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西村 修''' [br] ニシム ラマ[* 니시무 라마] [br] 大猷 修[* 타이유 오사무] || || 본명 || 西村 修 || || 생년월일 || [[1971년]] [[9월 23일]] || || 출신지 || [[일본]] [[도쿄도]] [[분쿄구]] || || 신장 || 185cm || || 체중 || 105kg || || 별명 || ミスター無我[* 미스터 무가] [br] 無我の伝道師[* 무가의 전도사] [br] 無我説法師[* 무가의 전도사] [br] 無我の継承者[* 무가의 계승자] [br] 闘う哲学者[* 싸우는 철학자] [br] 自由人[* 자유인]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주요 커리어 || [[IWGP 태그팀 챔피언십]] 2회 [br] IWGP 캐치 오브 더 랭커셔 토너먼트 우승 (1996년) [br] G1 태그 리그 우승 (2003년) [br] IWGP 트라이애슬론 서바이버 리그 우승 (2002년) [br] CWA 서브미션 슛파이팅 챔피언 1회 [br] G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IWW 원 나잇 토너먼트 우승 (1998년) [br] WNC 챔피언 1회 [br] NKP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FC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1회 [br] !Bang! TV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미사일 킥''' [br] '''문설트''' [br] '''코브라 트위스트''' [br] '''[[스피닝 토 홀드]]'''[* 도리 펑크 주니어에게서 전수받은 기술.] [br] '''더블암 수플렉스''' [br] '''리버스 인디안 데스락''' || || 테마곡 || FLYING HIGHT AGAIN [br] ヴァイオレンス・ウィンド 〜超翔〜 [br] HEAVEN KNOWS [br] 無我GOVERN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이자 분쿄구의회 의원. == 커리어 == 킨조가쿠엔 고등학교 무렵에 일본 프로레슬링 학교에 입문하면서 졸업 후인 1990년 4월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하게 된다. 1991년에 [[이이즈카 타카유키]]와의 경기를 통해 첫 경기를 가지게 되자만 데뷔전에서 이이즈카 타카유키의 서브미션에 걸려 패하고, 이후부터 [[야마모토 히로요시]], [[카네모토 코지]], 오오하라 마치요시와 자주 경기를 벌이나 그들에게 각각 패하고 다녔다. 계속 연패행진을 이어나가다 자신보다 3달 틎게 데뷔한 [[코지마 사토시]]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첫 승리를 거워 연패에서 탈출하게 된다. 매주마다 이전에 상대했던 선수들과 경기를 가지다가 새로운 상대들과도 경기를 벌이게 되고, 1993년에 영 라이온 컵에 출전해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준결승전에서 [[나카니시 마나부]]를 꺾지만 결승전에서 야마모토 히로요시에게 패하며 우승에 실패했다. [[나가타 유지]], [[오오타니 신지로]]와도 자주 경기를 벌이디가 서양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지는 일도 생기고, [[사이토 아키토시]]와의 경기에서 패하면서 신일본을 나와 미국으로 활동을 옮기게 된다. [[NWA(프로레슬링)|NWA]] 활동을 하던 중 GWF에 출연해서는 알렉스 푸르퇴를 꺾고 첫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ECW]]에서도 몇차례 경기를 가지고, 미국 각단체를 돌며 활동하지만 이 과정에 신일본쪽에서의 귀국 명령이 나왔지만 거부하자 신일본으로부터의 송금이 정지되었다. 1995년까지 미국에서 활동하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간다. 해외 원정을 마치고 다시 신일본에서 활동하며 같은 일본 레슬러들 외에도 해외에서 방문한 서양레슬러들과도 경기를 벌이게되고,1997년 중순에 다시 해외진출을 하며 오스트리아의 CWA를 포함해 독일의 VDB에도 출연하고, 1998년에 잠시 신일본으로 돌아가다가 또다시 해외원정을 가면서 잠시 독일의 IWW에서 경기를 가지게 된다. 매일 자신의 기량 향상을 위해 해외원정을 떠나는 일이 많았고, 신알본 활동을 하며 매번 챔피언 경력을 만들지 못하다가 2001년에 [[후지나미 타츠미]]와 팀을 이뤄 코지마 사토시 & 텐잔 히로요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IWGP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일본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2002년에는 멕시코의 [[CMLL]]에도 잠시 출연하고, [[프로레슬링 NOAH]]에도 첫출연하며 신가 켄타로와도 경기를 갖지만 시간경과로 인한 무승부로 끝난다. 2003년에 가끔씩 해외무대에 출연해서 미국의 IPW, Funkin' Conservatory, 독일의 EWP에서 경기를 갖고, 신일본에서 열린 G1 태그 리그에 텐잔 히로요시와 출전해 결승전에서 TOA & [[타카야마 요시히로]]를 꺾고 우승한다. 