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젠다리움_아이누)] ---- ||<-2>
'''[[레젠다리움/등장인물|{{{#ffffff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br]{{{+1 니엔나}}}[br]{{{#!htmlNienna}}}'''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anka Latečková_Nienna.jpg|width=100%]]}}} || || '''본명''' ||'''Nienna'''[br]니엔나 || || '''성별''' ||여성 || || '''종족''' ||[[아이누(가운데땅)|아이누]] {{{-2 ([[발라(가운데땅)|발라]]) }}} || || '''거주지''' ||알마렌 → [[발리노르]]{{{-2 (니엔나의 궁정)}}} || || '''직책''' ||Lady of pity and mourning[br]연민과 애도의 귀부인[br]Aratar[br]아라타르 || || '''출생''' ||[[아이눌린달레]] 이전 || || '''가족관계''' ||[[만도스]] {{{-2 (남매)}}}[br][[이르모]] {{{-2 (남매)}}}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젠다리움]] 세계관에서 아르다에 강림한 14인의 [[발라(가운데땅)|발라]] 중 한명으로, 발라 가운데 가장 위대한 8명인 '''아라타르'''[* [[만웨]],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 [[울모]], [[아울레]], [[야반나]], [[오로메]], [[만도스]], 니엔나] 중 한명이다. '''애도하는 이''' 또는 '''상처의 애도자'''. 슬픔을 관장하며, [[아르다]]의 모든 상처를 애도하고 슬픔과 고통에 빠진 이에게 견딜 수 있는 힘을 주며, 연민과 동정심, 그리고 지혜를 전했다. 마이아 [[간달프|올로린]] 또한 니엔나의 곁에서 동정과 연민을 배웠다. 그런 그녀의 동정심은 [[멜코르]]에게도 예외가 아니었기 때문에, 멜코르가 3세기의 감옥생활을 마치고 나왔을 때 니엔나가 그의 편을 들어주었다. == 이름 == * '''니엔나(Nienna)'''[*Q [[퀘냐]]] - '애도/애도하는 여인(Weeping/She who Weeps)'이라는 뜻으로 보인다. 원시 요정어 어근 '''NEY'''에서 파생된 '''nië'''가 포함되어 있다. == 작중 행적 == [[만도스|나모]][* 만도스]와 [[이르모]][* 로리엔]의 누이였으며 세상의 서쪽 끝인 [[아만(가운데땅)|아만]]에서도 가장 서쪽 끝에 있는 니엔나의 궁정에 홀로 살았는데, 니엔나의 궁정의 창문에서는 [[아르다]]의 경계인 [[세상의 벽]]이 보였다. 슬픔을 지배하는지라 기쁨이 넘치는 [[발마르]]에는 잘 오지 않지만, 때때로 [[만도스의 궁정]]으로 가 죽은 이들을 위로하고 그들의 슬픔을 다독여주었다. [[멜코르]]와 [[웅골리안트]]에 의해 [[텔페리온]]과 [[라우렐린]]이 죽었을 때, 니엔나가 눈물로 웅골리안트의 독을 씻어내고, [[야반나]]가 노래를 불러 마지막 꽃과 열매가 생겨났다. 이것이 곧 [[해와 달(가운데땅)|해와 달]]이 되었다. [[분류:레젠다리움/등장인물/아이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