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관방장관)] ---- ||<:>{{{#FFFFFF '''역임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간사장)]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부총재)] ---- }}}|| ---- ||<-2> '''{{{#white 일본국 제36·37대 내각관방장관}}}[br]{{{#white {{{+1 니카이도 스스무}}}[br] 二階堂進 | Nikaidō Susum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니카이도스스무.png|width=100%]]}}} || ||<|2> '''출생''' ||[[1909년]] [[10월 16일]] || ||[[가고시마현]] [[키모츠키군|기모쓰키군]] [[키모츠키초|고야마정]] (現 [[가고시마현]] 기모쓰키정) || ||<|2> '''사망''' ||[[2000년]] [[2월 3일]] (90세) || ||[[도쿄도]] [[신주쿠구]] || || '''학력'''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2 (정치경제학 / 학사)}}}[br]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2 (국제관계학 / 석사)}}} || ||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지역구''' ||가고시마현 전현구[* [[중선거구제|대선거구제]] 시절 선거구.][br]舊 가고시마현 제3구[* [[중선거구제|중선거구제]] 시절 선거구.] || || '''의원 선수''' ||'''16''' (중) || || '''의원 대수''' ||22, 24,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0]] || || '''위계''' ||종2위 || || '''가족''' ||아들 니카이도 유키미[* 도쿄이과대학 비상근강사] || || '''친척''' ||손자 니카이도 유키노리[* [[호세이대학]] 경영학부 부교수. 도쿄대학 경제학 학석박사.[[https://kenkyu-web.hosei.ac.jp/Profiles/34/0003310/profile.html|프로필]]] || || '''서훈''' ||훈1등 욱일대수장 || || '''수상''' ||제10회 유엔평화상 수상 || || '''약력''' ||[[외무성]] 촉탁직원[br][[일본 제국 해군]] 보도원[br][[중의원]] 의원[br]노동 정무차관[br]중의원 건설위원장[br]중의원 상공위원장[br]홋카이도 개발청 장관[br]제36·37대 [[내각관방|내각관방장관]][br]자유민주당 간사장[br]자유민주당 부총재[br]오키나와 개발청 장관[br][[신일본 프로레슬링]] 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니카이도 스스무'''(二階堂進)는 [[일본 제국]][* [[일본 제국]] 헌법의 만료년도가 [[1947년]]이고 22회 중의원 총선거가 [[1946년]]에 실시되었으므로 일본 제국의 정치인이 맞다.], [[일본]]의 정치인으로, [[일본국 헌법]]이 공포되기 이전인 [[1946년]]부터 [[소선거구제]] 실시 이전인 [[1996년]]까지 무려 '''50년''' 동안 중의원 의원으로 지냈으며, 이 외에도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의 제36·37대 [[내각관방|내각관방장관]], [[나카소네 야스히로]] 집행부의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 부총재 임기 당시 [[스즈키 젠코]] 전 총리가 자민당의 비선실세였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와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를 견제하기 위해 총리로 옹립하려고 했던 [[니카이도 옹립구상|니카이도 구상]]의 주인공이다. == 생애 == === 정계 입문 전 === [[1909년]] [[10월 16일]] [[일본 제국]] [[가고시마현]] [[키모츠키군|기모쓰키군]] 고야마정 (현 [[가고시마현]] [[키모츠키군|기모쓰키군]] [[키모츠키초|기모쓰키정]]) 출신으로, [[가마쿠라 막부]] 이래의 명가였던 사쓰마 니카이도 가문[* 가마쿠라 막부 초기 요직을 지낸 어가인 집안으로, 후기에 사쓰마로 낙향하여 아타 군에 정착, [[시마즈|시마즈 가문]]의 가신이 되었고, [[시마즈 요시히사]] 공의 명에 따라 현재의 기모쓰키군 고야마초에 정착하였다.] 출신이었다. 그의 생가인 니카이도가 주택은 현재 국가주요문화재로 지정된 집으로 그는 이 집의 마지막 거주자였다.[[https://blog.goo.ne.jp/higashipat2/e/fa2bd46f975f59293d59390e2454aa54|니카이도가 주택]] 구제 가고시마 현립 시부 중학교 (현 시부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나 공부에 약했던 탓인지 지망했던 고등학교에 모조리 떨어져버려 고등학교에 가지 못했다. 이후 [[1932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국제외교학과 대학원에 들어갔으나 [[폐결핵]]에 걸려 다행히도 수술에 성공하여 회복한 뒤 대학원 석사 학위를 땄다. [[미일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당시 상황에서 니카이도는 일본과 미국의 가교가 되고자 미국 전역을 유세하러 다녔는데 이 때부터 정치에 뜻을 품었다고 한다. 이후 [[1941년]] [[일본]]에 귀국하여 자신의 미국 유학 시절을 바탕으로 [[외무성]]에서 근무했지만 중앙성청에서 근무하는 것은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1942년]] 제2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추천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대정익찬회]] 후보로 출마하지만 낙선했다. 이후 해군보도원이자 저널리스트였던 [[야마모토 사네히코]]의 비서가 되며 언론계에서 일하였다. 그러다 [[1945년]] 자신의 상사였던 야마모토 사네히코가 일본협동당을 창당하여 그 당에 가입하게 되었다. 