. 펜듈럼 효과 또한 원작의 레벨 제약이 사라지고 보다 쉽게 쓸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과 같이 이 카드도 파괴되면 펜듈럼 존으로 자동으로 옮겨지지만, 패왕흑룡과 달리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한다는 말이 없기 때문에 이미 스케일이 세팅된 상태라면 펜듈럼 존으로 갈 수 없다. 일단 펜듈럼 존에 놓이면 펜듈럼 몬스터를 이용해 상대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약체화시킬 수 있으나 신 마스터 룰 이후에는 펜듈럼 몬스터가 한 번에 잔뜩 나오기가 힘들어 활용도가 많이 낮아졌다.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마냥 필드에서 얼른 치워버려야 하는 페널티 몬스터도 아니고, 전투력도 강력한데다 몬스터를 터뜨릴 때마다 상대 라이프를 반감시키는 강력한 효과도 있으니 펜듈럼 효과는 어디까지나 보험으로 봐두는 편이 좋다. 한편, 일어 기준으로 이 카드의 텍스트는 펜듈럼 효과가 149자, (소재, 효과 외 텍스트 포함) 몬스터 효과가 248자로, 합하면 397자인데, 이것은 OCG 역사상 최장 길이였다. 숫자만 놓고 보면 [[독사신 베노미너거]]보다도 긴 텍스트를 가진 셈. 다만 이 몬스터는 펜듈럼 몬스터라 펜듈럼 칸이 따로 있으므로 효과창의 빽빽함은 독사신 베노미너거보다 훨씬 덜하다. 정발판은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이]] [[엔라이트멘트 파라딘|카드들]]의 사례로 인해 파라딘이라고 나왔다. ||[[파일:Nirvana GS 300.jpg]]|| ||<:>자이언트 에디션|| 2016년 7월 27일 한글판 자이언트 카드가 발매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JP046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KR046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br]자이언트 에디션 동봉 || TDIL-KRGE1 || [[슈퍼 레어]] || 한국 ||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EN04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엔라이트멘트 파라딘]]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