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어 단어]][[분류:인터넷 용어]][[분류:인터넷 밈/기타 분야/대한민국]][[분류:인터넷 밈/중국]] [목차] '''[[你]][[吃]][[饭]][[了]][[吗]]''' ([[간체자]]) '''[[你]][[喫]][[飯]][[了]][[嗎]]''' ([[번체자]])[* 吃-喫은 굳이 정체자로 하자면 그렇다는 것이고, 대만 현지에서도 '먹는다'를 의미하는 한자로는 대륙과 똑같이 吃를 사용한다.] '''Nǐ chī fàn le ma'''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ㄋㄧˇ ㄔ ㄈㄢˋ ˙ㄌㄜ ˙ㄇㄚ''' ([[주음부호]]) '''nei(lei)5 hek3 faan6 liu5 maa1[* 레이헥판류마. [[광동어]] 구어에선 你를 네이보다 레이라고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월병(광동어)|월병]]) '''니끽반료마''' ([[한국 한자음]])[* 吃이 '먹다'의 뜻일 때에는 '끽'으로 읽는다.] [youtube(Qj3sJwH6Hck)] == 개요 == [[중화권]]의 인사말로, 직역하면 대충 "너 밥 먹었어?", "[[살인의 추억#s-4.1|밥은 먹고 다니냐?]]"로 해석할 수 있다. == 유행 == 하지만 이게 [[중국어]]를 쓰지 않는 [[대한민국]]에서 유명해지게 되었는데,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발음이 [[한국어]]의 욕 중 "[[씨발]]"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9060|기사]], [[https://www.instiz.net/pt/6194276|링크]] 你吃饭了吗→니츼판러마→니취판러마→니취팔로마[* [[한국어]]에서 ㄴ과 ㄹ이 연속적으로 있을 때는 [[자음동화|ㄴ이 ㄹ화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니시발로마 등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이 [[씨발]]놈아"'''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게다가 하필이면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은 대부분이 [[만주|동북 3성]] 같은 북방 출신인데, 이들은 구어에서 명사 뒤에 얼(er) 발음을 붙이기 때문에 얼화 현상을 반영하면 你吃饭儿了吗(nǐ chī fànr le ma)가 된다. fànr로 쓰고 fàr로 [[발음]]하므로 [[빼도 박도 못한다|빼도 박도 못하게]] 니취'''팔'''로마가 되는 것. 오죽하면 你好[* Nǐ hǎo 니하오, [[중국어]]의 인사말이다.]와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중국어]]'''에 속하기도 하며, 중국 본토에서도 이 사실이 알려져 한국에서 你吃饭了吗가 욕으로 쓰인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중국인도 있다고 한다. [[https://kknews.cc/news/jbb5kje.amp|기사]]. 아예 중국 모 뉴스 사이트에 대문짝만하게 '네시발놈아'가 나온다(…) '你洗髮了吗?'[*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니세발료마'가 된다.--이것도 이씨발놈아와 발음이 비슷하다--] 라는 말도 있는데 '머리 감았니?' 라는 뜻인데 발음이 아예 '니씨파러마(…)' 이다. [[https://blog.naver.com/hacchina/221254353089|링크]] [[광동어]] 버전으로는 족팡매야가 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14998|기사]]. 원래는 '你食咗飯未呀?'(nei sik zo faan mei aa 레이 쎅 쪼 판 메이 아)인데 [[천명훈]]이 [[스타 골든벨]]에서 광동어를 안다며 족팡매야라고 한 것이 매스컴을 타고 유명해졌다. 이후 [[마동석]]이 [[나쁜 녀석들(OCN)|나쁜 녀석들]]에서 이 대사를 하면서 다시 인지도를 올리기도 했다.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39|기사]] 중학교 생활중국어 미래엔 교과서에 단원명으로 있다. [[http://textbook-miraen.cdn.x-cdn.com/textbook/newbook/mid/chinese_lan/%EC%A4%91_%EC%83%9D%ED%99%9C%EC%A4%91%EA%B5%AD%EC%96%B4_%EA%B5%90%EA%B3%BC%EC%84%9C_%EC%96%91%EB%A9%B4.pdf|PDF]](104쪽) == 기타 == 여기에 [[중국어]]로 대답하려면 "我吃饭了. 你呢?"[* Wǒ chī fàn le. Nǐ ne? 워츼판러. 니너? 아니면 '너는?'이라는 뜻의 你呢를 빼고 我吃饭了만 해도 된다.]라고 해주면 된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10818030865349|기사]]. 부정문은 "我没吃饭.",[* Wǒ méi chī fàn. 워메이츼판. --워메 [[씨발|시발]]--] 혹은 간단하게 "没吃."[* Méi chī.]라고도 한다. 현재진행형은 "我在吃饭.".[* Wǒ zaì chī fàn. 워짜이츼판.] 비슷하게 '你吃饭了没?'(Nǐ chífàn le méi?)라고도 쓴다고 한다.[* 해석하면 '너 밥 먹었어, 아니면 안 먹었어?' 정도가 된다.] [[한국어]] 키보드에서의 입력 커맨드는 '''니→한자 키(이하 汉)→pg dn 1회→7→흘→汉→3→반→汉→pg up 2회→9→료→汉→4→마→汉→pg dn 3회→8.''' 아이러니하게도 [[중국]]에서는 [[한국어]]의 "아 [[씨발]]"을 일상 감탄사처럼 사용하고 있다. 일명 '''"阿西吧"'''.[* Ā xī ba. '아시바' 정도로 발음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你吃饭了吗, version=79)] * [[나무위키:문서 삭제식 이동|문서 삭제식 이동]](你吃饭了吗 → 니취팔러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