이후 당이 협동민주당과 국민협동당으로 거치게 되었는데 이 것이 훗날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와 결별하고 당시 같은 당이었던 [[미키 다케오]] 총리와 만나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 계기는 훗날 [[니카이도 옹립구상]]으로도 이어진다. === 정계 입문 === [[1946년]]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협동당의 공천으로 가고시마현 전현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1947년]] 제23회 중의원 총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1949년]]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1952년]] 총선에서 낙선, [[1953년]] 총선에서 낙선하는 등 당선과 낙선을 번복하였다. 그러나 [[1955년]] 총선에서 다시 당선되어 [[1996년]] 정계 은퇴 때까지 계속 당선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창당 이후에는 훗날 총리가 되는 요시다 학교 출신의 [[사토 에이사쿠]] 총리의 측근으로 활약했고, [[1957년]]에는 수산회 (일명 사토파)를 결성했다. 이후 당 내에서 노동정무차관, 중의원 건설위원장, 상공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66년]] 제1차 [[사토 에이사쿠]] 내각에서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훗날 [[국토교통성|국토교통대신]])으로 입각하여 [[1967년]] 제2차 내각에서도 재임했다. [[1972년]] 사토파에서 [[다나카 가쿠에이]]를 총리로 옹립하기 위해 목요회 (일명 다나카파)를 결성했다. 이후 옹립에 성공하여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내각관방|내각관방장관]]으로 취임했고 [[오히라 마사요시]] 당시 외무대신과 함께 일중 공동 성명을 발표한 뒤 제2차 내각에서 유임되었다. 이후 자민당 간사장에 취임하며 [[다나카 가쿠에이]]를 끝까지 지켰다. [[1976년]] 당시 일본 전역을 충격에 빠뜨렸던 [[록히드 사건]]에 니카이도의 이름도 거론되었으나 니카이도가 논란을 풀어내며 [[1980년]] [[스즈키 젠코]] 집행부의 자민당 총무회장에 취임했고 이듬해 또다시 자민당 간사장에 취임했다. [[1982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집행부에서 간사장을 유임하지만, 이듬해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큰 패배를 하여 간사장에서 사임했다. 이후 [[1984년]] 자민당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그리고... === [[니카이도 옹립구상]] === 당시 총리였던 [[스즈키 젠코]]는 [[미일관계]] 악화 등을 이유로 자민당의 비선실세였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끌어내리며 다나카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고,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시 총리의 행태도 문제가 되어 결국 스즈키는 나카소네 총리를 끌어내릴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스즈키는 총재 선거 전 갑자기 다나카의 집을 찾아갔고, 그는 니카이도 스스무를 총재로 옹립하자는 제안을 하게 되었다. 스즈키는 니카이도를 총재로 옹립하자고 제안했고, 스즈키는 이 작전을 실행시키게 된다. 사실 스즈키의 진짜 목적은 니카이도를 총재로 내세워 나카소네를 끌어내리고 동시에 다나카파도 분열시켜 [[미야자와 기이치]]를 총리로 내세우고 다나카처럼 권력을 휘두른다는 생각이었다. 스즈키는 니카이도를 총재로 앉히기 위해 다나카의 정적이었던 [[후쿠다 다케오]]와 [[미키 다케오]] 전 총리를 포섭하였고, 총리 지명 투표를 대비하여 [[공명당]]과 [[민사당]]까지 끌어들였다. 그러나 이러한 스즈키의 작전이 실패로 돌아갔는데, 스즈키의 수를 읽은 다나카가 이 제안에 반대를 했고, [[다케시타 노보루]]의 후견인인 [[가네마루 신]]도 이를 반대했으며, 스즈키와 같이 나카소네에게 반감을 가졌던 코모토 토시오마저도 다케시타에게 동조하면서 미키파를 억제한데다가, 후쿠다파의 [[아베 신타로]], 스즈키가 총리로 내세울려고 했던 [[미야자와 기이치]]마저도 신중론을 주장했고 거기에 신문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가 되어 더 이상 작전을 실행시킬 수 없는 상태였다. 결국 총재 선거에서 후쿠다 다케오와 니카이도가 나카소네의 당 운영에 대해 질타를 날리면서 나카소네가 한번만 살려달라는 애원에 간신히 총재 선거에서 재선했다. 이후 니카이도 구상을 이끌고 동조했던 스즈키, 후쿠다, 미키 등이 자신의 계파에서 물러났고 다나카는 여전히 뒤에서 권력을 휘둘렀으나 니카이도 옹립이 좌절되자 스즈키의 말대로 다나카파 내에서 다나카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고, 결국 다케시타 노보루를 중심으로 하는 창정회가 조직되면서 다나카파는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창정회는 현재 [[헤이세이 연구회]]가 이어받으며 목요회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 니카이도 구상 이후 === 이후 [[1987년]] 니카이도파는 분열 과정에서 목요회에 잔류하여 파벌의 회장이 되었고, 자신을 다나카파의 전통 후계자임을 자처하며 총재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으나, 당시 추천인 50명을 얻지 못하고 출마를 포기했다. [[1989년]] 각료나 당직자는 파벌에 소속될 수 없다는 당규에 따라 니카이도파를 탈퇴하여 후임 회장은 사키 마스미가 맡게 되었다. [[1990년]] 제3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다나카가 정계 은퇴를 하고, 니카이도파도 인원이 대폭 줄어 결국 파벌을 해산하였다. 같은 해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고 이듬해 유엔평화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에는 메달과 감사장이 수여되었다.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정계를 은퇴했다. [[2000년]] 2월 3일 [[심장마비]]로 [[도쿄도]] [[신주쿠구]]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90세.