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슬로바키아의 도시]] ||||<:>{{{#fff {{{+3 니트라(슬로바키아)}}}}}}|| ||<-3><:> [include(틀:지도, 장소=Nitra)]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바키아]] 서부의 도시. 슬로바키아에서는 5번째로 크며[* 2021년 기준 77,610명], 니트라 주(Nitriansky kraj)의 주도이다. 슬로바키아에서는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니트라 강[* [[도나우강]]의 지류이다.] 인근 조보르 산(Zobor) 즈음에 있다. == 언어별 표기 == ||[[슬로바키아어]]||Nitra|| ||[[헝가리어]]||Nyitra(니트러)|| ||[[독일어]]||Neutra(노이트라)|| == 역사 ==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흔적이 발견된다.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 [[슬라브족]]이 슬로바키아에 당도했으며 9세기 초반에는 니트라 공국(Nitrianske kniežatstvo)[* [[헝가리어]]로는 Nyitrai Fejedelemség]의 중심지가 되어 번영을 누렸다. 10세기를 거치며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주요 거점으로 자리잡았다. [[몽골 제국]]의 헝가리 왕국 침공 당시 참화를 피했으며 1248년, 헝가리 왕 [[벨러 4세]]로부터 도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1271~1272년 사이에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2세]]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14~15세기에 걸쳐 여러 군사적인 충돌로 인하여 피해를 회복하지 못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에게 대패하며 국왕 [[러요시 2세]]가 전사하자 니트라도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받았으나 오스만군은 니트라를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헝가리인]]의 자치공국으로 들어선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르데이 공국]]의 [[보치커이 이슈트반]](Bocskai István 1557~1607), [[베틀렌 가보르]](Bethlen Gábor 1580~1629), [[라코치 페렌츠 2세]](II. Rákóczi Ferenc 1676~1735) 등 반(反) 합스부르크 헝가리 귀족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1708년에는 라코치 페렌츠 2세의 독립 전쟁으로 벌어진 전투로 도시가 전소되었다.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재단장되었으며, 1848년 헝가리 혁명의 영향으로 주교의 영향에서 벗어나 시민들에게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이후 산업화가 진행되어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기계 공장, 양조장, 유제품 등 여러 공장이 설립되었다. 1867년, [[대타협]]으로 주권을 회복한 헝가리인들은 [[슬로바키아인]]들을 탄압하여 마자르화를 강요하였고, 그때문에 1883년부터 1919년까지는 상 헝가리[* 슬로바키아를 역사적으로 상 헝가리(Felvidek)로 불렀다.] 교육협회(FEMKE) 본부가 니트라에 소재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으며,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독립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도시가 되었다. == 볼거리 == 니트라 성(Nitriansky hrad)[* 헝가리어로는 Nyitrai vár]이 있으나 규모는 크지 않다. 성 내부에 있는 성 에메람 성당(Bazilika svätého Emeráma)이 볼만하다. 구 시가지가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으며, 십자가상 언덕도 가볼만한 장소.