몇달 후 타나하시 히로시 & 요시이 유타카를 꺾고 통산 2회 IWGP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2004년에 잠깐 미국의 Funkin' Conservatory에서 경기를 갖다가 신일본에서 활동을 하던 중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기 시작하면서 [[무토 케이지]]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그 후로 신일본 프로레슬링 활동 외에도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는 일이 늘며 두 단체를 병행하며 활동한다. 계속해서 일본과 해외 활동을 오가며 활동하던 니시무라 오사무는 2006년에 [[야마모토 나오후미]]와 팀을 이뤄 [[마카베 토우기]] & [[야노 토루]]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 것을 끝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퇴단하면서 FA가 된다. 잠깐 미국의 CHIKARA에 출연해 타케무라 카츠시와 같이 태그팀 경기에 출전하다가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고 일본의 무가 및 EWE에서 활동하다가 NOAH, HUSTLE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2007년부터는 전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으로 활동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면서 가끔씩 해외활동하는건 변함없었고, 2009년 3월 22일에 [[신한국 프로레슬링]]에서 열린 NKPWA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에서 윤강철, 크리스찬 엑스타인을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를 벌이나 윤강철이 승리를 거두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이어나가다가 2011년에 [[후치 마사노부]] & [[나카노우에 야스후미]]와 팀을 이뤄 [[BUSHI]] & [[하마 료타]] & 아론 아길레라[* WWE에서 헤수스로 활동한 레슬러.]를 상대로 패한 것을 끝으로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퇴단하면서 분쿄구의 구의회의원 선거 활동을 중점으로 가게된다. FA가 된 후로도 프로레슬링 활동을 이어가며 전일본 프로레슬링, 신일본 프로레슬링 외에도 단체 합동무대에도 출연하며 경기를 가지고, 2012년에 [[대일본 프로레슬링]](BJW)에도 출연하면서 [[타니구치 유이치]]와 팀을 이뤄 오오타니 마마시 & 이시카와 신야를 상대로 패하지만 이시카와 신야와의 싱글 경기에선 승리를 거둔다. 이후로 이시카와 신야와 같이 태그 리그에 출전해 결승전까지 진출하며 [[오카바야시 유지]] & 시노부를 상대하지만 패하면서 우승하는데 실패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활동이 다시 늘며 다른 단체에서도 활동하고 2020년이 돼서도 이어지며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포함해 다른 단체들에서 경기를 가지며 VAMOSTAR에서도 활동하는 많아지면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출연도 가끔씩 출연하는 수준으로 변하고 그 밖에 NOAH 및 [[DDT 프로레슬링]]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베테랑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 기타 == * 토니 세인트 클레어[* 영국출신 프로레슬러.]의 제자이며, 그 밖에 야마모토 코테츠 & [[하세 히로시(정치인)|하세 히로시]] & [[사사키 켄스케]] & [[후지나미 타츠미]] & 히로 마츠다 & 돈 저딘[* 캐나다 출신 프로레슬러.] & 칼 고치[* 벨기에 출신 프로레슬러.] & 도리 펑크 주니어에게서도 트레이닝을 받았다.[* 니시무라 오사무의 경기스타일은 원래 몸의 부드러움을 이용한 관절기나 브릿지를 사용한 기술이 많다. 또 고치, 이노키, 후지나미를 원류로 한 스트롱스타일 레슬링을 중심으로 미국시대에 신세를 진 히로 마츠다 & 도리 펑크 주니어의 기술을 이어받아 사용하고 있다.] * 야구 & 배구 & 스노우보드 등을 배운 경험이 있다. * 의원 활동하며 식육 지도자 및 소년 야구팀 코치도 하고 다닌다. == 둘러보기 == ||<-5>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width=20]] {{{#white '''역대 [[월드 태그 리그|{{{#white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 || {{{#000000 '''2001'''}}} || {{{#000000 →}}} || {{{#000000 '''2003'''}}} || {{{#000000 →}}} || {{{#000000 '''2006'''}}} || || [[텐코지|{{{#000000 텐코지}}}]] [br] [[코지마 사토시|{{{#000000 코지마 사토시}}}]] & [[텐잔 히로요시|{{{#000000 텐잔 히로요시}}}]] || {{{#000000 →}}} || '''[[텐잔 히로요시|{{{#000000 텐잔 히로요시}}}]] & {{{#000000 니시무라 오사무}}}''' || {{{#000000 →}}} || [[쵸노 마사히로|{{{#000000 쵸노 마사히로}}}]] & [[나카무라 신스케|{{{#000000 나카무라 신스케}}}]]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1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분쿄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