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대정익찬회)] || 1942 - 1945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45 ||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정당 해산 || || [include(틀:일본협동당)] || 1945 - 1946 || 창당 || || [include(틀:협동민주당)] || 1946 - 1947 || 합당 || || [include(틀:국민협동당)] || 1947 - 1948 || 합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일본))] || 1948 - 1950 || 창당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50))] || 1950 - 1955 || 합당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955 - 2000 || 합당[br]정계 은퇴[br]사망 ||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지역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42 ||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가고시마 3구 || [include(틀:대정익찬회)] || 2,050표 (3.7%) || 낙선 (5위) || || || 1946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가고시마 전현구 || [include(틀:일본협동당)] || '''?''' || '''당선 (5위)''' || '''초선'''[*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대선거구제]].] || || 1947 ||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8> 가고시마 3구 || [include(틀:국민협동당)] || 17,666표 (11.4%) || 낙선 (4위) || || || 1949 ||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민주자유당(일본))] || '''33,872표 (20.9%)''' || '''당선 (2위)''' || '''재선''' || || 1952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3> [include(틀:자유당(일본 1950))] || 19,477표 (10.1%) || 낙선 (5위) || || || 1953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5,491표 (12.8%) || 낙선 (4위) || || || 1955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4,748표 (12.2%)''' || '''당선 (3위)''' || '''3선''' || || 1958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589표 (25.7%)''' || '''당선 (1위)''' || '''4선''' || || 1960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7,777표 (24.0%)''' || '''당선 (2위)''' || '''5선''' ||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6,054표 (27.8%)''' || '''당선 (2위)''' || '''6선''' ||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1,563표 (24.9%)''' || '''당선 (3위)''' || '''7선'''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7,733표 (29.9%)''' || '''당선 (2위)''' || '''8선'''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1,085표 (30.4%)''' || '''당선 (1위)''' || '''9선'''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9,444표 (28.5%)''' || '''당선 (1위)''' || '''10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8,837표 (23.1%)''' || '''당선 (3위)''' || '''11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4,428표 (30.0%)''' || '''당선 (1위)''' || '''12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2,158표 (28.4%)''' || '''당선 (1위)''' || '''13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6,898표 (35.5%)''' || '''당선 (2위)''' || '''14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6,751표 (40.5%)''' || '''당선 (1위)''' || '''15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3,457표 (26.2%)''' || '''당선 (2위)''' || '''16선'''[*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 == 서훈 == * 1990년 훈1등 욱일대수장 수여 == 수상 == * 제10회 유엔평화상 수상 [[분류:일본 제국의 정치인]][[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키모츠키군 출신 인물]][[분류:1909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일본 내각관방장관]][[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제2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2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2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2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2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1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신]][[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욱일대수장]][[분류:종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